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광역시

SpecialEditor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4월 28일 (월) 16:31 판
인천광역시
파일:Incheon montage.png
인천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인천
인천
북위 37° 27′ 22″ 동경 126° 42′ 19″ / 북위 37.45611° 동경 126.70528°  / 37.45611; 126.70528
행정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행정 구역8구 2군
청사 소재지인천광역시 남동구 정각로 29
시장송영길
지리
면적1,032.41㎢
인문
인구2,851,491명 (2011년)
인구 밀도2,761명/㎢
상징
시목목백합
시화장미
시조두루미
지역 부호
웹사이트http://www.incheon.go.kr/

인천광역시(仁川廣域市)는 대한민국의 북서부 해안에 있는 광역시이다. 백제시대 미추홀이란 지명으로서 불렸다. 1883년 제물포가 개항되고, 1899년 경인선 철도가 개통되면서 서울의 관문 역할을 하는 위성도시로 성장하였다. 중구에는 서해안 최대 항구인 인천항이 있고, 영종도인천국제공항이 있다. 1981년 직할시 승격 당시 면적은 201.21km²였으나, 1989년 김포군 계양면, 옹진군 영종면·용유면을 편입하였고, 1995년 강화군, 옹진군김포군 검단면을 편입하면서 관할 면적이 확장되었다. 2003년 인천경제자유구역청이 개청하였고, 2009년 인천대교가 개통되었으며, 연수구에는 송도국제도시가 개발되고 있다. 서구에는 세계 최대 규모의 쓰레기 매립지인 수도권 매립지가 있다. 인천에는 화력 발전소 9곳이 밀집되어 수도권에서 생산되는 전기의 62%를 담당하고 있다. 2009년 인천세계도시축전을 개최하였고, 2014년 아시안 게임의 개최지로 선정되었다. 시청 소재지는 남동구 구월동이고, 행정구역은 8 2이다.

역사

인천에 사람이 거주하게 된 시기는 문학산, 계양산 등에서 발견된 각종 석기류들로 미루어 신석기인 것으로 추정되며, 학익, 주안, 문학 등에 분포된 지석묘들은 청동기에 부족세력이 자랐음을 알려 준다. 삼국사기 지리지, 세종실록지리지 등에 따르면 삼국시대 초의 미추홀위례성과 함께 백제의 시초지로 보이는데, 문학산성, 능허대지 등에 백제 사절들의 출범유적은 있어도 백제유물은 출토되지 않았다.
475년 고구려 장수왕 때에는 매소홀현(買召忽縣)이 설치되었다. 신라 진흥왕 때 신라가 지배하여, 통일신라경덕왕 16년(757)에 소성현(邵城縣) 으로 개칭됐다.
소성현은 고려 때에는 수주(樹州)에 속했다가 고려 11대 문종의 왕비 인천 이씨 인예태후가 10명의 아들 즉,12대 순종, 13대 선종, 15대 숙종, 대각국사 의천 등과 두 명의 공주를 낳아 궁실의 큰 경사라 하여 1105년 숙종10년에는 외향인 이 소성현을 경사의 근원지를 뜻하는 경원군(慶源郡)으로 승격하였다. 17대 인종은 어머니 인천 이씨 문경태후의 친정이므로 인주(仁州)로 재승격시켰으며, 망국 2년 전인 34대 공양왕 2년(1390)에는 칠대어향(七代御鄕)이라는 뜻에서 경원부(慶源府)로 세 번째 승격시켰다.
1392년 조선 태조 1년 인주로 격하(환원)된 뒤, 태종 13년(1413) 주(州)자를 가지는 도호부 이하의 군·현 명을 산(山), 천(川) 두 글자 중 하나로 개정토록 함으로, 비록 재격하이기는 하나 인천이라는 이름이 태어났고, 그날 (1413년 10월 15일)을 기념하는 '인천 시민의 날'이 생겼다.

1460년 세조 6년에는 세종비 소헌왕후의 외향이라 하여 인천 도호부로 승격되어 조선말까지 이어졌다. 1883년 개항으로 읍치가 관교동에서 제물포로 이전하였다. 1895년 고종 32년의 지방관제 개편으로 전국을 23부로 나누자 인천부, 건양원년(1896)에 다시 경기도 인천부가 됐다.

