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동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Pw2454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4월 6일 (일) 17:47 판
윤동주
尹東柱
윤동주 (1941년)
출생1917년 12월 30일(1917-12-30)
중화민국의 기 중화민국 지린 성 화룡현
사망1945년 2월 16일(1945-02-16)(27세)
일본의 기 일본 후쿠오카 현 후쿠오카 형무소
사인정확하게 밝혀지지 않음
거주지만주일제 강점기 경성부일본 도쿄만주후쿠오카 현 후쿠오카 형무소
성별남성
별칭윤해환(아명)
히라누마 도오슈(일본식 이름)
학력일본 도시샤 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제적
직업시인, 독립운동가
종교개신교(장로교)
부모윤영석(부), 김용(모)
친척윤일주(아우)
윤광주(아우)
김약연(외숙부)
송몽규(고종사촌 형)
윤영춘(5촌 당숙)
윤형주(6촌 동생)
웹사이트연세대학교 윤동주 기념사업회

윤동주(尹東柱, 1917년 12월 30일 ~ 1945년 2월 16일)는 한국독립운동가, 시인, 작가이다. 아명은 윤해환(尹海煥),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중화민국 지린 성에서 출생, 연희전문학교를 졸업하였으며, 숭실중학교 때 처음 시작을 발표하였고, 1939년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소년(少年) 지에 시를 발표하며 정식으로 문단에 데뷔했다.

일본 유학 후 도시샤 대학 재학 중, 1943년 항일운동을 했다는 혐의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후쿠오카 형무소(福岡刑務所)에 투옥, 100여 편의 시를 남기고 27세의 나이에 옥중에서 요절하였다. 그의 사후 일본군에 의한 마루타, 생체실험설이 제기되었으나 불확실하다. 사후에 그의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가 출간되었다. 일본식 창씨개명은 히라누마 도오슈(平沼東柱)이다.

일제 강점기 후반의 양심적 지식인의 한사람으로 인정받았으며, 그의 시는 일제조선총독부에 대한 비판과 자아성찰 등을 소재로 하였다. 그의 친구이자 사촌인 송몽규 역시 독립운동에 가담하려다가 체포되어 일제의 생체 실험 대상자로 분류되어 의문의 죽음을 맞는다. 1990년대 후반 이후 그의 창씨개명 '히라누마'가 알려져 논란이 일기도 했다. 송몽규는 고종 사촌이었고, 가수 윤형주는 6촌 재종형제간이기도 하다.

생애

생애 초반

윤동주는 1917년 12월 30일, 당시 북간도 간도성 화룡현 명동촌(明東村, 지금의 지린 성 옌볜 조선족 자치주 룽징시 지신진)에서 아버지 윤영석과 어머니 김용 사이의 3남 1녀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1] 본관은 파평으로 간도 이주민 3세였다.

19세기 말, 함경도와 평안도 일대에 기근이 심해지자 조선 사람들은 국경을 넘어 간도연해주 등으로 이주하기 시작했다. 윤동주의 증조부인 윤재옥도 집안을 이끌고 1886년경 함경도에서 만주로 이주하였다.[2] 윤동주의 증조부인 윤재옥은 함경북도 종서군 동풍면 상장포에 살다가 1886년 북간도 자동으로 이주하였으며 할아버지 윤하현은 밍둥춘으로 삶의 터전을 옮겼다.[3] 아버지 윤영석은 1910년 독립지사인 김약연의 누이동생 김용과 결혼하여 명동촌에 정착하게 된다.

윤동주의 연희전문학교 시절 기숙사인 핀슨홀
친구들과 함께
(뒷줄 왼쪽은 장준하, 가운데는 문익환, 오른쪽은 윤동주. 앞줄 앉은 이는 정일권.)

그는 어려서 기독교인인 할아버지의 영향을 받았다 한다. 그의 고모 윤씨는 송신영에게 시집갔는데, 고모의 아들이 독립운동가이자 그의 친구였던 송몽규였다. 당숙은 윤영춘으로 후일 가수가 되는 윤형주는 그의 6촌 재종이었다.

