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Bonds99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3월 29일 (토) 23:30 판

아이돌 가수(Teen Idol)는 주로 청소년에게 큰 인기를 얻는 가수를 말한다. 아이돌은 영어로 성공, 미래, 창조를 뜻하며 가수, 영화 배우, 텔레비전 배우 등 연예계의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기도 한다. 한국의 경우 뉴 키즈 온 더 블록, 서태지와 아이들의 인기와 서태지와 아이들의 해체후 데뷔한 H.O.T의 잇따른 성공으로 10대시장이 크게 성장하였다.[1][2]

이전에는 옛 전자신문에서 알 수 있듯이 인기 댄스 그룹, 인기가 많아 성공적인 아이돌 스타, 틴 아이돌, 하이틴 스타[3], 틴에이지 그룹, 틴 아이돌 스타(뉴 키즈 온 더 블록, 듀란 듀란, H.O.T., 토미 페이지, 전영록 등) 등으로 잡지 면에 장식을 했고 불리었으나,[4][5][6]2000년 초(기사가 등장하는 시점. 인터넷이 활성화)부터 10대들에게 인기를 얻는 가수를 지칭하는 기사, 기사 문구에 다량으로 쓰이게 되며, 청소년에게 인기 끌만한 그룹들이 대거 등장하면서 이들을 짧게 줄여서 부르는 경향이나 젊은이들에게 인기 얻는 그룹들을 아이돌이라고 부르면서 용어가 정착되어 가고 있으며 아이돌 스타(idol star, 아이들 스타[*])라는 표제어로 2003년 국립국어원 신어 자료집에 추가되었다.

아이돌 가수들은 청소년이거나 20대 초반의 젊은 성인 때 데뷔하게 되며, 기획사에서 어떤 컨셉을 갖고 그룹을 만들어 데뷔시키는 경우가 많다. 90년대 초중반 이후 데뷔 연령대가 점점 낮아져 초등학교 고학년 때 데뷔하는 아이돌 가수 혹은 그룹도 있다.[7] 만15세 미만 초등학생, 중학생 가수를 로틴(Low Teen) 또는 차이돌(Chidol)이라고 한다.

아이돌 가수는 나이가 어리다는 것을 장점으로 내세운 연예인이기 그 수명이 짧은 경우가 많다. 이들 아이돌 가수들은 인기가 사그라들고 그룹은 해체가 된 이후 배우로 전향하여 연예 생활을 이어가는 경우도 있다.

논란

Teen idol의 마케팅은 일반적으로 이미지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Teen idol은 십대 젊은 청소년, 여성팝 청중과 일반 아이들에게 지지하는 구조이다. [8]

틴 아이돌에 있어 외모가 중요한 요인으로 부각된 것은 필연적인 귀결이다. 포장의 화려함으로 내용의 부실함을 감춤으로써 상품가치를 극대화하는 마케팅 전략을 따른 것이었다. 그 물신적 가치 창출의 이면을 생생하게 보여준다. 재능은 있으나 외모는 없는, 음악적 능력은 갖고 있으나 상품적 가치는 갖지 못한 주인공이 자신과는 대척적 자산을 보유한 청년에게 건네는 메피스토의 제안을 보라. “넌 잘생겼어. 잡지에 나오는 남자애들처럼 말이야. 난 널 그렇게 만들어줄 수 있어. 네가 원하기만 한다면 말이지.” 부와 명예를 거부할 파우스트가 세상에 얼마나 될까? 하물며 그가 청소년이라면 말이다. 이후의 전개는 그야말로 전형적인 ‘아이돌 메이킹’의 교과서다. 노래와 춤은 물론이고, 매너와 에티켓까지 주입하여 완전히 새로운 페르소나로 거듭나도록 만드는 일. 그것은 작품의 창작과정이라기보다는 상품의 제작공정이었고, 예술적 투합이라기보다는 상업적 담합이었다. 그 속에서 직능별 전문가들의 역할이 다시금 중요해졌다. 틴 팬 앨리 시대로의 퇴행이었다. 그래서 비평가 그렉 쇼는 “압도적인 수준이라고 할 정도로, 틴 아이돌의 시대였”던 “1959년부터 1963년 사이의 기간에…… 음악은 거리를 떠나 스튜디오로 숨어들었다”고 했던 것이다. [9]

아이돌 가수는 그룹을 결성하여 활동하는 경우가 많아 일반적으로 '아이돌 그룹'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다. 그런데 이들은 여러명의 멤버가 있다는 점을 이용하여 여럿이서 노래를 나눠부르기 때문에 1곡당 노래를 부르는 비중은 1인당 3 ~ 10초에 지나지 않으며 메인보컬이 30초에 지나지 않는다. 그나마도 댄스에 더욱 비중을 두기 때문에 립싱크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아 가창력에 대해 논란이 일기도 한다.[10]

아이돌 가수를 동경하는 청소년들도 많은데 이로 인해 청소년이 오디션을 위해 학업을 소홀히 한다거나 연예 기획사가 연예계 데뷔를 걸고 고액의 비용을 요구한다거나, 소속사 관계자를 사칭하여 연예계 데뷔를 미끼로 범죄 행각을 벌이는 등의 문제가 일기도 한다. 연예 기획사측과 소속 연예인 간의 불공정 계약, 일명 노예 계약으로 인한 분쟁이 일기도 한다. 이러한 불공정 계약은 대부분 대형 기획사에 의해서 불거지며 국회에서 언급이 되기도 한다.

또한 아이돌 가수들은 뛰어난 외모와 춤실력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아 가창력 등의 실력에서 종종 비판받기도 한다. 이들의 팬들은 대부분 청소년이기 때문에 인격적으로 성숙하지 못한 경우가 있으며, 극성 팬들은 열애설이 난 연예인 또는 적대적 관계에 있는 연예인들에게 모욕을 하는 등 사회적 문제가 불거지기도 한다.[11]

86년에 데뷔한 김완선을 3년동안의 혹독한 스파르타 훈련으로 데뷔시킨 가수이자 이모인 한백희에게 SM의 이대표는 조언을 얻은것으로 알려져 있다. 90년도 데뷔한 현진영은 이대표의 지시아래 2년정도의 트레이닝 이후 데뷔를 하게된다. 김완선은 최근TV에서 혹독한 감금훈련, 13년동안의 노예같은 생활등 많은 일화를 공개 하였다.[12]

미국의 아이돌 가수

같이 보기

참조

  1. 케이팝을 움직이는 손, '대형기획사'
  2. 이수만 "미래 한류는 한중일 합작"
  3. 청소년 및 20대 초반의 '하이틴 스타'는 주로 가수들보다는 연기자들을 지칭하는 경우가 많다.
  4. 전영록의 경우 군 생활 시절 때 학생들에게 인기가 많다며 고참들이 인기가 많기 때문에 "아이돌"이라며 지칭하기도 했다고 한다.
  5. "인기댄스그룹 H.O.T" 검색어로 90년~99년 네이버서치
  6. "아이돌 H.O.T" 검색어로 90년~99년 네이버서치-"아이돌스타"라는 표현의 3건 기사
  7. 2000년에 데뷔한 량현량하는 12세 때 데뷔했다.
  8. 데이비드 마샬(David Marshall) - "Celebrity and power" p.168ff. ISBN 0-8166-2725-8
  9. "음악웹진 100비트(100Beat)
  10. 뉴스기사
  11. “씨엔블루 매니저 폭행 사건으로 본 매니저와 팬덤의 애증관계”. 
  12. “점쟁이말 듣고 가수데뷔 고백”.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