"제물포"는 1883년 개항 이전에는 그리 널리 사용되지 않았다. 제물포는 개항 당시 10여개의 고기잡는 집들이 산재한 구릉 지역이었고, 저지대에 생긴 각국 조계에는 갈대가 무성하였다. 월미도 동단이나 만석동 해변의 민가에서 사람이 살 뿐 산에는 아무도 살지 않았고, 선박의 출입도 없는 조용한 해안이었다. 1883년 개항할 때에는 일본인 거류지에 33가구에 200명의 일본인이 살았고, 연말에는 348명으로 인구가 증가하였다. 이와 비슷한 시기에 인천부 청사를 관교동에서 제물포로 이전하였다. 청일전쟁 후인 1895년에는 4,148명의 일본인이 거주하여, 한국인 4,728명과 비등하게 급격히 증가하였다. 1900년에서 1905년에는 일본인의 인구가 300% 이상 증가하였고, 일본인이 한국인보다 1,845명이 많이 거주하는 일본인의 도시로 변모했으나 1910년에는 일본인들이 서울로 많이 빠져나가 인구가 줄었다.[1]

1906년 인천의 일본인 거리(위)와 조선인 거리(아래)
  • 1910년 10월 1일: 일제는 대한제국에 대한 1910년 8월 29일의 강제합병에 따른 인천부의 새 관할구역을 종래의 인천부 일원으로 유지한다는 총독부령을 발표했다.[2]
  • 1914년 4월 1일: 인천부를 분해하여, 항구 주변의 도심지만을 인천부로 지정하고, 인천부의 나머지 면과 부평군부천군으로 개편하였다.[3]
  • 1936년 10월 1일 부천군 다주면(도화리, 장의리, 용정리, 사충리)과 문학면 일부(옥련리, 학익리, 승기리)를 인천부에 편입하였다.
  • 1940년 4월 1일: 부천군 문학면, 남동면, 부내면, 서곶면을 인천부에 편입하였다.[4]
1945년 9월. 미군이 촬영한 인천의 모습

지리

서쪽으로 황해에 면하고 있으며, 해안 매립지가 널리 분포되어 있다. 잔구형산맥이 해안까지 발달해 있고, 시가지를 중심으로 300m 내외의 잔구들이 연속적으로 펼쳐진 반도형 지괴가 시가지를 이루고 있다. 부평구는 원적산, 광학산(201m), 거마산(205m)을 경계로 인천 도심과 시가지가 분리되고, 연수구문학산(213m)을 경계로 인천 도심과 시가지가 구분되며, 계양구계양산, 천마산(285m)을 경계로 인천 도심과 별개의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다. 강화군도 행정구역상 인천에 통합되었지만, 강화대교가 연결된 동쪽의 김포시와 밀접한 생활권이며 인천 도심과는 별개의 시가지이다.

면적

인천은 1981년 7월 1일 직할시로 승격 당시 면적은 201.21km²였다. 1989년 1월 1일 경기도 김포군 계양면(30.9km²)과 옹진군 영종면용유면(72.0km²) 편입으로 면적이 310.83km²가 되었다. 1995년 3월 1일 강화군(401.3km²), 옹진군(163.6km²), 김포군 검단면(42.2km²)의 통합으로 면적이 955km²가 되었다. 2000년 이후 공유수면매립 등으로 2005년에는 면적이 994.12km²로 확장되었으며, 2013년 기준으로 1,040.82km²에 이르고 있다. 전체 넓이는 1,040.82km²이지만 그 중에 섬을 제외하면 인천 본토의 넓이는 절반 정도이다.

대기

인천은 강한 편서풍 기류를 타는 몽골 사막지대의 황사 발생원에 가깝기 때문에 산이 있는 대한민국의 다른 내륙지방에 비해 황사의 영향을 많이 받는다. 황사가 미치는 영향은 먼지의 증가로 인해 호흡기 질환 및 눈병의 유발 등 인체의 건강에 피해를 주게 되며 농작물 및 활엽수의 기공을 막아 생육에 장애를 일으키고 태양빛을 차단하고 산란시켜 시정악화로 교통장애를 유발한다.[12] 2010년 환경부 산하 국립환경과학원이 대한민국 7대 도시의 미세먼지 등 대기환경기준 대기오염물질에 대한 측정자료 분석 결과 대전의 대기가 가장 깨끗한 반면, 인천의 대기 미세먼지 농도는 가장 높아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됐다.[13]

기후

인천은 냉대 동계 소우 기후[14](쾨펜의 기후 구분 Dwa)[15]에 속하며, 구분에 따라서는 습윤 대륙성 기후로 분류하기도 한다. 해안도시이지만 낮은 수심의 경기만 깊숙이 위치해 있어 기온과 강수량은 내륙 지방과 비슷하다. 7~8월에 기온이 가장 높고 강수량이 높다. 인천은 북서풍의 영향을 받아, 같은 위도 상에 있는 동해 연안의 도시보다 겨울철 기온이 낮다. 강수량은 한국 중부의 타 지역에 비해 적은 편이다. 옹진 섬 지역은 인천 육지보다 바다의 영향으로 따뜻한 편이다. 5월에서 7월 사이에는 안개가 많이 낀다.

