천명제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0.71.243.253 (토론)님의 2015년 9월 29일 (화) 10:19 판 (오타를 고침)
천명제
건주여진의 추장
후금의 초대 칸
청나라 청나라초대 황제
재위 건주여진 1583년 ~ 1616년
후금 1616년 ~ 1626년
후임 숭덕제
이름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愛新覺羅努爾哈赤, 애신각라노이합적)
묘호 태조(太祖)
시호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예무
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
(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睿武
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
신상정보
부친 현조
모친 선황후
배우자 효자고황후
효열무황후

천명제(天命帝, 1559년 ~ 1626년 9월 30일, 재위 : 건주여진 1583년 ~ 1616년, 후금 1616년 ~ 1626년)는 후금의 초대 황제로, 뒤에 청나라의 초대 황제인 태조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름은 아이신기오로 누르하치(만주어: ᠠᡳᠰᡳᠨ ᡤᡳᠣᡵᠣ
ᠨᡠᡵᡤᠠᠴᡳ
Aisin gioro Nurgaci, 한국 한자: 愛新覺羅努爾哈赤 애신각라노이합적). 묘호는 태조(太祖)이고, 연호는 천명(天命)이며, 시호는 승천광운성덕신공조기입극인효예무단의흠안홍문정업고황제(承天廣運聖德神功肇紀立極仁孝睿武端毅欽安弘文定業高皇帝), 줄여서 태조 고황제(太祖高皇帝, 만주어: ᡨᠠᡳᡯᡠ
ᡩᡝᡵᡤᡳ
ᡥᡡᠸᠠᠩᡩᡳ
타이주 더르기 후왕디)이다.

누르하치라는 이름은 여진어로 멧돼지 가죽이라는 뜻이라고 하며, 그 이름은 그의 조부인 아이신기오로 기오창가가 지어준 이름인데, '멧돼지 가죽만큼 질기고, 그만큼 뜨거움과 차가움을 잘 이겨내라'는 의미라고 한다. 만주어로는 압카이 푸링가 한(만주어: ᠠᠪᡴᠠᡳ
ᡶᡠᠯᡳᠩᡤᠠ
ᠾᠠᠨ
Abkai Fulingga Han)이라고 하고 몽골어로는 텡게린 보쇽투 칸(몽골어: ᠲᠡᠭᠷᠢ ᠶᠢᠨ
ᠪᠣᠰᠣᠭᠲᠣ
ᠻᠠᠭᠠᠨ
Tengriyin süldetü Khaan)이라고 부른다.

생애

1559년 2월 21일 누르하치는 아이신기오로(Aisin-giyoro, 愛新覺羅, 애신각라) 가문의 아들로 태어났다. 누르하치가 태어났을 무렵의 여진 부족은 건주여진 5 부족, 해서여진 4 부족, 야인여진 4 부족으로 분열되어 격렬하게 싸우고 있었다.

여진 통일

명나라는 이것을 이용하여 조공의 권리를 분산시킴으로써 여진족들이 강해지는 것을 억제하고 있었다. 즉, 건주, 해서 여진의 유력자 300명에게 칙서를 전달했다. 그러나 누르하치가 태어났을 때, 토목의 변으로 에센하안 칸이 침공하여 칙서가 무자격자에게 전달되는 등 혼란을 기대한 공작이 제대로 진행되지 않았다. 그리하여 건주여진에 1000통, 해서여진에 500통을 수장들에게 전달하고, 권력의 집중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전략을 전환하고 있었다. 그러나 예상과 달리 명나라도 제어할 수 없을 만큼 무력 항쟁이 치열해지고 있었다.

명나라의 요동사령관 이성량은 명나라가 제어할 수 있을 정도의 큰 세력을 하나 만들고, 그 세력의 후원자가 되어 여진을 다스리려 했다. 이렇게 선정된 것이 건주여진 중 누르하치이다. 이성량의 의도를 잘 알고 있는 누르하치는 여진 중 강대 세력이 되었고, 1589년(만력 17년)에 건주 여진 5부족을 통일 하였다. 그와 동시에 이성량의 주머니에 들어가는 뇌물의 양도 크게 늘었기 때문에 명나라는 누르하치의 감시를 게을리 했다.

누르하치의 급격한 부상에 위기감을 느낀 해서여진은 뭉쳐서 누르하치에게 영토 할양을 요구했지만, 누르하치는 이 요구를 묵살해 버렸다. 또한 이 무렵부터 누르하치는 자신의 세력을 만주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1593년(만력 21년) 누르하치가 이끄는 만주군은 해서여진을 중심으로 한 아홉 부족 연합군과 격돌하여 완승을 거뒀다. 이 전투는 《그레 전투》 불린다. 이때부터 여진의 여러 부족이 누르하치를 따르게 되고, 명나라는 누르하치에게 엄호장군이라는 관직을 하사했다. 또한 이성량은 2년 전에 부패로 인해 탄핵되어 경질당했다.

