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라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luemersen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4월 29일 (화) 08:28 판 (121.172.186.189(토론)의 편집을 Neoalpha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전라도(全羅道)는 현재의 전라북도전라남도, 광주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일대를 관할했던 행정구역을 일컫는 말로, 호남 지방(湖南地方)에 해당한다. 전주나주의 앞글자를 각각 따서 전라도라는 명칭이 유래되었다. 1895년(고종 32년)에 전주부, 남원부, 나주부, 제주부로 분할되어 폐지되었다. 문화와 예술이 발달한 지역이다.

역사

고대

전라도는 고대 마한의 영역이었다. 천관우의 위치 비정에 따르면 마한의 54개 소국 가운데 19개 국이 전라도 지역에 있었다고 한다. 노령산맥 이북의 마한 소국들은 1세기 무렵에 백제 온조왕다루왕에게 정복되고, 노령산맥 이남에 잔존한 마한세력은 백제의 영향 아래 침미다례라는 연맹을 형성했다. 고구려의 공격으로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하면서 백제의 영향력이 약화되자 가야가 순천, 여수 등지를 정복하고, 남원 일대에 기문 지방이 형성되었다. 후에 국력을 회복한 백제가 침미다례를 합병하고 가야세력을 축출하여 전라도 지역은 완전히 백제의 영역이 되었다. 백제는 지방행정단위인 5방(方)중에 현재의 전라북도 지역에 고부군을 치소로 중방(中方), 전라남도 지역에 장성을 중심으로 남방(南方)을 설치하였다.

660년에 백제가 멸망하자 백제 영토에는 당나라웅진도독부가 설치되고, 전라도 지역에 6개 주가 설치되었다. 그러나 곧이어 일어난 백제 부흥운동나당전쟁으로 인해 웅진도독부의 행정 구역은 제구실를 못했으며, 신라는 웅진도독부를 무시하고 지금의 나주를 치소로 발라주(發羅州)를 설치하였다. 당나라 세력을 완전히 몰아낸 신라는 685년 경에 전국을 9주로 정비하면서 발라주의 치소를 지금의 광주로 이전하면서 무진주로 개칭하고, 전북지역에는 완산주가 설치되었다. 완산주에는 10개의 군, 31개의 현, 그리고 남원경이 설치되었며, 무진주에는 14개의 군, 44개의 현이 있었다. 757년에는 완산주를 전주(全州), 무진주를 무주(武州)로 고쳤다. 8세기에서 9세기에 걸쳐 신라가 혼란에 빠지자 각지에서는 호족 세력이 성장하였는데 892년견훤이 무진주(지금의 광주)에서 성장하여 완산주(지금의 전주)를 점령, 900년후백제를 건국하였다. 903년에는 나주를 중심으로 서남부 해안 지방을 왕건이 점령하여 후고구려의 영토로 삼기도 했다. 936년고려에 의해 후백제가 멸망하고 전라도 지역은 고려의 영토가 되었다.

고려

고려 초기에 12목이 설치되면서 전라도 지역에는 전주목(全州牧), 나주목(羅州牧), 승주목(昇州牧 : 순천)이 설치되었다. 995년성종은 전라북도 일대를 강남도(江南道), 전라남도 일대를 해양도(海陽道)로 정하였으며 1018년에는 현종이 강남도와 해양도를 합쳐 전주와 나주의 첫글자를 딴 전라주도(全羅州道)를 설치하여 전라도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하였다. 전라도는 2목(牧), 2부(府), 18군(郡), 82현(縣)을 관할하였다.

조선

조선 시대에도 전라도는 그대로 유지되었다. 인조 때 전남도(全南道), 광남도(光南道) 등으로 개칭했다가 되돌렸으며 1728년에도 영조에 의해 전광도(全光道)로 변경되기도 했으나 1737년에 다시 전라도로 돌아왔다. 1895년23부제로 행정구역 제도가 바뀜에 따라 전주부, 남원부, 나주부, 제주부로 분리(금산군은 공주부에 편입되었다)되어 전라도는 폐지되었다. 1년 후인 1896년, 13도제로 다시 바뀌면서 전라북도(금산군이 다시 편입되었다)와 전라남도로 나뉘었다.

근대

1946년 제주군이 제주도로 승격, 전라남도에서 분리되었다.

행정 구역

1895년 23부제가 시행되기 직전 전라도는 1부, 4목, 6도호부, 11군, 34현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전라감영은 전주부에 두었다.

  • 부(府)
    • 전주(全州)
  • 목(牧)
    • 광주(光州), 나주(羅州), 능주(陵州), 제주(濟州)
  • 도호부(都護府)
    • 남원(南原), 담양(潭陽), 무주(茂朱), 순천(順天), 장성(長城), 장흥(長興)
  • 군(郡)
    • 고부(古阜), 금산(錦山), 김제(金堤), 낙안(樂安), 보성(寶城), 순창(淳昌), 영암(靈巖), 영광(靈光), 익산(益山), 진도(珍島), 진산(珍山)
  • 현(縣)
    • 강진(康津), 고산(高山), 고창(高敞), 곡성(谷城), 광양(光陽), 구례(求禮), 금구(金溝), 남평(南平), 대정(大靜), 동복(同福), 만경(萬頃), 무안(務安), 무장(茂長), 부안(扶安), 여산(礪山), 옥과(玉果), 옥구(沃溝), 용담(龍潭), 용안(龍安), 운봉(雲峰), 임실(任實), 임피(臨陂), 장수(長水), 정읍(井邑), 정의(旌義), 진안(鎭安), 창평(昌平), 태인(泰仁), 함열(咸悅), 함평(咸平), 해남(海南), 화순(和順), 흥덕(興德), 흥양(興陽)

같이 보기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