인천 (1981-2010)의 기후
1월 2월 3월 4월 5월 6월 7월 8월 9월 10월 11월 12월 연간
평균 일 최고 기온 °C (°F) 1.7
(35.1)
4.4
(39.9)
9.6
(49.3)
16.1
(61.0)
21.3
(70.3)
25.4
(77.7)
27.6
(81.7)
29.0
(84.2)
25.5
(77.9)
19.7
(67.5)
11.8
(53.2)
4.7
(40.5)
16.4
(61.5)
일 평균 기온 °C (°F) −2.1
(28.2)
0.3
(32.5)
5.1
(41.2)
11.3
(52.3)
16.4
(61.5)
20.9
(69.6)
24.0
(75.2)
25.2
(77.4)
21.1
(70.0)
15.0
(59.0)
7.6
(45.7)
0.9
(33.6)
12.1
(53.8)
평균 일 최저 기온 °C (°F) −5.4
(22.3)
−3.1
(26.4)
1.7
(35.1)
7.6
(45.7)
12.8
(55.0)
17.6
(63.7)
21.5
(70.7)
22.4
(72.3)
17.5
(63.5)
11.0
(51.8)
3.9
(39.0)
−2.6
(27.3)
8.7
(47.7)
평균 강수량 mm (인치) 20.6
(0.81)
20.8
(0.82)
40.5
(1.59)
57.7
(2.27)
100.3
(3.95)
112.0
(4.41)
319.6
(12.58)
285.8
(11.25)
153.5
(6.04)
53.4
(2.10)
51.0
(2.01)
19.3
(0.76)
1,234.4
(48.60)
평균 강수일수 (≥ 0.1 mm) 6.6 5.3 6.7 7.3 8.7 9.7 14.9 12.5 8.2 6.2 8.5 7.3 101.9
평균 상대 습도 (%) 61.5 61.8 63.4 64.1 70.3 74.8 82.2 79.1 73.1 67.3 63.9 62.0 68.6
평균 월간 일조시간 178.0 181.5 204.9 219.4 231.4 203.4 156.8 191.0 197.6 211.2 168.6 171.0 2,314.9
출처: 대한민국 기상청[16]

행정

행정 구역

인천광역시의 행정 구역은 8개 와 2개 이 있다. 하위 행정구역은 1읍 19면 125동이다. 면적은 1032.41㎢이다. 그 중 영종도는 63.8㎢이고, 무의도는 9.43㎢이며, 강화군은 411.274㎢이다. 강화군옹진군을 제외한 인천 본토의 면적은 457.48㎢이다.[17] 2011년 12월 31일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인천광역시의 주민등록 인구는 1,097,491세대, 2,843,981명이다.

자치구·군 한자 세대 인구 (명) 면적 (㎢) 지도
중구 中區 42,288 97,648 123.08
동구 東區 32,208 79,793 7.19
남구 南區 171,868 424,815 24.84
연수구 延壽區 102,953 291,745 45.57
남동구 南洞區 188,124 507,705 57.01
부평구 富平區 212,946 569,130 31.99
계양구 桂陽區 127,929 347,422 45.58
서구 西區 160,340 446,272 113.91
강화군 江華郡 29,071 67,339 411.32
옹진군 甕津郡 9,836 19,622 171.92
인천광역시 仁川廣域市 1,077,563 2,851,491 1032.41

자치단체장

인천광역시의 시장, 교육감, 시의원은 지방선거에 의해 선출되는 선출직이며, 현재의 선출직 공무원들은 대한민국 제5회 지방 선거에 의해 뽑힌 사람들이다. 현재 인천광역시장민주통합당송영길(전남 고흥)이다. 전임 시장은 민선 3·4기 한나라당안상수(충남 태안)와 민선 1·2기 민주자유당자유민주연합 소속의 최기선이었다. 현재 인천시 교육감은 나근형이다.

