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58.76.177.230 (토론)님의 2015년 9월 8일 (화) 22:29 판
이란 이란
별칭Ŝirāne Irān (이란의 사자들)
Ŝāhzādegāne Pārsi (페르시아의 왕자)
Setāregāne Pārsi (페르시아의 스타)
Eftexāre Pārs (페르시아의 명예)
협회이란 축구 협회
대륙 연맹AFC
감독포르투갈 카를루스 케이로스
주장자바드 네쿠남
최다 출전자알리 다에이 (149)
최다 득점자알리 다에이 (109)
홈 구장아자디 경기장
FIFA 코드IRN
FIFA 랭킹
현재이 페이지에서 확인하세요
최고 순위15위 (2001년 7월)
최저 순위122위 (1996년 5월)
첫 국제 경기 출전
아프가니스탄 0 - 0 이란
(아프가니스탄, 카불; 1941년 1월 1일)
최다 점수차 승리
이란 19 - 0
(이란, 타브리즈; 2000년 11월 24일)
최다 점수차 패배
튀르키예 6 - 1 이란
(터키, 이스탄불; 1950년 5월 28일)
대한민국 5 - 0 이란
(일본, 도쿄; 1958년 5월 28일)
FIFA 월드컵
출전 횟수4회 (197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조별리그 (1978년, 1998년, 2006년, 2014년)
AFC 아시안컵
출전 횟수13회 (1968년에 처음 출전)
최고 성적우승 (1968년, 1972년, 1976년)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 (페르시아어: تیم ملی فوتبال ایران‎)은 이란을 대표하는 축구 국가대표팀이다. 팀 멜리라고 불리기도 한다. 2014년 FIFA 랭킹에서 51위를 기록하면서 아시아에서 제일 높은 나라로 등극하기도 하였다.

이란 축구 국가대표팀은 AFC 아시안컵에서 3번의 우승 경험 (1968년, 1972년, 1976년)을 하였고, FIFA 월드컵은 4번의 출전 기록 (1978년, 1998년, 2006년, 2014년)이 있지만 토너먼트에 한번도 진출한 적이 없고, 조별리그에서만 탈락하였다. 한때 이란은 1998년 FIFA 월드컵 미국전에서 2-1로 승리를 거두기도 하였다.


FIFA 월드컵 (본선)

FIFA 월드컵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우루과이 1930년 불참
이탈리아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잉글랜드 1966년
멕시코 1970년
서독 1974년 예선 탈락
아르헨티나 1978년 조별리그 14위 3 0 1 2 2 8 1
스페인 1982년 기권
멕시코 1986년 실격[1]
이탈리아 1990년 예선 탈락
미국 1994년
프랑스 1998년 조별리그 20위 3 1 0 2 2 4 3
대한민국일본 2002년 예선 탈락
독일 2006년 조별리그 25위 3 0 1 2 2 6 1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 예선 탈락
브라질 2014년 조별리그 28위 3 0 1 2 1 4 1
러시아 2018년 ? ? ? ? ? ? ? ? ?
카타르 2022년 ? ? ? ? ? ? ? ? ?
합계 4회 진출(4/20) 조별리그(4회) 12 1 3 8 7 22 6
순위 FIFA 월드컵 역대 순위 : 53위


FIFA 월드컵 (예선)

년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우루과이 1930년 불참
이탈리아 1934년
프랑스 1938년
브라질 1950년
스위스 1954년
스웨덴 1958년
칠레 1962년
잉글랜드 1966년
멕시코 1970년
서독 1974년[2] 8 5 1 2 9 6 16
아르헨티나 1978년[3] 12 10 2 0 20 3 32
스페인 1982년 기권
멕시코 1986년 실격[4]
이탈리아 1990년[5] 6 5 0 1 12 5 15
미국 1994년[6] 11 5 3 3 23 13 18
프랑스 1998년[7] 17 8 6 3 57 17 30
대한민국일본 2002년[8] [9] 14 9 3 2 36 9 30
독일 2006년[10] 12 9 1 2 29 7 28
남아프리카 공화국 2010년[11] 14 5 8 1 15 9 23
브라질 2014년[12] 16 10 4 2 30 7 34
러시아 2018년 ? ? ? ? ? ? ?
카타르 2022년 ? ? ? ? ? ? ?
합계 110 66 28 16 231 76 226


