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우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앵무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9월 28일 (월) 10:00 판 (아름부휘(토론)의 편집을 Jeresy723의 마지막 판으로 되돌림)

성우(聲優, 문화어: 배음사, 配音士[1])는 애니메이션, 라디오 드라마, 드라마 CD, 비디오 게임, 영화, 외화 더빙 등, 주로 목소리로 연기하는 배우이다. 나레이터와는 달리 캐릭터(등장인물)등의 대사를 더빙하거나 목소리 녹음(애프터 레코딩)을 한다.

또한 성우의 이름 앞에 CV가 붙은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캐릭터 보이스 (character voice)의 줄임말로 그 캐릭터의 목소리를 담당하는 성우임을 가리킨다. 이 말은 1980년대 후반에 일본의 애니메이션 잡지 《아니메크》에서 처음으로 실린 조어로, 그 뒤 《아니메크》의 스탭이 카도카와 쇼텐으로 이적하여 창간한 《월간 뉴타입》에 사용하여 보급되었다.

영어로 성우는 voice actor/actress라고 하나 voice over talent, voice over actor, voice talent, voice artist라고도 한다.), 일본제 애니메이션 팬 사이에서는 일본의 성우를 가리켜 seiyū라고 부르기도 한다. 중국어로는 配音員 페이인원[*] 또는 配音演员 페이인엔원[*], 일어로는 声優 세이유[*]라고 한다.

업무 내용

목소리 삽입·더빙

성우라는 직업의 근간이 되는 일. 자신이 담당하는 대사를 연기하면서 그것을 녹음한다.

성우는 표정이나 몸으로 연기하는 것이 아니라 목소리 만으로 연기하기에 쉬울 것 같지만, 몸을 사용하지 않는 만큼 목소리 만으로 표현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어렵다고 한다.

남자와 여자는 본질적으로 목소리 톤이 다르기 때문에 애니메이션의 애프터 레코딩이나 외화의 더빙 등에서 여자 성우가 남자(특히 소년, 어린 남자 아이)의 목소리를 연기하는 경우는 많지만, 반대로 남자 성우가 여자의 목소리를 담당하는 일은 거의 없다.(어린 남자 아이의 목소리도). 특히 남자 성우가 소녀, 어린 여자 아이의 목소리를 담당한 유형은 전무나 다름없다.[2]

애니메이션

애니메이션의 경우 화면을 보면서 타이밍에 맞춰 자신이 담당하는 캐릭터의 대사를 말하는 애프터 레코딩과, 사전에 대사를 더빙해 두는 프리스코어링, 두가지 방법이 있다. 일본에서는 애프터 레코딩이 주류를 이루고 있고 화면에 그려진 캐릭터의 연기에 목소리를 맞추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러나 실제로 현장에서는 제작 스케줄에 따라 만들다 만 화면이나, 정지 화면, 완전히 그려지지 않은 상황에서 연기해야 하는 경우도 많다.

외화 더빙

외화·해외 드라마·영화·뉴스·다큐멘터리를 더빙하는 경우에는 화면을 보는 것과 동시에 들리는 원어의 대사에 맞춰 녹음한다.

기본적으로 원어의 목소리는 사라지지만, 원어도 작게 남기고 그 위에 자국어로 덮어씌우는 보이스오버의 방식도 있다. 보이스 오버는 주로 뉴스나 초기 해외 드라마 등에서 쓰인 방법으로 애니메이션과 마찬가지로 애프터 레코딩이나 프리스코어링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게임

게임의 경우 게임의 진행에 맞춰 각각의 음성 데이터를 선택하여 재생한다는 성격상 애니메이션과 크게 다르다. 여러사람이 모여 녹음하는 것이 아니라 한명씩 개별 적으로 녹음하는 것이 일반적으로 자신의 대사만 줄줄이 나열된 대사를 보면서 타이밍에 맞춰 녹음한다. 그렇기 때문에 공연자이더라도 얼굴을 마주하는 경우가 없는 케이스도 많다.