시의회

시의회는 5명의 교육의원을 포함하여 총 38명의 정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민주통합당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인천광역시의 각 자치구에는 의회가 구성되어 있다. 교육의원은 전부 보수 성향이다.

정당별 의석수 (2012년 12월 15일 기준)
합계 내역
민주당 새누리 정의당 무소속 교육의원
합계 37 22 7 2 2 4
내역 지역구 30 20 6 2 2
비례대표 3 2 1 -
교육의원 4 4
(교육의원 1명은 현재 부재)

택지개발예정지구

경제자유구역

모두 20,938 ha의 면적을 차지하는 인천경제자유구역(IFEZ)은 송도, 청라 및 영종의 세 구역으로 구분되며, 동북아시아의 물류, 비즈니스, 레저, 관광산업 중심지로 탈바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해외 자본의 유치와 외국인들의 거주를 용이하기 위해 경제자유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 2003년 대한민국 정부에 의해 공식적으로 지정되었으며, 대한민국 내에서는 최초로 지정되었다.

송도국제도시

1994년 개발이 시작된 송도국제도시는 바다를 매립하여 건설되었으며, 지금도 그 과정이 진행 중이다. 국제 금융과 무역, 지식기반산업, 친환경적인 주거지역으로 특화되어 있으며 2020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13,162 에이커의 면적에 252,000명의 인구를 수용할 계획에 있다.

영종지구

인천국제공항을 끼고 있는 13,833 ha 면적의 영종지구는 2020년까지 친환경적인 공항신도시로 계발될 계획에 있다. 공항에서 근무하는 직원들과 방문객들, 물류업 종사자들에게 특화된 지역으로 계획되어 있다. 인천국제공항과 연계한 물류, 관광 산업에 최적화되어 있다. 모두 144,800명의 인구를 수용할 계획에 있으며 2016년 완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청라지구

영종도와 맞닿아 있는 육지에 위치한 청라지구에는 테마파크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체육시설, 원예단지와 국제 금융에 특화되어 있다. 모두 1,778 ha의 면적을 차지하며 90,000명의 인구를 수용할 계획에 있다.


경제

통계청이 분석한 2010년 인천의 1인당 개인소득은 1,241만원으로 전국 최하위권이다.[18] 국세청이 발표한 근로자의 평균 연간 급여는 인천이 2,148만원으로 전국에서 가장 낮은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19] 인천시민의 개인소득은 5년 연속 광역시 꼴찌를 기록하고 있다.[20] 소비 지출 규모도 광역시 중 가장 낮다. 백화점 매출액에서도 인천보다 인구가 적은 대구, 대전, 광주, 울산보다도 낮아서 거점도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된다.[21] 인천시민의 1인당 부채도 광역시 중 제일 높아서 경제적으로 심각한 수준이다.[22] 통계청, 금융감독원,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3 가계금융·복지조사 결과' 인천의 가구당 평균 부채 규모는 5518만원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국 광역시 중 가장 높은 수치다. 반면 가구당 평균 자산 규모는 2억5천488만원으로 집계되어 서울, 울산, 대구, 대전 등 다른 도시 시민들보다 자산 규모가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민들이 다른 지역 주민들에 비해 버는 돈은 적고, 예금이나 부동산 같은 자산도 별로 없는데, 빚은 많이 지고 있다는 의미이다.[23]

교통

파일:Incheon International Airport.jpg
인천국제공항

대한민국 최대 규모인 인천국제공항중구 영종도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부산, 제주 등 국내 도시와 도쿄, 상하이, 뉴욕, 싱가포르, 홍콩, 런던, 파리, 프랑크푸르트, 오사카 등의 외국 도시로 연결되고 있다. 수로에서 수도권의 관문인 인천항1875년에 처음으로 개항되었다. 인천항에는 갑문식 도크(Dock)가 있다. 인천항은 수출항이며, 구형 자동차와 각종 수출품들을 외국으로 수송하고 인천과 중국으로 오가는 여객선이 있다. 한편, 인천의 철도 체계 또한 시간이 지날수록 확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최초로 1899년에 건설된 경인선일제 강점기에는 주로 일본의 자원수탈 수단으로 사용되다 1974년 8월 15일 이후 복선 전철화와 동시에 서울 지하철통근형 전동차직결 운행하여 인천시민들이 서울로 이동하는데 교통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 1999년에는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계양구송도국제도시를 잇는 형태로 개통되었고 2호선 또한 2016년 개통을 목표로 건설중에 있다. 이전에 협궤 단선철도로 운영된 수인선이 개궤되어 2012년 송도역부터 오이도역구간의 1차 개통을 완료하였으며, 제2공항철도인천 도시철도 3호선, GTX의 건설도 계획되고 있다. 도로 교통에서는 인천에 4개의 고속도로 (경인고속도로, 제2경인고속도로/인천대교고속도로, 영동고속도로, 인천국제공항고속도로)와 1개의 고속화도로(제3경인고속화도로)가 시작되며,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도 인천의 극동부 지역을 경유하고 있다. 인천 송도에서 서울 강남까지 지하철을 이용하면 90분 정도 걸리지만 광역버스를 이용하면 1시간 정도 걸린다.