AFC 아시안컵

AFC 아시안컵 기록 아시안컵 예선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파일:{{{국기그림-1910}}}|22x20px|border |홍콩|링크=홍콩]] 1956년 기권 기권
대한민국 1960년 예선 탈락 6 3 1 2 12 10 10
이스라엘 1964년 기권 기권
이란 1968년 결선리그 우승 4 4 0 0 11 2 12 자동참가(개최국)
태국 1972년 우승 1위 5 5 0 0 12 4 15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이란 1976년 우승 1위 4 4 0 0 13 0 12 자동참가(개최국, 전 대회 우승)
쿠웨이트 1980년 4강 3위 6 3 2 1 16 6 11 자동참가(전 대회 우승)
싱가포르 1984년 4강 4위 6 2 4 0 8 3 10 5 5 0 0 21 2 15
카타르 1988년 4강 3위 6 2 2 2 3 4 8 4 2 2 0 6 1 8
일본 1992년 조별리그 5위 3 1 1 1 2 1 4 2 2 0 0 10 0 6
아랍에미리트 1996년 4강 3위 6 3 2 1 14 6 11 6 6 0 0 27 1 18
레바논 2000년 8강 5위 4 2 1 1 7 3 7 6 4 1 1 16 2 13
중국 2004년 4강 3위 6 3 3 0 14 8 12 6 5 0 1 16 5 15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2007년 8강 5위 4 2 2 0 6 3 8 6 4 2 0 12 2 14
카타르 2011년 8강 5위 4 3 0 1 6 2 9 6 4 1 1 11 2 13
오스트레일리아 2015년 8강 6위 4 3 1 0 7 3 10 6 5 1 0 18 5 16
합계 13회 진출(13/16) 우승(3회) 62 37 18 7 119 45 129 53 40 8 5 149 30 128
순위 AFC 아시안컵 역대 순위 : 1위


하계 올림픽

올림픽 축구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프랑스 1900년 불참
미국 1904년
영국 1908년
스웨덴 1912년
벨기에 1920년
프랑스 1924년
네덜란드 1928년
나치 독일 1936년
영국 1948년
핀란드 1952년
오스트레일리아 1956년
이탈리아 1960년
일본 1964년 조별리그 12위 3 0 1 2 1 6 1
멕시코 1968년 불참
서독 1972년 조별리그 12위 3 1 0 2 1 9 3
캐나다 1976년 8강 7위 3 1 0 2 4 5 3
소련 1980년 불참[13]
미국 1984년 불참[14]
대한민국 1988년 진출 실패
스페인 1992년[15]
미국 1996년[16]
오스트레일리아 2000년[17]
그리스 2004년[18]
중국 2008년[19]
영국 2012년[20]
합계 3회 진출(3/25) 8강(1회) 9 2 1 6 6 20 7


아시안 게임

아시안 게임 기록
년도 결과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인도 1951년 은메달 준우승 4 2 1 1 5 3 7
필리핀 1954년 불참
일본 1958년 조별리그 14위 2 0 0 2 0 9 0
인도네시아 1962년 불참
태국 1966년 은메달 준우승 7 4 0 3 9 6 12
태국 1970년 조별리그 8위 2 0 1 1 2 3 1
1974년 금메달 우승 7 7 0 0 20 1 21
태국 1978년 기권
인도 1982년 8강 8위 4 2 0 2 3 2 6
대한민국 1986년 8강 6위 5 3 1 1 13 2 10
중국 1990년 금메달 우승 5 4 1 0 7 1 13
일본 1994년 조별리그 9위 4 1 2 1 5 2 5
태국 1998년 금메달 우승 8 7 0 1 24 6 21
대한민국 2002년[21] 금메달 우승 6 4 2 0 16 2 14
카타르 2006년[22] 동메달 3위 6 4 1 1 10 6 13
중국 2010년[23] 4강 4위 7 5 0 2 14 8 15
대한민국 2014년[24] 조별리그 23위 2 0 1 1 2 5 1
합계 14회 출전(14/17) 우승(4회) 69 43 10 16 130 56 139


