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육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Eggmoon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3월 21일 (금) 00:39 판 (175.208.77.158(토론)의 편집을 관인생략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이원록 또는 이원삼
작가 정보
출생1904년 5월 18일
경상북도 안동 도산면
사망1944년 1월 16일(1944-01-16) (향년 39세)
베이징 일본총영사관 감옥
국적대한제국 대한제국
직업시인, 독립운동가
필명이육사
장르
배우자안일양
자녀이옥비, 이동박
주요 작품
광야,청포도

이육사(李陸史, 1904년 5월 18일 - 1944년 1월 16일)는 한국의 시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본명은 이원록(李源祿) 또는 이원삼(李源三)이다. 육사(陸史)는 그의 아호로 대구형무소 수감생활 중 수감번호인 264를 후일 아호로 썼다. 다른 필명은 이활(李活)이다.

생애

이육사 동상

경상북도 안동군 도산면에서 태어났다. 본관은 진성(진보)이며, 퇴계 이황의 14대손이다. 한학을 수학하다가 도산공립보통학교에 진학하여 신학문을 배웠다.

1925년 10대 후반에 가족이 대구로 이사한 뒤 형제들과 함께 의열단에 가입하였고, 1927년 10월 18일 일어난 장진홍조선은행 대구지점 폭파 사건에 연루된 혐의로 큰형인 원기, 맏동생 원일과 함께 처음 투옥되었다.

이원록의 필명은 여러가지가 있고, 호에 대한 몇가지 이야기가 있어 기재한다. 하나는 대구형무소에 수감되어 받은 수인 번호 '264'의 음을 딴 '二六四'에서 나왔다고 전해지며,'李活'과 '戮史', '肉瀉'를 거쳐 '陸史'로 고쳤다고 전해진다. 1929년 이육사가 대구형무소에서 출옥한 후 요양을 위해 집안어른인 이영우의 집이 있는 포항으로 가서 머문 적이 있었는데, 이육사가 어느 날 이영우에게 "저는 "戮史"란 필명을 가지려고 하는데 어떻습니까?"라고 물었다. 이 말은 '역사를 찢어 죽이겠다'라는 의미였다. 당시 역사가 일제 역사이니까 일제 역사를 찢어 죽이겠다, 즉 일본을 패망시키겠다는 의미였다. 이에 이영우는 "표현이 혁명적인 의미를 너무 노골적으로 드러내는 것이니, 같은 의미를 가지면서도 온건한 '陸史를 쓰라'고 권고하였고, 이를 받아들여 '陸史'로 바꿔 썼다고 전해진다. 그리고 '肉瀉'라는 이름은 고기 먹고 설사한다는 뜻으로 당시 일제 강점 상황을 비아냥거리는 의미로, 1932년 조선일보 대구지국 기자로 근무했을 적 대구 약령시에 대한 기사를 네 차례 연재할 때 사용되었다. 이육사의 필명이나 호를 순서대로 정리하면 李活(1926-1939), 大邱二六四(1930), 戮史(1930), 肉瀉(1932), 陸史(1932-1944)와 같고 이원록이 '陸史'로 불리게 된 연유이다.

문단 등단 시기는 《조선일보》에 〈말〉을 발표한 1930년이며, 언론인으로 일하면서 중국과 대구, 경성부를 오가면서 항일 운동을 하고 시인부락, 자오선 동인으로 작품도 발표했다. 그동안 대구 격문 사건 등으로 수차례 체포, 구금되었다.

1932년 6월 초 중국 베이징 시에서 만국빈의사에서 노신을 만나, 동양의 정세를 논하였다. 후일 노신이 사망하자 조선일보에 추도문을 게재하고 그의 작품 《고향》을 번역하여 한국내에 소개하였다.

1943년 어머니와 큰형의 소상을 위해 잠시 귀국했다가 체포되어 베이징으로 압송되었고, 다음해인 1944년 1월 16일 베이징 주재 일본 총영사관 감옥에 구금 중 순국했다. 둘째동생이 그의 유해를 수습하여 서울 미아리 공동묘지에 안장했고, 광복 후 1960년 안동시에 이장했다. 유고시집 《육사시집》(1946)이 동생이자 문학평론가인 이원조에 의해 출간되었다.

이후 대한민국 정부는 일제 강점기 하의 그의 항일 투쟁 활동과 일제 강점기 하의 詩作활동을 기려 '건국포장', '건국훈장 애국장', '금관문화훈장'을 추서하였다. 그의 탄신 100주년과 순국 60주년을 기념하여 2004년에는 고향인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원촌마을에 '이육사 문학관'이 건립되었으며 시문학상이 제정되었다. 또한 안동시는 안동 강변도로를 '육사로'로 명명하였다.

가족관계

이육사의 안경. 이육사문학관 소장.
  • 고조부 이정순(李程淳, 1764~1844)
  • 증조부 이만수(李晩秀, ?~?)
  • 조부 이중직(李中稙, ?~1916)
  • 조모 오종(吳鐘, ?~?)
  • 외종증조부 허조(許祚, 1817~?)
    • 외재종조부 허훈(許薰, 1836~1907) 허겸(許蒹, 1851~1940) 허위(許蔿, 1855~1908)
  • 외조부 허형(許蘅, 1843~1922)
    • 외숙부 허발(許潑, 1872~1955) 허규(許珪, 1884~1957)
  • 외종조부 허필(許苾, 1855~1932)
  • 부 이가호(李家鎬, ?~1941)
  • 모 허길(許佶, 1876~1942)
  • 장인 안용락(安庸洛, ?~?)
  • 처남 안병철(?~?)
  • 처 안일양(安一陽, 1905~1983)
    • 아들 이동윤(李東胤, 1930~1932)
    • 딸 이경영(李京英, ?~?)
    • 딸 이옥비(李沃非, 1941~)
    • 양자 이동박(李東博, 1941~)
  • 이원기(李源祺, 1899~1942)
  • 동생 이원일(李源一, 1906~?)
  • 동생 이원조(李源朝, 1909~1955)
  • 동생 이원창(李源昌, 1914~?)
    • 아들 이동박(李東博, 1941~)
  • 동생 이원홍(李源洪, ?~?)
  • 증고종숙 이영우(李英雨, ?~?)
    • 조카 이상흔(李相欣, ?~?)
  • 종조부 이원식(李元植, ?~?)
    • 재종형제 이경식(李京植, 1895~?)
  • 종백숙부 이동하(李東廈, 1875~1959)

이육사를 연기한 배우들

참고자료

바깥 고리

틀:1994년-이 달의 독립 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