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팔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0ch1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12월 4일 (수) 08:26 판 (HotCat을 사용해서 분류:서로 군정서군을(를) 삭제함)
신팔균
출생1882년 5월 19일(1882-05-19)
사망1924년 7월 2일(1924-07-02)
성별남성
국적조선
학력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
직업독립운동가
상훈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

신팔균(申八均, 1882년 음력 5월 19일 ~ 1924년 양력 7월 2일)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이다. 신동천(申東川)이라고도 한다.

생애

한성부에서 대대로 무관 벼슬을 지낸 집안에서 태어났다. 고조부인 신홍주와 할아버지인 신헌, 아버지 신석희가 모두 고위 무관이었다. 특히 병조판서를 지낸 신헌은 강화도 조약조미수호통상조약을 협상, 체결한 인물이다. 이런 집안에서 자랐기에 신팔균도 자연스럽게 대한제국의 군인으로 성장하였고,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를 졸업한 뒤 1903년 육군 참위로 임관했다.

1907년 일본에 의해 대한제국 군대가 해산당하자 신팔균은 군 복무를 그만두었고, 1909년 안희제, 김동삼 등이 조직한 비밀 결사 대동청년단에 가담하면서 독립 운동에 뛰어들기 시작했다. 영남 지역을 중심으로 결성된 대동청년당에는 윤세복, 서상일 등 나중에 유명한 독립 운동가가 되는 이들이 대거 참가했다.

1910년 한일 병합 조약이 체결되자 만주로 망명했고, 연해주 등 여러 곳을 살펴보다가 국내에서 신민회 회원들이 다수 망명해온 서간도에서 활동하기로 결정했다. 그는 서로군정서신흥무관학교 등 서간도의 핵심 독립 운동 기지에 참여하였고, 대한제국 장교 출신의 경험을 살려 신흥무관학교 교관으로 근무하면서 많은 독립 운동가들을 양성했다.[1]

이무렵 그는 일본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일본군 장교로 임관했다가 만주로 탈출해온 지청천, 김경천과 만나게 되었는데, 마음이 통한 세 사람은 '하늘 천(天)'자를 넣어 새 이름을 지어 가졌다고 한다. 신팔균은 '동천(東川)'이라는 별명을 갖게 되었으며, 사람들은 세 사람을 묶어 '남만삼천(南滿三天)'이라고 불렀다.[2]

1920년 경신참변 이후 남만주 지역으로 이동한 뒤, 서로군정서와 대한독립단, 광한단 등 여러 무장 독립 운동 단체들이 집결하여 임시 정부 성격인 대한통의부가 설치되자 대한통의부 의용군의 사령관과 군사부 위원장을 맡았다. 대한통의부 의용군은 국내로 진공하여 평안북도 등에서 일본 경찰과 전투를 벌이는 등의 전적을 쌓았다.

1924년 여름 야외 군사 훈련 중 중국인 마적의 기습 공격에 총상을 입고 사망했다. 그는 죽는 순간까지도 일제가 아닌 중국인들과 싸우다 전사하는 것을 억울하게 생각했다 하나, 이들 마적단의 기습은 일제의 사주에 의한 것임이 밝혀졌다.

1963년 건국훈장 독립장을 추서 받았다. 남편이 전사한 후 자결한 부인 임수명도 건국훈장을 추서 받은 독립운동가이다.

가족

  • 부인 임수명(1894~1924)
    • 딸 신계영(?~1924)
    • 아들 신현충
    • 아들 신현택
    • 아들 신현길(?~1923)

참고자료

주석

  1. 서중석, 《신흥무관학교와 망명자들》(역사비평사, 2001) 중 제4장 독립운동의 불꽃, 만주벌판에 타오르다.
  2. 《경향신문》 다시쓰는 독립운동列傳 Ⅲ 러시아편-5. 시베리아 항일영웅 김경천 (2005.9.5)

틀:1994년-이 달의 독립 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