서아시안컵

서아시안컵 기록
년도 순위 경기 무* 득점 실점 승점
요르단 2000년 우승 5 4 1 0 7 1 13
시리아 2002년 3위 4 1 2 1 4 3 5
이란 2004년 우승 4 4 0 0 17 3 12
요르단 2007년 우승 4 3 1 0 5 1 10
이란 2008년 우승 4 4 0 0 13 2 12
요르단 2010년 준우승 4 2 1 1 8 5 7
쿠웨이트 2012년 예선탈락 3 1 2 0 2 1 5
카타르 2014년 비회원국(중앙아시아 소속)
합계 우승(4회) 28 19 7 2 56 16 64

코칭스태프

직위 성명
감독 카를루스 케이로스
수석 코치 오세아노 다 크루스
알리 카리미
골키퍼 코치 단 가스파

선수

현재 선수 명단

다음은 2015년 AFC 아시안컵 소집 명단이다.

출장 수와 골은 2015년 1월 11일 기준.

번호 위치 선수 생년월일 (나이) 출전 득점 소속
1 GK 알리레자 하기기 1988년 5월 2일(1988-05-02)(35세) 11 0 포르투갈 페나피엘
12 GK 모센 포루잔 1988년 5월 3일(1988-05-03)(35세) 2 0 이란 에스테글랄
22 GK 알리레자 베이란반드 1992년 9월 22일(1992-09-22)(31세) 1 0 이란 나프트 테헤란
2 DF 호스로 헤이다리 1983년 9월 14일(1983-09-14)(40세) 53 0 이란 에스테글랄
4 DF 잘랄 호세이니 1982년 2월 3일(1982-02-03)(42세) 90 6 카타르 알아흘리
5 DF 아미르 호세인 사데기 1981년 9월 6일(1981-09-06)(42세) 20 1 이란 에스테글랄
8 DF 모르테자 푸랄리간지 1992년 4월 19일(1992-04-19)(32세) 2 0 이란 나프트 테헤란
13 DF 보리아 가부리 1987년 9월 20일(1987-09-20)(36세) 3 0 이란 세파한
15 DF 라민 레자이안 1990년 3월 21일(1990-03-21)(34세) 1 0 이란 라 아한
19 DF 모하마드레자 크한자데흐 1991년 3월 21일(1991-03-21)(33세) 7 0 이란 페르세폴리스
23 DF 메흐르다드 풀라디 1987년 2월 26일(1987-02-26)(37세) 25 0 이란 페르세폴리스
3 MF 에산 하지사피 1990년 2월 26일(1990-02-26)(34세) 67 4 이란 세파한
6 MF 자바드 네쿠남 (주장) 1980년 9월 10일(1980-09-10)(43세) 146 37 쿠웨이트 SC쿠웨이트
7 MF 마수드 쇼자에이 1984년 6월 9일(1984-06-09)(39세) 55 6 카타르 알샤하니아
8 MF 오미드 에브라히미 1987년 9월 16일(1987-09-16)(36세) 7 0 이란 에스테글랄
11 MF 바히드 아미리 1988년 4월 2일(1988-04-02)(36세) 1 0 이란 나프트 테헤란
14 MF 안드라니크 테이무리안 1983년 3월 6일(1983-03-06)(41세) 85 8 이란 에스테글랄
17 MF 소로우쉬 라피에이 1990년 3월 24일(1990-03-24)(34세) 3 0 이란 풀라드
20 MF 알리레자 자한바흐슈 1993년 9월 11일(1993-09-11)(30세) 13 1 네덜란드 NEC
21 MF 아슈칸 데자가 1986년 7월 5일(1986-07-05)(37세) 20 4 카타르 알아라비
10 FW 카림 안사리파르드 1990년 4월 3일(1990-04-03)(34세) 45 9 스페인 오사수나
16 FW 레자 구차네자드 1987년 9월 20일(1987-09-20)(36세) 20 11 잉글랜드 찰턴 애슬레틱
18 FW 사르다르 아즈문 1995년 1월 1일(1995-01-01)(29세) 5 2 러시아 루빈 카잔

