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노우에 가오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8호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2월 24일 (월) 14:53 판
이노우에 가오루
출생1836년 1월 16일
일본의 기 일본 하기 시
사망1915년 9월 1일(1915-09-01)(79세)
일본의 기 일본 시즈오카 시
성별남성
국적일본의 기 일본
직업관료, 정치가, 사상가, 기업인
종교유교
상훈일본 제국 대훈위 국화장경식
일본 제국 대훈위 국화대수장
대한제국 대훈위 이화대수장

이노우에 가오루(일본어: 井上 馨, いのうえ かおる, 1836년 1월 16일 ~ 1915년 9월 1일) 는 일본 메이지 유신의 활동가로 근대 일본의 교육자, 정치가, 외교관, 사상가, 기업인이다. 제2차 이토 히로부미 내각에서 내무대신을 지냈고, 일본의 근대화와 산업화에 큰 기여를 하였지만, 여러 독직 사건에 휘말리기도 했다.

조선의 개화 사상가인 이동인, 유대치 등과 교류하였으며, 이후 1881년부터 일본에 파견된 조선인 개화사상가들에게 영향을 주었고, 조선의 개화파 유길준, 윤치호 등을 적극 지원하기도 한다.

생애

초기 이력

젊은 사무라이 시절의 이노우에 가오루.

현재의 야마구치 현조슈 번에서 하급 사무라이 이노우에 고로사부로 미쓰아키(井上五郎三郎光亨)의 아들로 태어났다. 이후 잠시 다른 집안에 양자로 들어갔다가 이노우에 씨로 복귀하였다. 이후 시동을 하다가 번의 학교인 메이론칸(明倫館)에 입학한 후, 다시 에도에서 네덜란드 학문인 란가쿠를 배웠다. 이후 존왕양이 운동에 공감하여 1862년에는 동지들과 함께 영국 대사관 방화사건에 참가하기도 하였다.

1863년 서양식 문물을 배우기 위해 이토 히로부미 등의 조슈 출신 인물들과 함께 영국에 밀항하였고, 유학중 서구열강의 국력을 눈으로 체험하여 개국론으로 전향하였다. 이후 이토와 함께 귀국하여 "개국양이(開國攘夷)"론을 조슈 번에 전도했고, 사카모토 료마의 중개로 사쓰마 번과 동맹 후 봉기하여, 제2차 조슈 정벌에서 막부군에 승리하였다. 이것이 메이지 유신의 성공의 시발점이었으며, 곧 대정봉환이 이루어진다.

메이지 유신 이후

1880년의 이노우에 가오루

메이지 유신 이후 관직으로 나서 신정부의 재정 부분을 맡았다. 1873년 사법경 에토 신페이에 의해 독직 사건을 추궁받고 사직하였다. 잠시 미쓰이 재벌의 배경을 업고, 회사를 설립하여 사업가로 나섰으나, 이토 히로부미의 강한 요청을 받고 정계로 복귀하여 외무경, 외무대신, 농상무대신, 내무대신, 대장대신등을 역임하였다. 1883년 서구 열강과 맺은 불평등조약을 개정하기 위해, 외교 사절을 위한 접대 시설인 로쿠메이칸(鹿鳴館)을 건립하였다. 뿐만 아니라 파리베를린에 견줄 만한 일본의 수도를 건설하기 위해 관청을 집중시키려는 계획을 세우기도 했으나, 이노우에의 사임 이후 무산되었다.

또한 실업계의 발전에도 힘을 쏟아서, 방직업, 철도 산업을 지원하였다. 1884년 화족령에 의해 백작의 작위를 받고, 이후 후작으로 승진하였다. 또한 각종 재벌들의 최고고문을 맡는 등 밀접한 관계에 있었다. 이런 정경유착으로 이권에 개입하여 재산을 모아서 세간에 의해 탐관오리라고 비판받기도 하였다.

조선 개혁가들에게 영향

1881년 후쿠자와 유키치와 함께 조선에서 신문물 견학차 파견된 신사유람단 단원들의 편의를 봐주었다. 조선에서 신문물 견학차 사절단이 파견되기 이전에 그는 이동인, 어윤중, 박규수, 유대치 등과 사전에 교류하기도 했다.

그는 이동인, 어윤중, 박규수, 유대치 등의 주선과 부탁으로 김옥균, 서광범, 윤치호, 유길준 등의 일본 유학기간 중 비용과 숙식을 지원하였고, 그들을 일본의 개화 사상가들과의 면담을 주선하기도 한다. 조선의 무장 윤웅렬의 부탁으로 윤치호를 특별히 도진샤에 입학하는데 도움을 준다.[1]

생애 후반

제4차 이토 내각의 붕괴 이후, 내각총리대신에 낙점되었으나, 정국의 운영이 쉽지 않겠다고 판단하여, 스스로 사퇴하고 가쓰라 다로에게 양보하였다. 이토가 사망한 이후, 사이온지 긴모치마쓰카타 마사요시와 함께 겐로(元老)로서 정관계와 재계에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였다. 한편, 한국에는 을미사변을 야기한 인물로도 알려져 있다.

사망

1915년 지금의 시즈오카 시에서 사망하였다.

평가

일본의 근대화를 이룩한 주역의 한사람으로 평가되고 있다.

주석

  1. 윤웅렬은 자신이 서얼 출신이라 아들 윤치호에게 불이익이 가는 것을 염려하여 그에게 특별히 아들을 농업, 기술학교가 아닌 도진샤(同人社)에 들어가게 해달라고 사적으로 부탁한다.

같이 보기

전임
(초대)
일본의 외무대신
1885년 12월 - 1887년 9월
후임
이토 히로부미
전임
고노 도가마
일본의 내무대신
1892년 8월 - 1894년 10월
후임
노무라 야스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