이 시기는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일으킨 임진왜란에 대응하느라 명나라가 정신이 없었던 시기이기 때문에 명나라의 관심을 덜 끌 수 있었다.

1599년 누르하치는 자신을 적대하던 해서여진을 멸망시켰다. 직후 히데요시 군이 철군하자, 명나라는 누르하치에 위기감을 느끼기 시작했고, 해서여진의 예허 부족을 지지함으로써 누르하치의 대항마로 삼으려 했다.

후금의 건국

1616년(만력 44년) 누르하치는 본거지를 허투알라(혁도아랍, 赫圖阿拉)로 옮기고 한(만주식 군주 칭호. 칸과 같은 의미이다.)의 지위에 올라 국호를 금(金), 연호를 천명(天命)이라 선포했다. 이후 누르하치는 여진족의 이름을 문수보살을 딴 만주(manju 滿州)로 고치고 어르더니(額爾德尼)와 까까이(噶盖)에게 명하여 몽골 문자를 개량한 만주 문자(無圏點点字)를 정비하게 했다. 또한, 팔기제라는 군 조직을 만들었다. 이것으로 만주가 세력을 확대하는 기반을 다졌다.

1618년(천명 3년) 누르하치는 "일곱가지 큰 원한"(七大恨)이라는 격문을 발표하고 명나라에 선전포고를 했다. 이 문서에는 명나라가 예허에 가담하여 만주를 공격한 것, 조부와 부친이 명나라에 죽은 것 등이 적혀 있다.

사르후 전투

1619년 3월 명나라는 예허부조선에 원군을 요청하여 47만에 이르는 만주토벌군을 결성하고 이듬해 무순 가까운 ‘사르후’(薩爾滸)에서 10만이라 칭하는 만주군과 격돌했다. (10만이라고 했지만, 실제 수는 그 절반이었다고 한다.). 수적으로 불리한 후금이었지만, 공을 탐한 명나라 장군 두송이 후속 부대를 기다리지 않고 성급하게 공격을 했기 때문에 각개 격파할 수 있었다. (《사르후 전투》) 강홍립이 있끄는 조선군도 《부차 전투》에서 포위되어 김응하가 전사하고, 광해군의 밀명대로 항복을 하게 된다.

사르후에서 명군에 큰 타격을 준 누르하치는 후원자를 잃은 예허를 흡수하여 여진을 완전히 통일했다.

영원성 전투

1621년(천명 6년), 기세가 오른 누르하치는 심양, 요양을 잇따라 함락시켰고, 요양 옆의 심양으로 천도했다. 이 때 후금의 세력권은 요동 전역에 미쳤다.

1626년(천명 11년), 연전연승하던 누르하치는 명나라의 본토를 공격하기 위해 산해관을 함락시키려고 했다. 그런데 그 앞에 있는 영원성(현재의 흥행성 현성)에서 장군 원숭환이 포르투갈에서 건너온 홍이포를 대량으로 거취하고 만주군을 맞이했다. 홍이포의 위력에 만주군은 패배하고, 퇴각했다. (영원성 전투) 이 과정에서 누르하치도 부상을 당해, 그해 몽골에 원정을 나가던 중 상태가 호전되지 못하자 사망하였고 뒤를 아들인 홍타이지가 이었다.

원래 누르하치의 목표는 명나라로부터 독립이었고, 명나라를 정복하려고 한 것은 아니었다. 후계자를 결정하지 않았던 것도 그때까지 부족 합의 체제를 유지하려고 한 큰 이유기도 했다.

1636년 후금은 국명을 으로 개칭하였고, 누르하치는 청나라의 태조로 불린다. 사후 태종 숭덕문황제는 부친인 누르하치를 복릉(福陵)에 안장하였다.

가족

후비

봉호 시호 이름(성씨) 생몰년도 별칭 비고
정실
적복진(嫡福晉) 퉁기야 씨(佟佳氏) 1560년 ~ 1592년 원비(元妃) 천명제의 원배(元配·初配). 한족(漢族). 본성(本姓) 동씨(冬氏).
계복진(繼福晉) 푸차 곤다이
(富察 衮代)
? ~ 1620년 계비(繼妃) 천명 5년(1620년) 죄로 사형됨.
황후
계복진(繼福晋) 효열무황후
(孝烈武皇后)
울라나라 아바하이
(烏喇那拉 阿巴亥)
1590년 ~ 1626년 예충친왕 도르곤의 생모,천명제 사후 순장됨.
측복진(側福晋) 효자고황후
(孝慈高皇后)
예허나라 몽고저저
(叶赫那拉 孟古哲哲)
1575년 ~ 1603년 숭덕제의 생모, 사후 추존됨
후궁
측복진(側福晋) 수강태비
(壽康太妃)
보르지기트 씨(博尔濟吉特氏) ? ~ 1655년 강희제에 의해 추존.
측복진(側福晋) 합달나랍 씨(哈達納喇氏)
측복진(側福晋) 이이극각라 씨(伊尔根覺羅氏)
측복진(側福晋) 예허나라 씨(叶赫那拉氏) 효자고황후의 동생.
측복진(側福晋) 보르지기트 씨(博爾濟吉特氏) ? ~ 1643년
서복진(庶福晋) 조가 씨(兆佳氏)
서복진(庶福晋) 니오후루 씨(紐祜祿氏)
서복진(庶福晋) 가목호각라 씨(嘉穆瑚覺羅氏)
서복진(庶福晋) 서림각라 씨(西林覺羅氏)
서복진(庶福晋) 이이극각라 씨(伊尔根覺羅氏)
서복진(庶福晋) 아제근(阿濟根) ? ~ 1626년 천명제 사후 순장됨.
서복진(庶福晋) 덕인택(德因泽) ? ~ 1626년 천명제 사후 순장됨.