버스

  • 인천에는 62개의 간선버스(시내버스)와 64개의 지선버스(마을버스), 34개의 좌석버스(2007년 9월 5일 기준)가 운영되고 있다. (관련 페이지)
  • 인천광역시는 2009년 4월부터 서울특별시·경기도가 이미 시행하고 있는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환승할인제에 참여할 예정이었다.[24] 하지만, 실제로는 2009년 10월 10일에 시행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2009년 2월 25일부터 준공영제가 시행되고 있으며 후일 그 운영 방식이 변경되었다. 서울 강서구 화곡동까지 BRT가 건설 중에 있다.
  • 인천광역시에는 신도심에 설치된 남구 관교동인천종합버스터미널만이 존재하고 있다. 하지만 일부 시외버스는 이전 용현동에 있었던 구 터미널을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다.

철도

인천역
동인천역
부평역

수도권 전철 1호선을 이용하여 인천에서 구로, 서울, 청량리, 의정부를 넘어 소요산까지 이동할 수 있다. 인천 내에는 모두 11개의 역이 설치되어 있으며 부평역을 통해 인천 도시철도 1호선으로 환승할 수 있다. 같은 선에 용산역까지 급행선이 설치되어 있으며 동인천역에서 출발하여 주요하다고 평가되는 역에만 정차한다. 추후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개통되면 주안역에서 갈아탈 수 있게 된다. 또한 수인선의 2차 구간(인천역- 송도역 구간)이 재개통되면 인천역에서 수인선으로 환승이 가능해진다.KTX, 새마을호, 무궁화호, 누리로 등의 일반 열차는 서울역·용산역·영등포역으로 가야만 탈 수 있다.

※ 굵게 표시된 역은 환승역.

(부천시) ← 부개역 - 부평역 - 백운역 - 동암역 - 간석역 - 주안역 - 도화역 - 제물포역 - 도원역 - 동인천역 - 인천역 → (시종착역)
(급행전철 운행: 부평역 - 동암역 - 주안역 - 동인천역)

현재 인천광역시에서 운영하는 인천 도시철도는 1개 노선으로 이루어져 있다. 부평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 계양역에서 공항철도환승할 수 있으며, 모두 29.4km의 길이에 28개의 역이 설치되어 있다. 인천교통공사(구 인천메트로)가 이 노선의 운영을 맡고 있다. 현재 서구 오류동과 인천대공원을 잇는 인천 도시철도 2호선이 건설되고 있고, 개통되면 검암역에서 인천국제공항철도, 주안역에서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인천시청역에서 인천 도시철도 1호선으로 각각 환승할 수 있게 된다. 모두 29.2km의 길이에 27개의 역이 설치될 계획에 있다. 2009년 6월 26일에 공사가 시작되었으며, 2015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다.

원인재역
(시종착역) ← 계양역 - 귤현역 - 박촌역 - 임학역 - 계산역 - 경인교대입구역 - 작전역 - 갈산역 - 부평구청역 - 부평시장역 - 부평역 - 동수역 - 부평삼거리역 - 간석오거리역 - 인천시청역 - 예술회관역 - 인천터미널역 - 문학경기장역 - 선학역 - 신연수역 - 원인재역 - 동춘역 - 동막역 - 캠퍼스타운역 - 테크노파크역 - 지식정보단지역 - 인천대입구역 - 센트럴파크역 - 국제업무지구역 → (시종착역)

2007년 3월에 김포국제공항과 인천국제공항을 잇는 공항철도(A'REX)가 개통하였다. 모두 40.3km인 이 노선의 개통 초기에는 공항철도(주)에서 운영하였으나 최근 이 노선의 운영권이 한국철도공사의 자회사인 코레일공항철도로 이전되었다. 계양역에서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 환승할 수 있으며, 2010년 12월에는 서울역까지 연장되었다. 추가 연장구간의 길이는 모두 20.7km이며, 연장 구간에 위치한 전 역은 환승역이다.