소년 시절

1925년 명동소학교(明東小學校)에 입학하여 재학 시절 고종사촌인 송몽규 등과 함께 문예지 <새 명동>을 발간하였다.[4]

중학 시절

1931년 14세에 명동소학교(明東小學校)를 졸업하고, 중국인 관립학교인 대랍자학교(大拉子學校)에 다니다 가족이 용정으로 이사하여, 용정 은진중학교(恩眞中學校)에 입학하였다.

그러나 1935년 평양숭실중학교로 전학하였다. 그해 10월, 숭실중학교 학생회가 간행한 학우지 숭실활천(崇實活泉) 제15호에 시 공상(空想)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신사참배 거부로 숭실중학교가 폐교되어, 용정에 있는 광명중학교로 편입하였다. 광명중에서 그는 문익환정일권 등을 만나게 된다.

연희전문 시절

1937년 광명중학교 졸업반일 무렵, 상급학교 진학문제를 놓고 부친(의학과 진학 희망)과 갈등하나, 조부의 개입으로 연전 문과 진학을 결정한다. 1938년 2월 17일 광명중학교를 졸업한 후 경성(京城)으로 유학, 그해 4월 연세대학교의 전신인 연희전문학교에 입학하였다. 하숙생활을 하며 그는 저녁밤 하숙집 근처를 산책하며 시상을 떠올리고 시를 짓거나 담론을 하였다.

1939년 연희전문 2학년 재학 중 기숙사를 나와 북아현동, 서소문 등지에서 하숙생활을 했다. 이때 그는 친구 라사행과 함께 정지용 등을 방문, 시에 관한 토론을 하며 의견을 주고받았다. 그 해 소년(少年) 지에 시를 발표하며 처음으로 원고료를 받기도 했다.

1941년 12월 27일연희전문학교 문과를 졸업하였다. 이 때에 틈틈이 썼던 시들 중 19편을 골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내려 했으나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일본 유학

1942년 3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교대학(立敎) 문학부 영문과에 입학하였다가 10월 도쿄 도시샤대학(同志社) 영문학과에 편입하였다.[5] 도시샤대학은 윤동주가 가장 좋아하는 시인 정지용이 다닌 학교로 일본 조합교회에서 경영하는 기독교계 학교였다.[6]

창씨개명

서시 육필 원고 (1942년)
윤동주의 원고 원본

윤동주 집안은 1941년 말 '히라누마'(平沼)로 창씨한 것으로 돼 있다.[7] 일본 유학에 뜻을 둔 윤동주의 도일을 위해선 성씨를 히라누마로 창씨를 개명하게 되었다.

윤동주의 창씨개명은 본인의 의사와는 관계 없는 것이었다. 그의 연보에 의하면 윤동주가 전시의 학제 단축으로 3개월 앞당겨 연희전문학교 4학년을 졸업하면서 1941년 연말에 "고향 집에서 일제의 탄압과 동주의 도일 수속을 위해 성씨를 '히라누마'로 창씨했다[8][9]는 것이다. 개명 후 윤동주는 매우 괴로워했다 한다.

창씨개명계를 내기 닷새 전에 그는 창씨개명에 따른 고통과 참담한 비애를 그린 시 참회록을 썼다.[10]

윤동주의 창씨개명설은 해방 이후에는 알려지지 않았다가 1990년대에 와서 알려지게 되었다.

일본 유학생활과 체포

친구이자 고종사촌인 송몽규 등과 함께
(앞줄 가운데가 송몽규, 뒷줄 오른쪽 맨 끝이 윤동주

1942년에는 일본으로 건너가 도쿄 릿쿄 대학(立教大学) 영문과에 입학하였고, 6개월 후에 중퇴하여 교토 시 도시샤 대학 문학부로 전학하였다. 그러나 그는 불령선인으로 지목되어 일본경찰의 감시를 당하고 있었다.

