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세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Antemister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4월 18일 (금) 20:28 판 (incorrect depiction (GlobalReplace v0.3))

왕세자(王世子)는 독립국의 왕위계승제1순위에 있는 왕자 또는 제후국의 왕위계승의 제1순위에 있는 왕자를 일컫는 말이며, 부인은 왕세자빈(王世子嬪)이라 부른다. 왕세자의 자리는 대개 왕비가 낳은 적장자가 잇는 것이 원칙이며 경칭은 저하(邸下)이다. 다른 말로는 동궁(東宮), 춘궁(春宮), 저군(儲君),정윤(正胤), 이극(貳極), 국본(國本)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태자가 세자보다 높은 의미를 갖기 때문에 왕국이라도 왕세자 대신 왕태자를 사용해서 권위를 높이기도 한다.

세자라는 단어는 중국에서 왔다. 원래 왕위 계승자는 왕세자였는데, 진시황 이후에 황위 계승자에게 황태자라는 호칭이 쓰이자 왕위 계승자도 왕태자라고 바꿔 불렀다. 그것이 전한 경제 때의 오초칠국의 난 이후 번국의 권한을 약화시키는 정책의 일환으로 번국의 왕위 계승자 칭호를 황태자 대신 왕세자로 바꾸어서 사용케 한 것이 계기가 되어, 번국이나 속국의 왕위 계승자는 왕세자로 부르게 되었다.

한국의 경우, 고려 시대 원나라 간섭기 때부터 중국 대륙의 책봉 체제 아래에 있었기 때문에 왕태자라는 칭호를 사용하지 못하는 대신 왕세자라는 칭호를 사용하였다. 그러나 청나라가 조선에 대한 종주권을 포기한 1894년(고종 31년), 다시 왕태자라는 칭호를 복권시켰다[1]. 처음에는 대조선국 대군주 폐하와 왕태자 전하였다가, 후에 대한제국이 성립되면서 황제 폐하와 황태자 전하로 바뀐다.

왕세제 · 왕세손

여러 가지 사정으로 인해 왕의 동생을 왕위 계승자로 삼는 경우는 왕세제(王世弟)라고 한다. 혹은 왕의 손자 왕세손(王世孫)이 세대를 건너 동궁정립을 받고 왕통을 잇는 경우도 있다. 왕세손의 경우 경칭은 각하(閣下)였으나 동궁정립을 받은 왕세손의 경우에는 왕세자처럼 저하(邸下)라고 부르기도 했다. 조선 시대에는 영조가 왕세제로서, 정조헌종이 왕세손으로서 왕위에 올랐다. 특이한 점으로 태종은 왕세제가 아닌 왕세자로 책봉되어 왕위에 올랐다.

그러나 왕세자의 아들이 일정한 나이가 되었으면 왕은 자신의 손자인 왕세자의 아들을 왕세자 다음의 왕위 계승자로 왕세손을 세우기도 하였는데 단종, 현종이 이 경우에 속한다.

왕세자의 칭호

군주제 유지 국가 왕세자들의 작위

국가 작위 명칭 작위 소유자 출생년도 비고
네덜란드 오라녜 여공 오라녜 여공 카타리나아말리아 2003년 여성
벨기에 브라반트 공작 브라반트 공작 필리프 1960년
스페인 아스투리아스 공 아스투리아스 공 펠리페 1968년 카스티야와 레온의 왕세자가 받는 칭호로서, 스페인이 통일된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지로나 공작
몽트블랑 공작
세르베라 백작
발라게르 영주
아라곤 왕국의 왕세자가 받는 칭호로서, 스페인이 통일된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비아나 공작 나바르 왕국의 왕세자가 받는 칭호로서, 스페인이 통일된 지금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영국 웨일스 공 웨일스 공 찰스 1948년
잉글랜드 콘월 공작 1948년
스코틀랜드 로스시 공작 1948년

군주제 폐지 국가의 작위 및 폐지된 작위들

국가 작위 명칭 비고
그리스 스파르타 공작
덴마크 노르웨이 노르웨이 공작
러시아 차레비치
루마니아 알바 줄리아 공작
몬테네그로 그라하보 대공
불가리아 투르노보 공작
브라질 프린시페 임페리아우
신성 로마 제국 로마왕 교황에게 인정을 받으면 로마왕, 교황의 승인이 없을 경우 독일왕
독일왕
스웨덴 스카니아 공작
양시칠리아 칼라브리아 공작
이탈리아 피드몬트 공작
나폴리 공작
포르투갈 브라질 공작
프린스 로열
베이라 공작
브라간사 공작
프랑스 도팽
프랑스 프린스 로열
도팽
프랑스 로마왕
프랑스 프린스 임페리얼
헝가리 렉스 일리오르

같이 보기

주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