CD-ROM 보급이 시작된 1980년대부터 급속히 증가한 성우들의 주요 업무 중 하나이다.[3]

라디오 드라마·드라마 CD

외화의 더빙이나 애니메이션의 레코딩과 달리 캐릭터의 연기에 맞출 필요가 없어 자유도가 높다. 그렇기 때문에 성우 자신의 캐릭터의 해석이나 연기력이 요구되기도 한다. 즉, 팬이나 청취자가 생각하는 캐릭터 이미지에 얼마나 가깝게 표현하는가가 요구되는 것이다.

애니메이션이나 영화를 드라마화 한 것은 애니메이션에 출연한 성우가 연기를 하지만, 그렇지 않은 문화작품이나 창작 라디오 드라마에서는 일반 배우나 신인 배우가 연출하는 방송도 적지않다. 드라마 CD화 된 후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는 경우 담당 성우가 전부 바뀌는 경우가 많다.

일본에서는 소설이나 만화, 애니메이션 작품 등 미디어 믹스의 일환으로 드라마 CD가 제작되는 경우가 많으나 한국에서는 아직 널리 보급된 문화는 아니다[4].

나레이션

CM(광고)·라디오 프로그램·TV 프로그램·PR 비디오 등의 원고를 읽고 그것을 녹음한다. 프로그램을 해설하기도 한다. 성우의 주 분야 중 하나이기도 하지만 배우아나운서가 녹음하는 경우도 많다.

높은 기량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경력이 오래된 베테랑 성우가 주로 기용된다. 보이스 샘플이라 불리는 데몬스트레이션 용의 음성 샘플이 기용에 큰 역할을 한다. 캐릭터 나레이션, 스트레이트 나레이션도 있다.

가수 활동

주로 일본의 성우에 해당한다. 자신의 이름으로 가수로서 활동하는 성우도 있으나, 엄밀히 말하면 본래의 성우 업무는 아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애니메이션에서 주연 혹은 주연급의 배역을 받으면 그 애니메이션의 주제가를 부르는 경우가 있다. (작사를 맡는 경우도 있다.) 팬층을 겨냥한 미디어 믹스의 일환으로 애니메이션의 캐릭터가 노래를 부른다는 설정으로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명의로 CD를 발매하는 경우도 흔하다. 마찬가지로 가수활동을 하고 있는 성우이더라도 자신의 이름으로 발매한 노래와, 목소리를 연기한 캐릭터로서 부른 노래는 곡조나 창법이 매우 다른 예도 적지않다. 캐릭터 송을 부르는 경우에는 캐릭터의 톤으로 노래를 소화해내야 하기도 한다. 특히 애니메이션을 중심으로 활약하는 성우의 경우에는 기본적인 업무 중 하나이다. 또한 목소리를 연기하는 캐릭터의 설정이 가수이거나 노래를 잘한다는 이유로 노래를 부르고 CD를 내는 경우도 있다.

다른 장르의 가수와 비교하면, 레코드 회사와 전속 계약의 제약사항이 적어 소속한 회사 외에서도 캐릭터 송 명의로 CD를 발매하는 경우도 많다[5].

라디오 진행

이것도 가수 활동과 마찬가지로 일본의 성우에 해당한다. 대한민국에서는 각 방송사 주체로 유명 연예인이나 해당 방송사 아나운서 등을 기용하여 방송하지만 일본에서는 성우가 진행을 맡기도 한다. 과거에는 일부를 제외하고 지방 방송국이 그 대부분이었으나, 1990년대에 들어오면서 분카 방송 등 수도권 라디오 방송국에서도 급증하고 있다. 특정 애니메이션이나 게임 등의 제휴로 일정 기간동안 방송하는 경우도 있지만 인기가 많으면 여러 해 계속되는 경우도 있다. 그 중에는 10년을 넘기는 장기 프로그램도 있다[6].