연세대학교 신촌 캠퍼스 경내에 있는 윤동주 시비

1943년 7월 14일, 귀향길에 오르기 전 사상범으로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교토의 카모가와 경찰서에 구금되었다. 이듬해 교토 지방 재판소에서 2년형을 언도받고 후쿠오카 형무소에 수감되었다. 1944년 3월 31일 교토지방재판소 제1 형사부 이시이 히라오 재판장 명의로 된 판결문은 징역 2년형을 선고하면서 “윤동주는 어릴 적부터 민족학교 교육을 받고 사상적 문화적으로 심독했으며 친구 감화 등에 의해 대단한 민족의식을 갖고 내선(일본과 조선)의 차별 문제에 대하여 깊은 원망의 뜻을 품고 있었고, 조선 독립의 야망을 실현시키려 하는 망동을 했다.”라고 적혀 있다.[11] 교토지방 재판소에서 송몽규와 함께 치안유지법 제5조 위반죄로 징역 2년을 선고받은 뒤 후쿠오카 형무소로 이송되었다.

투옥과 최후

1945년 2월 16일 오전 3시 36분 후쿠오카 형무소에서 옥사하였다. 시신은 가족들에게 인도되어 그 해 3월 장례식을 치룬 후 간도 용정에 유해가 묻혔다. 당시 그의 나이 27세였다.

그가 죽고 10일 뒤 '2월 16일 동주 사망, 시체 가지러오라' 는 전보가 고향집에 배달되었다. 부친 윤영석과 당숙 윤영춘이 시신을 인수, 수습하러 일본으로 건너간 후, 그런데 뒤늦게 '동주 위독하니 보석할 수 있음. 만일 사망시에는 시체를 가져가거나 아니면 큐슈제대(九州帝大) 의학부에 해부용으로 제공할 것임. 속답 바람' 이라는 우편 통지서가 고향집에 배달되었다. 후일 윤동주의 동생 윤일주는 이를 두고 "사망 전보보다 10일이나 늦게 온 이것을 본 집안 사람들의 원통함은 이를 갈고도 남음이 있었다."고 회고하였다.

옥중에서 정체를 알 수 없는 주사를 맞았다는 주장 등, 그의 죽음은 일제 말기에 있었던 생체실험에 의한 것이라는 의문이 수차례 제기되었다.[12]

사후

1947년 2월 정지용의 소개로 경향신문에 유작이 처음 소개되고 함께 추도회가 거행된다.

1948년 1월, 윤동주의 유작 31편과 정지용의 서문으로 이루어진 유고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를 정음사에서 간행하였다. 이후 1962년 3월부터 독립유공자를 대량으로 발굴 포상할 때, 그에게도 건국공로훈장 서훈이 신청되었으나 유족들이 사양하였다. 1990년 8월 15일에야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이 추서되었다.

작품

윤동주의 시집은 사후에 출간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다.

  • 《새 명동》
  • 《서시(序詩)》
  • 《또 다른 고향》
  • 《별 헤는 밤》
  •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그의 대부분의 작품은 이 유고시집에 실려 있다. 1948년의 초간본은 31편이 수록되었으나, 유족들이 보관하고 있던 시를 추가하여 1976년 3판에서는 모두 116편이 실리게 되었다.
  • 《사진판 윤동주 자필 시고전집》
  • 《별을 사랑하는 아이들아》

경향 및 평가

민족적 저항시인, 강인한 의지와 부드러운 서정을 지닌 시인으로 평가되며,[13][14] 1986년에는 20대 젊은이들이 가장 좋아하는 시인으로 선정되었다.[15] 북한에서는 ‘일제말기 독립의식을 고취한 애국적 시인’으로 평가되고 있다.[16]

그의 시는 생활에서 우러나오는 내용을 서정적으로 표현하였으며, 인간과 우주에 대한 깊은 사색, 식민지 지식인의 고뇌와 진실한 자기성찰의 의식이 담겨 있다고 평가된다.[1]