황자

- 봉호(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비고
1 광략패륵(廣略貝勒) 추연(褚英) 1580년 ~ 1615년 적복진 퉁기야 씨 초봉은 태자이고, 후에 패륵으로 강등.
2 예열친왕(禮烈親王) 다이샨(代善) 1583년 ~ 1648년 적복진 퉁기야 씨
3 진국근민공(鎭國勤敏公) 아바이(阿拜) 1585년 ~ 1648년 서복진 조가 씨
4 진국극결장군(鎭國克潔將軍) 탕구다이(湯古代) 1585년 ~ 1640년 서복진 니오후루 씨
5 다라패륵(多羅貝勒) 망구르타이(莽古爾泰) 1587년 ~ 1633년 계복진 푸차 곤다이 후에 봉호 추탈.
6 보국각후공(輔國愨厚公) 타바이(塔拜) 1589년 ~ 1639년 서복진 니오후루 씨
7 요여민군왕(饒餘敏郡王) 아바타이(阿巴泰) 1589년 ~ 1646년 측복진 이이근각라 씨
8 태종문황제(太宗文皇帝) 홍타이지(皇太極) 1592년 ~ 1643년 효자고황후 예허나라 씨 후에 황제로 즉위.
9 진국각희공(鎭國恪僖公) 바부타이(巴布泰) 1592년 ~ 1655년 서복진 가목호각라 씨
10 이혁패륵(已革貝勒) 더거러이(德格類) 1592년 ~ 1635년 계복진 푸차 곤다이 후의 봉호 추탈.
11 이혁진국장군(已革鎭國將軍) 바부하이(巴布海) 1596년 ~ 1643년 서복진 가목호각라 씨 후의 봉호 추탈.
12 이혁영친왕(已革英親王) 아지거(阿濟格) 1605년 ~ 1651년 효열무황후 울라나라 씨 후의 봉호 추탈.
13 보국개직공(輔國介直公) 라이무부(賴慕布) 1611년 ~ 1646년 서복진 서림각라 씨
14 예충친왕(睿忠親王) 도르곤(多尔衮) 1612년 ~ 1650년 효열무황후 울라나라 씨 순치제의 섭정왕
15 예통친왕(豫通親王) 도도(多鐸) 1614년 ~ 1649년 효열무황후 울라나라 씨
16 피양구(費揚果) 1620년 ~ ?

황녀

- 봉호 시호 이름 생몰년도 생모 별칭 비고
1 단장고륜공주(端莊固倫公主) 1578년 ~ 1652년 적복진 퉁기야 씨 동아공주(東果公主)
동아격격(東果格格)
2 화석공주(和碩公主) 1587년 ~ 1646년 측복진 이이근각라 씨 눈철격격(嫩哲格格)
첨하공주(沾河公主)
3 망고제(莽古濟) 1590년 ~ 1635년 계복진 푸차 곤다이 합달공주(哈達公主)
합달격격(哈達格格)
4 목고십(穆庫什) 1595년 ~ ? 서복진 가목호각라 씨
5 (5황녀) 1597년 ~ 1613년 서복진 가목호각라 씨
6 (6황녀) 1600년 ~ 1646년 서복진 가목호각라 씨
7 향군(鄕君) 1604년 ~ 1685년 서복진 이이근각라 씨
8 화석공주(和碩公主) 1612년 ~ 1646년 측복진 예허나라 씨

※수강태비를 제외한 비(妃)는 실제로 봉작된 위호가 아닌 사칭(史稱)으로, 후금(後金)의 명부(命夫) 위호인 복진(계복진·측복진·서복진)을 청(淸) 개국 후 정비된 후비(后妃) 제도에 맞춘 것이다.[1] 원비는 원배(元配·初配)임을 강조하기 위한 사칭(史稱)으로, 숭덕제의 원배 뉴호록 씨 역시 마찬가지다.

천명제가 등장한 작품

출처

  1. 《清史稿.后妃傳序》:“太祖初起,草創闊略,宫闈未有位號,但循國俗稱‘福晋’。福晋盖‘可敦’之轉音,史述后妃,后(後)人緣飾名之,非當時本稱也。”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