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기록유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국가별 세계기록유산수에 따른 지도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 世界記錄遺産) 또는 유네스코 세계의 기억 프로그램(영어: UNESCO Memory-of-the-World Programme/Program)은 유네스코에서 기록물에 대해 제정하는 문화유산이다. 국제자문위원회가 심사하고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승인하는 형식으로 선정된다. 국제자문위원회 회의1997년부터 매 2년마다 개최되고 있다.

등재 기준[편집]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준은 다음과 같다.[1]

먼저 세계적 가치의 여부가 있다. 세계적 가치를 충족하려면 다음의 기준에 적합해야 한다.

  1. 변화의 시기를 반영하는 시간성 (Time) : 역사적 중요시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하거나 그 시기를 특별한 방법으로 반영하는 자료
  2. 역사발전에 기여한 장소나 지역관련 정보 (Place) :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 발전에 기여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지닌 자료
  3. 역사에 기여한 개인의 업적 (People) :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에 기여한 인물에 관련된 자료
  4. 세계사의 주요 주제 (Subject/Theme) :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의 주요사항을 기록한 자료
  5. 형태나 스타일에 있어 표본 (Form and Style) : 뛰어난 미적 양식을 보여주는 자료
  6. 사회적, 정신적, 문화적 중요성 (Social/Spiritual/Community Significance) : 뛰어난 사회적·문화적 또는 정신적 가치를 가지는 자료

그 외의 기준에는 신빙성, 유일성과 영향력 등이 있다.

  • 신빙성은 유물이 진품이며, 그 실체와 근원지가 정확한 자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 유일성과 영향력은 등재될 유산이 유일하며 대체불가능해야 하며 유물의 손실 또는 훼손이 인류 유산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일정기간 동안 세계의 특정 문화권에서 역사적 의미를 가진 자료여야 한다는 것이다.
  • 추가기준으로는 완성도 또는 완전성에 있어 탁월한 자료, 독특하거나 희귀한 자료 등이 있다.

등재 절차[편집]

세계기록유산의 등재절차는 다음과 같다.[2]

  • 등재 신청 대상 선정 : 각 나라의 문화재위원회가 심의하고 문화재 관리자가 그 대상 유산을 선정하다. (대한민국의 경우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문화재청장이 그 대상 유산을 선정한다.)
  • 등재신청 서류를 유네스코에 제출 : 제출처는 유네스코 사무국이며 제출시기는 매 2년마다 3월말까지 제출한다. 제출서류는 신청서(영문) 및 부속자료(사진, VTR, 오디오, 관련도서, 지도)이다. 유네스코 사무국은 서류를 제출한 각 당사국에 등재신청 서류의 보완을 요청할 수 있다.
  • 국제자문위원회 심사 : 각 나라에서 서류를 제출한 후 이듬해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국제자문위원회에서 심사 및 등재를 권고한다. 국제자문위원회(IAC: International Advisory Committee)는 유네스코 사무총장이 임명하며 임기는 4년이고 전문가 14인으로 구성된다.
  •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승인 : 유네스코 사무총장의 승인을 거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다.

지금까지 국제자문위원회는 193개의 문서 항목을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했다. 각각의 등재 문서 항목은 2년마다 열리는 국제자문위원회(IAC) 회의에서 결정된다.

대한민국의 세계기록유산 목록[편집]

년도 소장 참고사항
훈민정음(해례본) 1997 대한민국 간송미술관
조선왕조실록 [朝鮮王朝實錄] 1997 정족산본, 오대산본·상편 : 서울대학교 규장각 ,태백산본 : 국가기록원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2001 서울대학교 규장각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佛祖直指心體要節 (下卷) 2001 프랑스 국립도서관(Bibliothèque nationale de France)
조선왕조 『의궤(儀軌)』 2007 규장각(奎章閣), 장서각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高麗大藏經板-諸經板) 2007 해인사(海印寺)
동의보감(東醫寶鑑) 2009 국립중앙도서관장 등 4곳
일성록(日省錄) 2011 서울대학교 규장각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2011 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육군본부, 5·18기념재단, 국회도서관, 미국 국무성, 국방부국가기관이 생산한 5·18민주화운동 자료:국가기록원, 광주광역시 소장

군사법기관재판자료, 김대중내란음모사건자료:육군본부 소장

시민들이 생산한 성명서, 선언문, 취재수첩, 일기:광주광역시 소장

흑백필름, 사진:광주광역시, 5·18기념재단 소장

시민들의 기록과 증언:5·18기념재단 소장

피해자들의 병원치료기록:광주광역시 소장

국회의 5·18광주민주화운동 진상규명회의록:국회도서관 소장

국가의 피해자 보상자료:광주광역시 소장

미국의 5·18 관련 비밀해제 문서:미국 국무성, 국방부 소장

난중일기(亂中日記)』: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陣中日記) 2013 현충사(顯忠祠)
새마을운동 기록물 2013 국가기록원(國家記錄院), 새마을운동중앙회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2015 KBS
한국의 유교책판(儒敎冊版) 2015 한국국학진흥원(韓國國學振興院)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 17세기~19세기 한일 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 2017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국립중앙도서관, 국사편찬위원회 외 25곳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2017 국립고궁박물관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2017 한국금융사박물관, 국사편찬위원회, 국가기록원, 독립기념관, 국립고궁박물관, 국채보상운동기념사업회, 한국연구원, 서울대학교 중앙도서관, 고려대도서관, 연세대 학술정보원 등
4·19혁명기록물 2023
동학농민혁명기록물 2023

2023년 기준 대한민국의 세계기록유산은 18건이다.[3] 우리는 문화유산의 다양한 가치들이 내재된 문화유산을 통해 인간은 인류의 영속성을 확인하게 되고, 보다 큰 범위에서 인류 공동체 의식을 느끼게 되므로 인류 공동의 가치를 보호하기 위해 문화유산을 지켜야한다는 당위성이 있다.

각주[편집]

  1. “문화재청 세계기록유산 등재기준”. 문화재청 사이트. 
  2. “문화재청 세계기록유산 등재 절차”. 문화재청 사이트. 
  3. 김예나 (2023년 5월 18일). “[2보] 4·19혁명·동학농민혁명 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2023년 5월 19일에 확인함.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