(시종착역) ← 인천국제공항역 - 공항화물청사역 - 운서역 - 검암역 - 계양역 → (서울특별시 강서구)

한편 한국철도공사는 인천역과 수원역을 잇는 수인선을 복선전철화하여 재건설하고 있으며, 인천 내에는 10개 역이 설치될 예정이다. 인천 메트로 1호선원인재역에서 환승이 가능하다. 1차 구간인 송도역부터 오이도역까지의 구간은 2012년 6월 말 개통되었다. 현재 2차구간인 송도역부터 인천역 사이의 구간은 공사중이다.

(시종착역) ← 인천역 - 국제여객터미널역 - 남인천역 - 용현역 - 송도역 - 연수역 - 원인재역 - 남동인더스파크역 - 호구포역 - 인천논현역 - 소래포구역 → (경기도 시흥시)

또한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의 서울 지하철 7호선 역시 2012년 10월 개통한 연장 구간 중 일부가 인천광역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부평구청역에서 인천 도시철도 1호선과의 환승이 가능하다. 2018년경에는 2호선과의 환승이 예정되어있다.

(경기도 부천시) ← 삼산체육관역 - 굴포천역 - 부평구청역 → (시종착역)

항공

대한민국 최대 국제공항인 인천국제공항이 인천에 위치해 있다. 2001년 3월 29일에 개항하였으며 인천국제공항공사가 운영하고 있다. 2005년 기준으로 국제선 157,134편과 국내선 3,709편을 합쳐 모두 160,843편의 항공편이 이 공항을 오가며 일 평균 431편의 국제선과 10편의 국내선이 운항되고 있다. 이 공항을 오가는 항공편의 59.7%가 대한민국의 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의 것이며 나머지 40.3%는 외국 항공사들에 의해 운항되고 있다.

문화

인천문화재단은 2006년부터 공공미술 프로젝트의 하나로 "아름다운 교문 만들기"에 나섰다. 권위적인 모습으로 학교의 "문턱" 역할을 해 왔던 교문을 학교와 지역사회가 만나고 머무르는 공간으로 바꾼다는 취지이다. 지역 공공미술 창작팀들이 작업을 맡아 2007년에는 남동구 구월초등학교와 부평구 성동학교의 교문이 모습을 바꿨다.[25]

스포츠

파일:Incheon Munhak 2.JPG
문학경기장.

인천은 한국 근대 스포츠의 시발점으로서 축구와 야구가 대한민국에 가장 먼저 소개된 도시이다. 현재 인천을 연고지로 삼고 있는 프로 스포츠 팀은 총 4개 종목(축구, 야구, 농구, 배구) 6개 팀이 운영 중이다.

인천 연고 프로 스포츠 팀들은 남구 문학동의 인천문학경기장, 부평구 삼산동의 삼산월드체육관, 계양구 서운동의 계양체육관, 남구 숭의동의 인천축구전용경기장 등을 홈 경기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또한 2014년 아시안 게임을 위해 건립 중인 송림경기장(배구전용구장)이 건립되면 현 계양체육관의 기능을 이전할 예정이다.

리그 창단년도 홈 경기장
프로 야구 SK 와이번스 2000년 문학야구장
K리그 클래식 인천 유나이티드 2003년 인천축구전용경기장
WK리그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1993년 현대제철 종합운동장
KBL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 1997년 삼산월드체육관
WKBL 인천 신한은행 에스버드 2004년 선학체육관
V-리그 (남) 인천 대한항공 점보스 1986년 계양체육관
V-리그 (여)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1971년

한국마사회 지점이 남구 숭의동, 부평구 부평5동, 중구 동인천동, 연수구 연수동에 있다.

주요 행사

근래에 들어서 인천 내에서 여러 굵직한 행사들이 개최되었다. 2009 인천세계도시축전이 2009년 8월 7일부터 10월 25일까지 80일간 송도에서 개최되었다. 2014년 아시안 게임의 개최가 예정되어 있다.

