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Ykhwong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7월 19일 (일) 12:01 판

우주론(宇宙論, 그리스어:κοσμολογία)은, 전체적인 우주, 나아가서 그 내부에서의 인간의 위치에 대한 정량적(주로 수학적)인 연구를 말한다. 이 단어는 최근(《일반 우주론 - Cosmologia Generalis》, 크리스챤 볼프, 1730년)에 생겼지만, 우주에 대한 연구는 과학, 철학, 비밀주의, 종교와 관련된 긴 역사를 갖고 있다.

우주에 대한 사람의 생각은 끊임없이 변해 왔으며 물리학 또는 천문학의 역사와 동일시 되고 있다.

서양 우주론의 역사

고대

고대 사회와 발전된 헬레니즘 문명이전에는 우주론과 종교가 분리되지 않았다. 과학적 우주론의 발전은 3시기로 나눌 수 있다.

  • 피타고라스 학파가 구형 지구의 개념 도입과 바빌로니아인과 이집트인과는 달리 자연 법칙의 조화가 천체의 운동을 지배한다고 가정할 때(BC 6세기).
  • 무한한 원자 우주가 레우키포스와 데모크리토스에 의해 나왔다. 무한한 세계는 생명체로 가득 찬 원자의 우연한 집합체라는 결과와 아리스토텔레스의 지구 중심우주(BC 4세기).
  • 프톨레마이오스의 모형으로 절정에 달했을 때(2세기). 프톨레마이오스는 태양이 지구 주위를 도는 것으로 이해했으며, 가장 간단한 근사에 의해 다른 별들도 지구 주위를 도는 것으로 관측 결과를 이해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세한 관측 결과 일부 행성이 지구 주위를 정확한 원으로 돌지 않는 것을 관측할 수 있었고, 원래 궤도를 중심으로 또다른 작은 원으로 도는 주전원을 도입하였다.

중세

  • 아리스토텔레스우주가 토마스 아퀴나스에 의해 기독교 신학으로 채택되었을 때(13세기)
  • 코페르니쿠스가 《천체의 운동에 관하여》를 쓰고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돈다고 주장하다.
  • 갈릴레오 갈릴레이도 지구가 돈다는 것을 옹호하다.
  • 티코 브라헤의 관측 결과를 요하네스 케플러가 물려받다.
  • 케플러는 관측 결과를 통해 지구 공전 궤도가 완전한 원이 아닌 타원임을 밝혀 내다.
  • 아이작 뉴턴이 지구 공전 궤도를 중력으로 설명하다. 이는 케플러가 밝혀낸 세 개의 법칙을 설명할 수 있는 기본 원리가 되었다.

현대의 우주론

현대의 우주론은 표준 모형(우주론)에 의해 기술되고 있다.

기타 고대 우주론

동아시아

현대천문학이 도입되기 전까지 동아시아에는 다양한 우주론이 존재하였다.

  • 천원지방설: '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는 의미이나, 여러 가지 다른 해석이 있다.
  • 개천설
  • 구천설
  • 혼천설
  • 선야설
  • 안천론
  • 궁천론
  • 혼천론
  • 지전설: 하늘이 아닌 지구가 돈다는 주장으로, 홍대용이 주창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