학력

상훈 경력

기념관과 기념물

기념관

연세대학교
핀슨홀과 윤동주
  • 연세대는 2013년 2월 6일, 캠퍼스 내의 핀슨홀을 윤동주 기념관으로 개편할 것을 발표하였다.[17]
종로구
  • 종로구는 2012년 7월 25일, 청운동 윤동주 시인의 언덕에 윤동주 문학관의 개관식을 연다고 발표하였다.[18]
연변
  • 연길의 용정 중학교에 윤동주 기념관이 있다.[19]

기념물

  • 1968년 11월 2일 연세대학교 등이 모금한 성금으로 연세대에 유작 〈서시〉가 새겨진 ‘윤동주 시비(詩碑)’가 건립되었다.
  • 1985년부터 《월간문학지》에서 그를 기념한 「윤동주문학상」 수상자를 매년 선정, 수상하였다.
  • 1990년 대한민국 정부에서 그의 공훈을 기리어 건국공로훈장 독립장을 추서하였다.[20]
  • 1992년 9월, 모교인 용정 중학교에 〈서시(序詩)〉가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었다.[21]
  • 1995년 일본 도시샤 대학에 친필 〈서시〉와 일본어 번역본이 새겨진 시비가 건립되었다.[22] 2005년에는 윤동주가 가장 좋아했던 시인 정지용의 시비가 그 옆에 건립되었다.[23] 또한 교토 대학 부근 그가 머물던 곳에 기념비를 세우려는 움직임이 있다.
  • 1999년 한국예술평론가협의회에서 20세기를 빛낸 한국예술인으로 선정되었다.

가족 관계

  • 증조부 : 윤재옥(尹在玉, 1844 ~ 1906)
  • 조부 : 윤하현(尹夏鉉, 1875 ~ 1947)
  • 조모 : 강씨부인
    • 고모 : 윤신영(尹信永)
    • 고모부 : 송창희
      • 고종사촌 : 독립운동가 송몽규(宋夢奎, 1917.9.28 ~ 1945.3.7)
        • 내종조카 (송몽규의 조카) : 소설가 송우혜(宋友惠, 1947.12.5 ~ )
  • 부 : 윤영석(尹永錫, 1895 ~ 1962)
  • 모 : 김용(金龍, 1891 ~ 1948)
    • 누이 : (요절)
    • 누이 : (요절)
    • 누이 : 윤혜원(尹惠媛, 1924 ~ 2011.12.11 )
    • 매제 : 오형범 (1924 ~ )
      • 조카 : 오철주
    • 남동생 : 윤일주(尹一柱, 아명 윤달환, 1927 ~ 1985 前 성균관대 건축공학과 교수)
    • 제수 : 정덕희
      • 조카 : 윤인석(尹仁石, 1956 ~ 現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
    • 남동생 : 윤범환 (요절)
    • 남동생 : 윤광주 (尹光柱, 아명 윤성주, 1933.4. ~ 1965 시인)
  • 외삼촌 : 독립운동가 김약연(金躍淵, 1868 ~ 1942)
  • 당숙 : 윤영춘(尹永春, 1912 ~ 1978)
    • 재종형제(윤영춘의 아들) : 가수 윤형주(尹亨柱, 1947 ~ )
  • 사돈 : 정병욱(鄭炳昱, 1922 ~ 1982 국문학자)

기타

윤동주의 창씨개명은 1990년대 이후에 알려지게 되었다. 그의 창씨개명설을 지적받게 되자 윤동주를 연구하던 한 교수는 이를 언급하기를 꽤 난처해했다 한다.[7] 윤동주의 창씨개명설은 2005년 이후에 공식적으로 언급 인정되었다.