종교

인천에는 가톨릭, 개신교, 불교, 유교, 원불교, 천도교, 대종교, 증산도, 대순진리회 신자가 모두 존재하고 있지만, 종교를 가지고 있는 주민의 상당수는 기독교 신앙을 지니고 있으며, 불교신자수가 전체 중 14.4%에 지나지 않아 개신교의 세가 큰 전라남도, 전라북도와 함께 불교도가 적은 지역으로 꼽힌다. 실제로 조계종 실천불교전국승가회 부설 불교미래사회연구소는 부평/계양구와 남/연수구를 주요 포교 취약지로 인정하고 있다.[26] 특히 인천에는 대한민국의 성장기인 1960년대 ~ 1970년대에 기독교 신자가 급증하였고, 그 결과로 많은 수의 교회들이 생겨나 성장하였다. 현재 인천지역에는 가톨릭 인천교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인천 내에는 82개의 성당과 33개의 공소가 있다[27]. 한국 정교회는 간석동에 성 바울로 성당을 두고 있으며, 한국 성공회에서는 성공회 서울교구의 서부교무구와 강화교무구에 18개의 성당을 두고 있다[28]. 개신교 교회들 중에서 숭의교회, 인천순복음교회, 주안장로교회, 내리교회, 등의 주요 교회가 있다.

인천의 초기 개항장이었던 중구 항동 1가에는 한국기독교100주년기념탑이 위치해 있으며, 동인천역 부근에 있는 답동성당은 사적으로, 성공회 내동성당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강화군에는 강화읍에 성공회 강화성당이 사적으로, 성공회 온수리성당은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관광

인천 차이나타운
인천대교

인천의 명물 음식으로는 동구 화평동의 세숫대야 냉면, 중구 신포시장에 있는 닭강정쫄면모밀국수, 중구 선린동 차이나타운짜장면등을 대표적으로 들 수 있다. 중구 연안동 연안부두 앞에 위치한 인천종합어시장 일대의 횟집 거리와 중구 북성동 월미도의 횟집 거리도 많은 인파가 찾는 명소다.

인천은 바다와 맞닿은 항구 도시이기 때문에 바다와 관련된 명소가 많다. 천국의 계단, 슬픈 연가, 실미도 등 각종 드라마 및 영화의 촬영지로 널리 알려진 무의도, 신도, 시도, 실미도 등 인천 앞바다의 섬은 행락객들이 자주 찾는 유명 섬으로 자리잡았다. 중구 북성동 월미도 문화의 거리 역시 많은 인파가 찾는 볼거리 중 하나다.

2009년 10월 완공된 인천대교연수구 옥련동과 영종도를 연결하는 인천대교는 대한민국에서 가장 긴 교량이자 세계에서 7번째로 긴 교량이다.

강화군에는 대한민국에서 제일 오래된 한옥성당인 성공회 강화성당과 용흥궁, 초지진, 광성보 등 근현대사의 문화 유산이 많다.

자매 도시

다음은 자매결연을 체결한 도시이다.[29]

 체결연도   도시  국가
1961 . 12. 18 버뱅크 미국의 기 미국
1983 . 08 . 15 필라델피아 미국의 기 미국
1986 . 10 . 07 앵커리지 미국의 기 미국
1988 . 12 . 20 기타큐슈 일본의 기 일본
1993 . 12 . 07 톈진 중국의 기 중국
1997 . 07 . 24 하이퐁 베트남의 기 베트남
2000 . 03 . 16 파나마시티 파나마의 기 파나마
2000 . 05 . 14 텔아비브 이스라엘의 기 이스라엘
2000 . 05 . 17 알렉산드리아 이집트의 기 이집트
2003 . 10 . 15 호놀룰루 미국의 기 미국
2007 . 06 . 01 충칭 중국의 기 중국
2007 . 10 . 15 메리다 멕시코의 기 멕시코
2007 . 10 . 15 콜카타 인도의 기 인도
2008 . 10 . 07 마닐라 필리핀의 기 필리핀
2009 . 03 . 27 프놈펜 캄보디아의 기 캄보디아
2009 . 09 . 14 예카테린부르크 러시아의 기 러시아
2009 . 09 . 14 반텐 주 인도네시아의 기 인도네시아
2010 . 04 . 06 고베 일본의 기 일본
2010 . 09 . 06 베네토 주 이탈리아의 기 이탈리아
2012 . 06 . 30 블라디보스토크 러시아의 기 러시아