주석

  1. 이라크와의 전쟁으로 인해 홈경기를 제3국에서 치르기로 권유받았지만 이를 거부함으로서 실격당했다.
  2. 1차예선 B그룹 2조에서 시리아, 북한, 쿠웨이트와 붙었다. 개최지는 이란으로 6경기 모두 테헤란에서 진행됐다. 4승 1무 1패 조 1위(시리아 1:0-0:1, 북한 0:0-2:1, 쿠웨이트 2:1-2:0)로 준결승에 진출했지만 1조 1위 호주에 1승 1패 총합 2:3로 골득실에 밀려 최종라운드에 가지 못했다.
  3. 1차예선 3조에서 사우디아라비아, 시리아를 상대로(이라크 기권) 4승(사우디 3:0-2:0, 시리아 1:0-2:0)으로 독주, 조 1위로 진출했다. 최종예선에서도 6승 2무로 1위(대한민국 2무, 쿠웨이트-호주-홍콩 2승)를 차지하며 첫 본선진출에 성공했다. 12경기 10승 2무, 20득점 3실점이라는 압도적인 기록을 남겼다.
  4. 이라크와의 전쟁으로 인해 홈경기를 제3국에서 치르기로 권유받았지만 이를 거부함으로서 실격당했다.
  5. 1차예선 5조(중국, 방글라데시, 태국)에서 5승 1패로 중국과 승점이 같았지만 골득실에서 3점이 밀리면서 최종라운드 진출에 실패했다. 70년대에는 명실상부한 아시아 최강이었으나 이라크와 10년동안 전쟁하면서 국제대회에 출전을 못하고 우수한 자원도 잃으면서 잠시 주춤하던 시기였다.
  6. 1차예선 2조(시리아, 오만, 대만 + 미얀마는 기권)에서 3승 3무로 시리아와 승점이 같았지만 골득실에서 3점이 앞서 최종라운드 진출에 성공했다. 그러나 최종라운드 첫 경기부터 대한민국에 0:3으로 대패하더니 최종 5위(2승 3패)에 그치며 본선 진출이 좌절되었다. 마지막 경기 전까지 본선진출의 가능성은 있었지만 사우디에게 3:4로 패하며 결국 짐을 쌌다.
  7. 1차예선 2조(키르기스스탄, 시리아, 몰디브)에서 5승 1무(키르기즈 7:0-3:1, 시리아 1:0-2:2, 몰디브 17:0-9:0)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특히 키르기스스탄 어웨이 7:0, 몰디브 어웨이 17:0 승리를 하며 약팀들에게 A매치 최다득점 기록을 세웠다. 최종예선 A조(사우디아라비아, 중국, 카타르, 쿠웨이트)에서는 3승 3무 2패(사우디 1:1-0:1, 중국 4:2-4:1, 카타르 3:0-0:2, 쿠웨이트 1:1-0:0) 조 2위로 1차 플레이오프에 진출, 일본과의 단판 경기에서 2:3으로 패하며 대륙간 플레이오프로 미끄러져 호주와 만나 2무(홈 1:1, 원정 2:2)로 다득점에서 앞서 20년만의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여담으로 17경기 53득점을 기록하며 월드컵 지역예선 아시아 최다득점 팀으로 기록되었다.
  8. 1차예선 2조(타지키스탄, 괌)에서 2승(타지키스탄 2:0, 괌 19:0)으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지난 대회에 이어 괌을 19:0으로 이기면서 A매치 최다득점을 두 대회 연속 경신했고, 지금까지도 아시아 지역예선 최다득점 1위이다. 최종예선 A조에선 4승 3무 1패 사우디에 이어 조 2위로 미끄러졌다. B조 2위(아랍에미리트)와의 대결에선 홈 1:0, 원정 3:0으로 2연승하여 유럽 조2위 中 1위팀과 붙었는데 그 상대가 네덜란드를 탈락시키고 무패로 올라온 아일랜드였다. 원정에서 0:2패, 홈에서 1:0승으로 1승 1패 동률이었지만 골득실에 밀려 안타깝게 본선 진출에 실패했다.
  9. 최종예선에선 2시드로 미끄러져 사우디와 같은 조가 되었다. 전 대회에서 아시아 팀들 중 가장 승점이 높은 나라였음에도 2시드를 받았는데, 중국이 있는 B조는 다섯 팀 통틀어 월드컵 진출 횟수가 1회뿐인 약팀들 뿐이라 중국을 월드컵에 진출시키기 위한 모종의 조작이 아닌가 하는 논란이 있었다. 조 2위를 하면 B조 2위와 플레이오프 - 유럽 2위국 中 1위와 플레이오프라는 경악할 대진이었기에 무조건 1위를 해야 월드컵에 올라갈 수 있었다.