대중 문화에 나타난 윤동주

방송

  • KBS1 《마돈나여 광야에서 별을 노래하라》 제2부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 영상시극, 1984년 12월 22일(방영시간 120분)[24]
  • KBS1 《영상기행3.1절 — 민족시인 尹東柱》, 1988년 3월 1일(방영시간 60분)[25]
  • NHK 《NHK스페셜》 〈하늘과 바람과 별과 詩, 尹東柱, 일본통치하의 청춘과 죽음〉, 1995년 3월 11일(방영시간 60분)[26]
  • EBS지식채널e》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1부: 별 (2006년 7월 31일 방영), 2부: 시 (2006년 8월 7일 방영)
  • KBS해피선데이 - 1박 2일》백두산 탐방 특집 윤동주 생가 방문 (2008년 6~7월)
  • SBS그것이 알고싶다》윤동주 그 죽음의 미스터리, 후쿠오카 형무소에선 무슨 일이 있었나 (2009년 8월 15일)
  • MBCMBC스페셜》가을, 윤동주 생각 (2011년 11월 4일)

같이 보기

주석

  1. 윤필립, 「윤동주 서거 60년, 알려지지 않은 이야기들」, 《신동아》, 2005.4.
  2. 김혁. “디아스포라의 화자(话者)- 윤동주”. 2010년 9월 19일에 확인함. 
  3. '조선족' 윤동주를 생각해 보셨나요?:민족시인 윤동주 서거 65주년에 부쳐 - 오마이뉴스 2011년 02월 17일자
  4. 윤동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5. 윤동주 시집 <하늘과 바람과 별과 시>
  6. 네이버캐스트 독립운동가 <윤동주>
  7. 김기창과 윤동주 - 조선일보
  8. 유종호, 나의 해방 전후:1940-1949 (민음사, 2004) 12페이지
  9. 조한서, 《윤동주:겨레의 마음에 별이 된 시인》 (도서출판 아름다운사람들, 2005) 122페이지
  10. 윤동주, 《오줌싸개 지도(윤동주 시집)》 (효리원, 2005) 119페이지
  11. (단독) “윤동주, 조선독립 실현시키려 했다” 세계일보 2010년 7월 15일 작성
  12. 박덕규, 「‘민족시인’ 윤동주-폭압의 겨울, 봄을 그리며 별로 지다」, 《경향닷컴》, 2006.2.
  13. 박두진, 「殉節의 詩人 尹東柱」, 《동아일보》, 1965.3.4
  14. 정한모, 「저하늘의 빛나는 별로」, 《경향신문》, 1965.2.17.
  15. "가장 좋아하는 詩人은 尹東柱". 동아일보. 
  16. 尹東柱 遺稿詩 북한서 발굴, 《동아일보》, 1992.4.27
  17. 연세대에 '윤동주 기념관' 문 연다, 《한국경제》, 2013.2.6
  18. [서울] 서울 종로구에 윤동주 문학관 개관, YTN, 2012.7.25
  19. '윤동주 시인을 생각한다' ...낭만파클럽, 30일 다양한 행사, 《미주한국일보》, 2005.7.6
  20. “시인 尹東柱 건국훈장 독립장 추서”. 경향신문. 
  21. 中國에「尹東柱 詩碑」건립, 《동아일보》, 1992.9.29
  22. 윤동주詩碑 日서 내일 제막, 《경향신문》, 1995.2.15
  23. 日도시샤大 정지용 시비 제막…오양호 인천대 교수 특별기고, 《동아일보》, 2005.12.28.
  24. 「詩(시)와 영상」이엮어낸 진한感動, 《동아일보》, 1984.12.24 - 광복절에 방영되는 것으로 기획되었으나 한일회담을 앞두고 반일감정 자극의 우려로 연기되었다.
  25. 「영상기행—민족시인 윤동주」<KBS1 밤7.30>, 《동아일보》, 1988.3.1
  26. 日 NHK 尹東柱특집…"京郷新聞서 대중에 첫 소개", 《경향신문》, 1995.3.12

참고 자료

바깥 고리

틀:2007년-이 달의 독립 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