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타이 제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19.149.11.223 (토론)님의 2013년 3월 21일 (목) 19:42 판
알타이어족의 분포

알타이어족(영어: Altaic languages)은 언어학적으로 논란의 여지가 있는 가설상의 어족으로, 퉁구스어족·몽골어족·튀르크어족이 모두 같은 계통이라는 알타이 가설에 기반한다. 주로 중앙아시아북아시아·러시아(북캅카스와 중부 러시아)에 살고 있는 민족들의 언어가 여기에 속한다. 학자들에 따라 알타이어족에 한국어족이나 일본어족을 포함시키는 경우도 있다.[1]

알타이 가설의 역사

퉁구스어족·몽골어족·투르크어족 언어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언급은 러시아 동부를 여행했던 스웨덴의 국군장교 필립 요한 폰 슈트랄렌베르크가 1730년 쓴 책에서 처음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니콜라스 포페는 이를 “몇 개는 알타이 제어에 속하는 많은 언어들을 분류하려고 했던 최초의 시도”라고 평했다.[2]

‘알타이’[3]라는 말이 처음 붙은 것은 1844년으로, 우랄어족을 주로 연구했던 핀란드의 문헌학자 마티아스 카스트렌에 의해서였다. 카스트렌의 알타이 제어는 핀우그리아어사모예드어까지 포함하고 있었는데, 오늘날엔 두 언어군이 우랄어족에 속하므로, 카스트렌이 제안한 알타이 제어는 지금의 우랄알타이어족에 해당한다.

19세기에서 20세기 초까지 우랄알타이어족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20세기 후반에는 언어학자들에게 인정받지 못하게 된다. 세르게이 스타로스틴은 우랄알타이어족을 “이제는 완전히 버려진 개념”이라고 말했다.[4]

퉁구스어·몽골어·투르크어로 이루어진 알타이어족 가설에 다른 언어가 포함되기도 한다. 한국어에 대한 주장을 한 사람으로는 구스타프 람스테트예프게니 폴리바노프가 있다. 로이 앤드류 밀러는 일본어를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5]

한편 퉁구스어·몽골어·투르크어와 별도로 한국어·일본어·아이누어를 하나의 어족으로 보는 관점도 있다. 이러한 주장 중의 하나로 조지프 그린버그유라시아어족 가설이 있다.

논란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언어는 일반적으로 다음 특징을 공유하고 있다.

이들 세 어군은 몇 가지 특성을 공유하고 있지만, 기초어휘가 크게 차이나고 분명한 음운대응의 예들이 많지 않다. 이 때문에 이 언어들이 실제로 같은 계통이기 때문에 유사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접촉에 의한 상호 작용과 우연한 유형론적 일치 때문에 서로 비슷한 언어동조대인지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주석

  1. Stratification in the peopling of China: how far does the linguistic evidence match genetics and archaeology? In; Sanchez-Mazas, Blench, Ross, Lin & Pejros eds. Human migrations in continental East Asia and Taiwan: genetic, linguistic and archaeological evidence. 2008. Taylor & Francis.
  2. Poppe 1965:125
  3. 알타이 산맥에서 유래함
  4. Starostin et al. 2003:8
  5. Poppe 1976:470

참고 및 관련 문헌

바깥 고리

틀:Link G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