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Ysjbbot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9월 29일 (화) 15:25 판 (→‎주석: 치환됨: {{한국철도공사 노선 목록 → {{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using AWB)
안산선
금정역에서 출발하여 산본역에 진입하는 2040-2140(현 341011-341911) 편성
서울메트로 전동차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종류간선 철도
상태영업 중
기점금정역
(경기도 군포시)
종점오이도역
(경기도 시흥시)
역 수14
개통일1988년 10월 25일
소유자한국철도시설공단
운영자한국철도공사
노선 제원
영업 거리26.0 km
궤간1,435 mm (표준궤)
선로 수2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

안산선(安山線)은 경기도 군포시금정역시흥시오이도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의 철도 노선이다.

개요

경기도 군포시금정역을 기점으로 하여 산본신도시, 안산시를 거쳐 시흥시오이도역까지 이어진다. 경인선과 마찬가지로 통근형 전동차만이 정기 여객 열차로서 운행되고 있으며, 2010년 9월 1일을 끝으로 화물 취급도 중단되었다.[1] 수도권 전철 1호선 소속 일부 전동차가 검수 및 시운전을 위하여 시흥차량사업소로 입고하기 위해 안산선을 운행하는 경우도 있으나 영업 운전은 하지 않는다. 수도권 전철의 일부이므로 수도권 대중교통 수단에서 사용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선·후불 교통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운행

오이도역, 안산역에서 출발하여 과천선을 거쳐 서울 지하철 4호선 당고개역까지 운행하거나 그 반대로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4호선이 운행하고 있으며, 시흥차량사업소에 소속되어 있는 한국철도공사 341000호대 전동차, 창동차량사업소에 소속된 서울메트로 4000호대 전동차교류·직류 혼용 차량 [2] 이 사용되고 있다. 하루 6편 상행 .하행열차에 한정하여 아침 출. 퇴근시간대에 당고개역,안산역으로 가는 급행열차가 운행되고 있다. 안산선의 대피 시설을 활용하고 있다.[3] 당고개급행 전동열차는 안산역에서 출발하여, 중앙역·상록수역·산본역에 정차하며, 산본역부터 당고개역 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한다. 안산급행 전동열차는 당고개역에서 출발하여, 당고개역부터 금정역까지는 모든 역에 정차하며, 산본역, 상록수역, 중앙역, 종착역인 안산역에 정차한다.

×급행 전동열차는 안산역~산본역, 산본역~안산역 외에는 정차하지 않으니 그 다음역을 이용하실 분은 다음열차를 이용하세요

차량

1994년 3월 31일까지는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가 운행에 사용되었다.

역사

원래 "반월" 일대로 불리며, 화성군시흥군의 일부였던 안산은 반월공단시화공단 [5] 의 건설과 함께 개발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서해안고속도로와 안산선이 뚫리기 이전에 반월 일대에서 서울 도심을 연결하는 교통 수단은 수인산업도로 등을 이용하는 버스였으며, 90여 분이 소요되었다.[6] 대한민국 철도청은 안산에서 군포를 거쳐 사당역까지 이어지는 철도 노선을 구상하였으며[6] 그 사업의 하나로 1986년 2월 안산선 공사에 착수하였다.[7] 안산선 공사에는 약 966억원이 쓰였는데, 건설 비용은 당시 반월공단 및 시화공단의 개발을 책임지던 공기업인 한국수자원개발공사가 전액 부담하였다. 수도권 전철 공사에 기업의 자본을 투자한 사례는 안산선이 처음이었다.[8] 한편 이 무렵 부동산 경기가 호조세를 보인 것과 겹치면서, 안산선 역세권의 땅값이 크게 오르는 등, 안산선은 개통 전부터 연선 지역 주민들의 많은 관심을 받았다.[9][10]

2년 간의 공사 기간을 거쳐 1988년 10월 25일, 금정역원곡역을 잇는 안산선이 개통하였다.[8][11] 개통 당시 안산선은 출퇴근 시간대를 기준으로 12분 간격으로 열차가 운행되었으며, 안산과 서울 도심을 오가는 데에 버스보다 약 30분 정도 소요 시간을 줄일 수 있었다.[8] 한편 안산선의 개통 직후, 성남시민들을 중심으로 서울 도심과 성남 지역을 잇는 철도 노선의 개통에 대한 여론이 높아지기도 했다.[12]

안산선은 당시 수도권 전철 1호선이 운행하였기 때문에, 1991년대학수학능력시험이 있던 1991년 12월 17일, 경부선 시흥역(지금의 금천구청역)에서 고압선 사고가 발생하였을 때 안산선의 운행도 전면 중단되는 등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왔다.[13] 하지만 초창기의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안산선 연선의 주변 인구는 산본신도시 등의 확장과 더불어 늘어났다. 1992년에는 안산신도시의 고잔역과 산본신도시의 산본역이 각각 문을 열었다.[14] 이어, 1994년에는 고잔역원곡역 사이에 공단역[15] 이 문을 열었고[16] 같은 해 4월 1일부터는 과천선 인덕원역에서 착발하는 열차가 운행하기 시작했다.[17]

2000년 7월 28일에는 안산역 - 오이도역 구간이 연장 개통되었다.[18] 대한민국 철도청2003년 4월 30일을 끝으로 수도권 전철 1호선의 운행을 중단하였으며, 서울 지하철 4호선과천선과 직결 운행하는 편수를 크게 늘렸다.[19] 같은 해 7월 18일에는 산본역대야미역 사이에 수리산역이 새로 문을 열었다.[20] 2010년 1월 18일부터 급행열차가 운행을 개시하였으며[21], 같은 해 9월 1일부터 화물 취급이 중단되어 여객 전용 노선으로 바뀌었다. 2012년 6월 30일에는 오이도역이 수인선의 개통과 함께 환승역이 되었고[22], 같은 날 6월 30일에는 공단역이 초지역으로 이름을 바꾸었다.[23]

안산선과 수인선

검수 목적으로 한국철도공사 1000호대 전동차가 입선하는 경우도 있으나 여객 취급은 하지 않는다.