  10. 2차예선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1조(요르단, 카타르, 라오스)에서 5승 1패(요르단 0:1-2:0, 카타르 3:1-3:2, 라오스 7:0-7:0)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최종예선 2조(일본, 바레인, 북한)에서 4승 1무 1패(일본 2:1-1:2, 바레인 0:0-1:0, 북한 2:0-1:0) 조 2위를 기록하며 본선 진출에 성공했다.
  11. 1,2차예선 없이 3차예선 5조에서 3승 3무(아랍에미리트 0:0-1:0, 시리아 0:0-2:0, 쿠웨이트 2:2-2:0) 초반 3경기에서 3무하며 불안하게 출발, 뒤늦게 3연승하며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최종예선 B조에서 2승 5무 1패(대한민국 1:1-1:1, 북한 2:1-0:0, 사우디 1:1-1:2, 아랍에미리트 1:1-1:0) 조 4위로 탈락했다. 마지막 대한민국전에서 이겼으면 조 2위로 본선 진출이 가능했지만 박지성에게 후반 동점골을 내주며 무너졌다. 1무 7패의 아랍에미리트에 유일하게 동점을 내주고, 테헤란 홈경기에서 사우디에 패한 것도 발목잡힌 원인이었다.
  12. 전 대회 탈락의 여파로 2차예선부터 참여했다. 2차예선 단판경기에서 몰디브를 2승(4:0, 1:0)으로 누르고 3차예선에 진출, E조에서 3승 3무(카타르 1:1-2:2, 바레인 6:0-1:1, 인도네시아 3:0-4:1) 조 1위로 최종예선에 진출했다. 최종예선 A조에서 5승 1무 2패(대한민국 1:0-1:0, 우즈베키스탄 1:0-0:1, 카타르 0:0-1:0, 바레인 0:1-4:0) 조 1위로 본선에 진출했다. 초반 5경기에서 2승 1무 2패에 그치며 탈락 위기에 몰렸으나 남은 경기를 3연승하며 조 1위로 올라섰고, 마지막 대한민국 원정경기에선 기막힌 수비벽과 침대축구로 1:0으로 이긴 후 대한민국 관중과 감독을 향해 주먹감자를 날리는 추태를 보였다. 결국 이 돌출행동은 아르헨티나와의 맞대결에서 앙헬 디 마리아에게 모종의 방법으로 복수당했다.
  13. 1980년 하계 올림픽은 대다수 서방 세계 국가들이 보이콧하였다. 이란 역시 이에 동참하였기 때문에 대회 참가조차 하지 않았다.
  14. 1984년 하계 올림픽은 대다수 공산 진영 국가들이 보이콧하였다. 공교롭게도 전 대회 불참했던 이란이 이슬람 혁명 이후 반미로 바뀌어 두 대회 연속 정치적 이유로 불참한 유일한 국가가 되었다.
  15.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6.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7.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8.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19.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0.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1.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2.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3.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
  24. 모든 연령의 선수 참가에서 23세 이하로 변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