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병희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Sangjinhwa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2월 9일 (월) 17:13 판
손병희
孫秉熙
출생1861년 4월 8일(1861-04-08)
조선의 기 조선 충청도 청주목 산외이면 대주리(현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충청북도 청주시 청원구 북이면 금암리)
사망1922년 5월 19일(1922-05-19)(61세)
일제강점기 일제 강점기 경성부
거주지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성별남성
국적대한제국의 기 대한제국
민족한민족
별칭자(字)는 응구(應九)
도호(道號)는 의암(義菴)
일본 망명 시기 가명은 이상헌(李祥憲)
직업천도교(동학) 지도자, 독립운동가
종교천도교
부모손의조(부)
배우자홍응화
친척손병흠(아우)
손천민(조카)
방정환(사위)
상훈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

손병희(孫秉熙, 1861년 4월 8일 ~ 1922년 5월 19일)는 천도교(동학) 지도자이자 한국의 독립운동가이다. 본관은 밀양이다. 자(字)는 응구(應九)이며, 망명 중 사용한 가명은 이상헌(李祥憲), 최시형에게 받은 도호(道號)는 의암(義菴)이다.

생애

천도교
주요 인물
최제우 · 최시형 · 손병희 · 박인호
전봉준
경전
동경대전 · 용담유사
해월신사 법설
의암성사 법설
교리
시천주 · 사인여천 · 인내천 · 후천개벽
역사
동학 · 동학 농민 혁명
관련 단체
천도교 중앙총부
천도교 연원회
천도교유지재단
천도교청우당
문화유산
천도교 중앙대교당 · 천도교 임실교당

v  d  e  h

천도교 입도

충청도 청주목(현 충청북도 청주시)에서 세금징수를 담당하는 향리의 아들로 태어났다. 1882년 조카 손천민의 권유로 동학에 입도했는데 이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동학의 교리 때문이었다. 3년 뒤 최시형을 만나 그의 수제자가 되었다.

동학농민운동 가담

1894년 동학농민운동 때는 북접 소속으로서 남접의 전봉준과 함께 관군에 맞서 싸웠다. 관군의 추격을 피해 원산 및 관서지방으로 피신한 그는 동학농민혁명실패로 무너진 동학의 재건과 포교 활동에 큰 공을 세움으로써 1897년 정신적 스승이었던 최시형의 뒤를 이은 제3대 교주가 되었다. 한편 관에 자수한 최시형은 이듬해 혹세무민했다는 죄목으로 처형당한다. 이후 손병희는 동학운동의 지도자만이 아닌 근대화 운동의 지도자로서의 면모를 보인다. 독립협회 인사 등 개화파 인물들과 만나서 일부는 동학에 입교시켰으며, 이들로부터 개화 사상을 받아들였다.

일본 망명

그러던 와중에 동학에 대한 탄압이 거세지면서 먼저 동학에 입교하여, 자신에게 포교했던 조카 손천민이 체포되어 처형당하자, 안경장수로 변장하여 중국에 피신했으나 조선정부의 압력으로 중국에서 살 수 없었기 때문에, 1901년 일본으로 망명했다. 여기에서도 같은 망명자 신분이었던 오세창, 권동진, 박영효, 조희연 등 개화파 전직 관료들과 교류하였고, 상하이메이지 유신(1867년) 이후 개혁의 바람이 불고 있던 도쿄 등을 돌아보면서 인재 양성이 시급함을 깨달았다. 이에 따라 1903년부터 24명의 똑똑한 청년들을 선발하여 일본에 유학시키게 된다. 망명 중 신문 기고 등으로 내정개혁론과 근대화론을 설파하다가 1904년에는 갑진개혁운동을 일으켜, 권동진, 오세창과 더불어 진보회를 조직했다. 회원들에게 머리를 자르고 개화복을 입을 것을 명하는 등 개화 운동의 확산을 위한 단체였다.

귀국

1905년에는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하고 1906년 일본에서 귀국했다. 동학교도 즉, 천도교 신도라면 무조건 잡아갈 정도로 천도교를 극심히 탄압하던 대한제국이 외세의 간섭으로 무기력해진 상황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해 천도교 내부에서는 일진회송병준, 이용구와 기타 세력 간의 반목이 심해졌고, 손병희는 친일 조직인 일진회 인물들에게 출교 처분을 내림으로써 이들과 결별한다.

독립운동

귀국 후에는 교령 자리를 박인호에게 승계하고 교육 사업(보성전문학교인수)과 출판사업에 관심을 쏟다가, 1919년 민족대표 33인 중 한 명으로 3·1 운동을 주도했다. 기미독립선언서 낭독 후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징역 3년형을 선고받았고, 병보석으로 출옥한 후 1922년 가족들이 보는 가운데 별세하였다.

사후

파일:Korea-Statue of Sohn Byeong-hui.jpg
탑골공원에 있는 손병희의 동상

1962년 건국훈장 대한민국장이 추서되었다. 충북 청주삼일공원에 충북 출신 민족대표 33인인 권동진, 권병덕, 신홍식, 신석구와 함께 동상이 설치되어 있다. 청원군 생가 자리에는 기념관도 건립되었다.[1][2]

저서

저서로는 일본 망명 시절에 국부 달성과 근대화를 주장하며 저술한 《삼전론(三戰論)》(1902), 《명리전(明理傳)》(1903) 등이 있다.

가족 관계

어린이 운동으로 유명한 방정환은 손병희의 사위로서 천도교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방정환의 부친은 천도교 신자였으며, 방정환 자신도 1923년 천도교계 잡지에서 작가로 활동하였고,그가 어린이들에게 구연동화를 들려준 장소도 천도교 회관이었다.

  • 부친 : 손의조
  • 모친 : 최씨
  • 동생 : 손병흠, 독립운동가
  • 부인 : 홍응화(1870)
  • 딸 : 손용화(1901)
  • 사위 : 방정환, 아동문학가, 독립운동가 겸 작가, 언론인
  • 이복 조카 : 손천민, 천도교인, 이복 형의 아들로 손병희와 손병흠천도교에 입교시켰다.

참고자료

주석

  1. 한국관광공사 여행정보 사이트, 충북 청원, 영동, 전북 무주
  2. 청원군 홈페이지, 손병희 선생 유허지

틀:1992년-이 달의 독립 운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