안산선은 한대앞역 이후부터 수인선의 옛 노선을 그대로 따라 건설되었다. 협궤철도였던 수인선표준궤 개궤 및 복선 전철화로 다시 건설되고 운행하기 시작하면 한대앞역부터 오이도역까지의 구간은 수인선과 선로를 공유[24] 하게 된다.

현재 수인선 열차는 6량 1편성으로 운행되고 있으며, 우선 수인선은 오이도역 ~ 송도역까지 2012년 6월 30일 1차 개통 했고, 수도권 전철 4호선과의 직결 운행이 요구 민원이 있었으나, 현재는 오이도역에서 송도역까지만 운행되고 있다. 2016년 2월 27일에 2차 개통으로 인천역까지 연결되어 경인선 수도권 전철 1호선과 환승이 가능할 예정이다. 향후 2017년 3차 개통이 최종적으로 완료되면, 한대앞역에서 수원역까지 연결되어 분당선과 직결 운행 체제에 들어가게 된다. 따라서 분당선 열차가 노반과 역사가 공유된 안산선과 수인선을 직결 운행하게 됨에 따라서 길게는 왕십리역 ~ 수서역 ~ 죽전역 ~ 기흥역 ~ 수원역 ~ 한대앞역 ~ 오이도역 ~ 송도역 ~ 지하 인천역의 운행이 예상된다. 수인선이 개통으로 수도권 서남부 도시철도망이 형성되고, 향후 경인선 축과 경부선 축의 화물 분담처리까지 가능하다.

역 목록

  • 부기역명[25] 의 영문과 한자는 표기하지 않았다.
역 번호 역명 로마자 역명 한자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과천선 범계역 방면
443 금정 Geumjeong 衿井 경부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환승)
- 0.0 경기도 군포시
444 산본 Sanbon 山本 2.3 2.3
445 수리산 Surisan 修理山 1.1 3.4
446 대야미 Daeyami 大夜味 2.6 6.0
447 반월 Banwol 半月 2.0 8.0 안산시
448 상록수
(안산대학교)
Sangnoksu 常綠樹 3.7 11.7
449 한대앞 Hanyang Univ. at Ansan 漢大앞 수인선 1.5 13.2
450 중앙
(서울예술대학)
Jungang 中央 1.6 14.8
451 고잔
(고대안산병원)
Gojan 古棧 1.4 16.2
452 초지
(신안산대학교)
Choji 草芝 1.5 17.7
453 안산 Ansan 安山 1.8 19.5
454 신길온천 Singil oncheon 新吉溫泉 미운행구간 2.2 21.7
455 정왕
(한국산업기술대)
Jeongwang 正往 2.9 24.6 시흥시
456 오이도 Oido 烏耳島 동해선 광역전철 1.4 26.0

같이 보기

주석

  1. 대한민국관보 철도청고시 제35호, 1989년 10월 27일
  2. 451~471편성이다.
  3. 김규식 (2010년 1월 18일). “안산~금정역 급행열차 운행”. 경인일보. 
  4. 서울메트로 소속 열차로서 인입 선로를 통해 직결하여 운행한다. (단 직류 전용 차량 제외)
  5. 지금의 안산·시흥스마트허브이다.
  6. 전철 내달 착공 앞두고 반월·군포 일대 땅값 들썩… 경향신문, 1985년 11월 30일.
  7. 안산 ~ 금정 간 전철 착공, 동아일보, 1986년 2월 28일.
  8. 금정 ~ 안산 간 복선 전철 개통, 한겨레, 1988년 10월 26일.
  9. 반월 전철역 주변 땅값 올라, 매일경제, 1986년 2월 28일.
  10. 안산 택지분양신청 쇄도, 매일경제, 1986년 3월 17일.
  11. 전철 안산선 개통, 동아일보, 1988년 10월 25일.
  12. 서울 ~ 성남 전철 설치를, 경향신문, 1988년 10월 27일
  13. 아수라장 전철역, 동아일보, 1991년 12월 17일.
  14. 산본 전철 내일부터 운행, 동아일보, 1992년 4월 30일.
  15. 지금의 초지역이다.
  16. 고잔 ~ 안산역 간 공단역 신설, 매일경제, 1994년 1월 17일.
  17. 과천선 개통…, 한겨레, 1994년 3월 31일.
  18. 전철 안산선 연장 개통, 한국일보, 2000년 7월 21일.
  19. 그러나 철도청은 이 문제를 두고 지역 주민들과 마찰을 겪기도 했다. 4호선 당고개~안산역 8월부터 51편 늘려, 한겨레, 2003년 5월 10일.
  20. 4호선 군포 수리산역사 준공, YTN, 2003년 6월 24일.
  21. 안산선의 대피 선로를 이용한다.
  22. 끊겼던 수인선, '복선전철로 재시동', 경인일보, 2012년 6월 29일.
  23. 공단역, ‘초지역’으로 개명 확정, 내일신문, 2012년 5월 14일.
  24. 서울 지하철 1호선처럼, 승강장에 서로 다른 행선지의 열차가 들어오는 방식으로 공용.
  25. 사용료를 받고 한시적인 기간동안 걸어두는 역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