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계 이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RedMosQ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8월 27일 (목) 16:34 판 (49.143.151.109(토론)의 편집을 119.202.240.77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우계 이씨 (羽溪 李氏)
관향강원도 강릉시 옥계면
시조이양식 (李陽植)
집성촌경북 달성군, 경북 안동군, 황해 금천군, 경북 울진군, 경북 영풍군, 강원 원주시, 경기 광주군
주요 인물이순우, 이광식, 이명남, 이서우, 이태망, 이창근
인구(2000년)14,615명 (296위)

우계 이씨(羽溪 李氏)는 강원도 강릉시 옥계면을 관향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시조 이양식(李陽植)은 고려 때 좌복야(左僕射)를 지냈다.

시조

우계 이씨(羽溪 李氏)의 시조인 이양식(李陽植)은 알평(謁平)의 47세손 이선용(李宣用)의 둘째 아들로 고려 때 좌복야(左僕射)를 지냈다. 이양식(李陽植)의 아들 이순우(李純祐)는 의종 때 문과에 급제하여, 국자제주, 한림학사(翰林學士)를 거쳐 국자대사성(國子大司成)에 이르렀다. 이양식(李陽植)의 5세손 이구(李球)는 초명은 옥(沃)으로 고려 충렬왕 8년(1283년) 원(元)나라에 들어가 약관 18세에 진사(進士)에 급제하여 환국(還國)후, 고려 조정에 중용(重用)되어 예빈경(禮賓卿)에 이르렀으며, 당대의 문명(文名)을 날렸다. 특히 시문에 능하여 삼척(三陟) 죽서루에 그 시문과 더불어 오늘에까지 명성이 전래되고 있으며, 이구(李球)에 이르러 경주 이씨(慶州 李氏)에서 분적(分籍)하여 본관(本貫)을 우계(羽溪)로 하여 세계(世系)를 이어왔다. 녹전면에 속해있는 녹내리는 우계 이씨의 집성촌이다.

본관

우계(羽溪)는 강원도 강릉시(江陵市) 옥계면(玉溪面)에 위치했던 옛 지명이다. 본래 고구려의 우곡현(羽谷縣)이었는데, 통일신라 경덕왕 16년(757년) 우계(羽溪)로 고쳐서 삼척군(三陟郡)에 속하였다. 1018년(고려 현종 9)에 강릉에 속하였다. 조선 세조 때 강릉대도호부에 진관이 설치되면서 우계면으로 직촌이 되었다. 1914년 우계현의 옛 별호인 옥당(玉堂)의 이름을 따서 옥계면으로 개칭하였다.

분파

우계 이씨 전체를 크게 대파(大派)로 분류할 때 맏집인 종파(宗派) 및 둘째집인 옥천부원군파(玉泉府院君派)로 나누진다. 맏집인 종파(宗派)는 종파(홍천공파), 별좌공파, 감역공파, 참봉공파, 장사랑공파, 부사정공파, 사정공파, 사과공파, 직장공파로 분류되고 옥천부원군파(玉泉府院君派)는 찬성공파, 참판공파, 충위공파로 분류된다.

  • 홍주공파(洪州公派) - 이대근
  • 별좌공파(別坐公派) - 이양근
  • 감역공파(監役公派) - 이성근
  • 참봉공파(參奉公派) - 이준근
  • 장사랑공파(將仕郞公派) - 이지근
  • 부사정공파(副司正公派) - 이경연
  • 사정공파(司正公派) - 이경생
  • 사과공파(司果公派) - 이경화
  • 직장공파(直長公派) - 이원길
  • 찬성공파(贊成公派) - 이지
  • 참판공파(參判公派) - 이득성
  • 충위공파(忠衛公派) - 이동대

유명인

  • 이구(李球, 1265년 ~ ?) : 이양식의 5세손, 고려조 예빈성경
  • 이광식(李光軾, 1493년 ~ 1563년) : 조선 중기 무신. 병조참판.
  • 이전(李戩, 1517년 ~ ?) : 이광식의 아들. 경상좌병사, 평안도병마절도사, 훈련원도정 겸 부총관, 병조참판, 포도대장, 군기시제조, 비변사당상
  • 이감(李敢) : 이광식의 아들. 조선조 병조참판, 도승지, 형조참판, 대사헌
  • 이복남(李福男, ? ~ 1597) : 조선 중기 무신. 이전의 손자. 1592년(선조 25) 나주판관, 1593년 전라방어사·충청조방장(忠淸助防將), 1594년 남원부사·전라도병마절도사, 1595년 나주목사, 1597년 왜적의 재침 때 전라병사(全羅兵使)로 남원에서 왜군과 싸우다가 전사하였다.
  • 이명남 : 이감의 손자, 조선조 참판
  • 이서우 : 조선조 참판
  • 이태망 : 조선조 승지, 아장
  • 이정근 : 건국대학원장
  • 이창근 : 제10대 강원도지사
  • 이주석 : 전 경상북도 행정부지사

과거 급제자

우계 이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15명을 배출하였다.[1]

고려 문과

이순우(李純祐)

문과

이감(李戡) 이경익(李慶益) 이경제(李慶濟) 이경항(李慶恒) 이명남(李命男) 이상우(李商雨) 이서우(李瑞雨) 이성헌(李成憲) 이여빈(李汝馪) 이잠(李埁) 이재명(李在明) 이진주(李鎭周) 이징도(李徵道) 이평(李坪) 이현상(李顯相)

무과

이경여(李慶餘) 이대용(李大用) 이덕남(李德男) 이복남(李福男) 이봉래(李鳳來) 이봉수(李鳳壽) 이언복(李彦福) 이영부(李永富) 이유형(李惟馨) 이인남(李仁男) 이창(李昌)

생원시

이감(李戡) 이경제(李慶濟) 이경항(李慶恒) 이경흡(李景翕) 이광계(李光啓) 이광전(李光前) 이극(李) 이기령(李騏寧) 이로(李爐) 이명남(李命男) 이병두(李秉斗) 이서우(李瑞雨) 이성건(李成健) 이성화(李成樺) 이여혐(李汝馦) 이원빈(李元賓) 이이단(李以檀) 이재성(李在星) 이재승(李在升) 이정관(李正觀) 이진만(李鎭萬) 이진화(李鎭華) 이택선(李宅善) 이평(李坪) 이한방(李漢芳) 이현상(李顯相) 이흥문(李興門)

진사시

이경익(李慶益) 이경항(李慶恒) 이광전(李光前) 이교선(李敎善) 이번(李番) 이봉령(李鳳寧) 이석관(李碩觀) 이심(李審) 이여빈(李汝馪) 이재정(李在正) 이재헌(李在憲) 이중백(李重白) 이진만(李鎭萬) 이진주(李鎭周) 이창계(李昌啓) 이홍관(李弘觀) 이휘선(李徽善) 이희(李熺)

의과

이희헌(李希憲)

집성촌

  • 경기도 광주군
  • 강원도 원주시 부론면
  • 황해도 연백군 금산면 선암리
  • 황해도 금천군 고동면 강정리
  • 경북 울진군 근남면 수산리
  • 경북 달성군 성북면 일원
  • 경북 안동군 녹전면 녹래동
  • 경북 영주군 영주읍 상망리, 부석면 감곡리

인구

  • 1985년 3,390가구, 14,191명
  • 2000년 4,689가구, 14,615명

같이 보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