최근에는 비용이 저렴하게 들고 청취자 수도 접속수로 알수 있는 인터넷 라디오의 진출도 활발하다.

그 외

기업의 교육 비디오 출연 및 나레이션, 이벤트 사회, 녹음된 프로그램 안내 메시지, 녹음된 백화점 안내, 출연작품 관련 또는 자신의 명의로 각종 이벤트 출연, 애니메이션 정보 프로그램의 사회나 인터뷰 등.

일본에서는 역, 노선 버스등의 공공 교통 기관의 아나운스(자동 방송)으로 아나운서의 목소리나 합성 음성이 자주 사용되지만 최근에는 성우 목소리가 들어간 경우도 많다. 덧붙여 이들의 경우, 성우 이름이 공표되는 것은 기업 방침에 따라 달라진다.

DTM 제작용의 음성 합성 엔진의 컴퓨터 소프트 《보컬로이드 2》의 캐릭터 보컬 시리즈에서는, 음악 관계자를 채용하는데 뜻대로 되지 않는 것부터 음성 샘플링을 맡을 성우를 선택하는 것까지 난항을 겪어 성우를 기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결과적으로 성우를 기용하지 않은 것이 히트 제품이 된 것으로부터 이것도 현재에는 성우의 업무 영역 분야로서 사실상 인지되고 있는 면이 있다.

대한민국의 성우

일본의 성우

미국의 성우

역사

미국에서는 오래전부터 주로 애니메이션을 만든 사람이 직접 그 캐릭터를 연기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특히 월트 디즈니증기선 윌리에서 미키 마우스미니 마우스를 연기한 것이 그 대표적인 예이다. 또한 이름이 알려진 영화배우코미디언이 성우를 겸하는 경우도 많은데 이는 지금까지도 흔한 경우이다.

극장용 애니메이션

미국에서는 주로 배우나 코미디언이 극장용 애니메이션의 캐릭터를 연기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라이온 킹은 초호화 캐스팅으로 손꼽히는 작품 중 하나로,영화배우 매슈 브로더릭, 제러미 아이언스, 코믹배우네이선 레인등이 등장한다.혹은 릴로 & 스티치에서 처럼 감독이 주인공 목소리를 맡는 경우도 허다하다.

성우의 유형

순수성우

롭 폴슨, 제프 베넷, 타라 스트롱, 루시 테일러, 트레스 맥네일

감독,작가,애니메이터 겸 성우

댄 포벤마이어, 월트 디즈니, 제프 마시, 크리스 샌더스, 토니 안셀모

가수,배우 겸 성우

마일리 사이러스, 애슐리 티즈데일,미첼 무소, 토머스 생스터, 네이선 레인, 에디 머피, 어니 사벨라

관련 항목

주석

  1. 네이버 국어사전 '배음사'
  2. 남자 성우는 여자 성우 이상으로 톤에 따라 성우로서의 활동노선이 크게 좌우된다고 한다.(특히 애니메이션·게임과 관련해서)
  3. NEC 홈 일렉트로니스가 발매한 가정용 게임기 PC엔진의 CD-ROM드라이브 발매는 1988년 12월
  4. 2005년 오디오 코믹스(Audio comics, 통칭 아코)를 시작으로 야해, 숲 엔터테인먼트 등 드라마 CD 제작사들이 생겼다. 그러나 주로 BL CD를 제작하고 있고 일반 CD를 제작하는 곳은 야해뿐이나 그 수가 많지 않다.
  5. 일반적인 가수와 같은 형식으로 계약을 체결하면, 특히 음악이나 노래를 큰 주제로 하는 작품이나 캐릭터 송을 대대적으로 기획하고 있는 작품에서는 성우를 기용할 때 큰 걸림돌이 될 수도 있다는 위험 부담이 있다.
  6. 코모리 마나미의 《마미의 라디컬 커뮤니케이션》,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하야시바라 메구미의 하트풀 스테이션》등이 유명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