출신 인물

같이 보기

참고

  1. 김종헌, 근대의 철도부설과 도시구조의 변화, 내륙에서 항구로, 문화재사랑 2011년 8월호
  2. 조선총독부령 제7호 (1910년 10월 1일)
  3. 조선총독부령 제111호 (1913년 12월 29일)
  4. 조선총독부령 제40호 (1940년 3월 28일)
    구 행정구역 신 행정구역
    부천군 문학면, 남동면, 부내면, 서곶면 인천부 일부
  5. 법률 제32호 (1949년 7월 4일)
  6. 법률 제1175호 시 · 군 관할 구역 변경 및 면의 폐치에 관한 법률 (1962년 11월 21일)
  7. 법률 제1919호 인천시 구 설치에 관한 법률 (1967년 3월 30일)
    관할 구역
    중구 중앙1 · 2 · 3 · 4가동, 해안1 · 2 · 3 · 4가동, 항동1 · 2 · 3 · 4 · 5 · 6 · 7가동, 관동1 · 2 · 3가동, 송학1 · 2 · 3가동, 사동, 신생동, 신포동, 답동, 신흥1·2·3가동, 선화동, 유동, 율목동, 도원동, 북성1 · 2 · 3가동, 선린동, 인현동, 전동, 내동, 경동, 용동, 송월1 · 2 · 3가동
    동구 만석동, 화수동1 · 2 · 3동, 화평동, 송현1 · 2 · 3 · 4동, 창영동, 금곡1 · 2동, 송림동1 · 2 · 3 · 4동
    남구 도화1 · 2동, 주안1 · 2동, 구월동, 간석동, 만수동, 장수동, 서창동, 운연동, 남촌동, 수산동, 도림동, 논현동1 · 2동, 우기동, 관교동, 문학동, 선학동, 연수동, 청학동, 동춘동, 용현1 · 2동, 학익1 · 2동옥련동, 숭의1 · 2 · 3 · 4동
    북구 부평1 · 2 · 3동, 십정1 ·2동, 산곡동, 청천동, 효성동, 계산1 · 2동, 작전동, 서운동, 삼산동, 갈산동, 부개동, 일신동, 구산동, 백천동, 시천동, 검암동, 경서동, 공촌동, 연희동, 심곡동, 가정동, 신현동, 석남동, 원창동, 가좌동
  8. 법률 제3424호 대구직할시 및 인천직할시 설치에 관한 법률 (1981년 4월 13일)
  9. 대통령령 제12367호 서울특별시 송파구 등 13개 구 설치와 구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규정 (1987년 12월 31일)
  10. 법률 제4051호 부산직할시 강서구 설치 및 시·도의 관할 구역 변경에 관한 법률 (1988년 12월 31일)
  11. 법률 제4802호 서울특별시 광진구 등 9개 자치구 설치 및 특별시 · 광역시 · 도간 관할 구역 변경 등에 관한 법률 (1994년 12월 22일)
  12. 대한민국 외교부 외교통상용어사전 - 황사현상
  13. 미세먼지 농도 인천 '심각'..대전 '쾌청'《아시아경제》
  14. 크리스티안 디트리히 쇤비제, 김종규 역, 기후학, 시그마프레스, 2006, 314쪽, ISBN 89-5832-203-9
  15. World Map of the Köppen-Geiger climate classification updated
  16. “평년값자료 30년 (1981-2010) 인천(112)”. 대한민국 기상청. 2011년 11월 19일에 확인함. 
  17. 인천광역시 주요현황
  18. 지역별 1인당 개인소득 순위《연합뉴스》
  19. 시도별 근로자 평균 연간급여《연합뉴스》
  20. 인천시민 1인당 소득 수준 5년 연속 7대 도시 중 ‘꼴찌’《경기일보》
  21. 서울서 경제활동 무늬만 인천시민 많다《경인일보》
  22. 심각한 인천시민들의 가계 부채《인천신문》
  23. 통계로 보는 인천시민의 삶 팍팍하다 - 가구당 자산·소득 최저 부채는 최다《경인일보》
  24. 송원영, 인천도 내년(2009년) 4월부터 통합환승할인《한국일보》2008년 9월 5일
  25. 정기환 기자. “도시는 미술관 시리즈 ⑪ 인천 ‘아름다운 교문 만들기’”. 중앙일보. 2009년 7월 4일에 확인함. 
  26. 신혁진 기자. “경기택지개발 종교용지 온통 개신교‥불교는 ‘제로’”. 불교포커스. 2012년 3월 3일에 확인함. 
  27. 가톨릭 인천교구 홈페이지: 성당/공소
  28. 대한성공회 홈페이지: 서울교구 교회 목록
  29. 자매·우호도시 현황

바깥 고리

틀:아시안 게임 개최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