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지하철 6호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모군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9월 6일 (일) 19:40 판 (표현 다듬음)

틀:서울 6호선 표 서울 지하철 6호선 (-地下鐵 六號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은평구에 있는 응암역과 서울특별시 중랑구에 있는 봉화산역을 잇는 서울특별시도시 철도 노선이자, 수도권 전철운행 계통이다. 노선색은 황토색이다. 서울메트로가 관리하는 연신내역을 제외한 전 구간을 서울특별시 도시철도공사에서 운영하고 있다.

개요

노선

서울특별시 은평구중랑구 간을 용산구를 경유하여 한강 이북 지역을 동서로 연결하는 노선으로, 노선의 일부가 순환선의 형태로 구성된 특징이 있다. 2002년 FIFA 월드컵을 대비하기 위한 목적도 있다. 대흥역부터 삼각지역까지 구간은 용산선과 경로가 다소 중복되며, 월곡역부터 봉화산역까지 구간은 북부간선도로를 따라 이어진다. 6호선은 한강을 건너지는 않지만 서울 서북부와 동북부를 연결하고, 도심을 통과하는 모든 노선과 환승 체계를 구축함으로써 시내 각 지역으로의 접근도를 향상시키고 도심교통수요를 외곽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6호선의 개통으로 서울 지하철은 거미줄 형태의 방사형 전철망이 완성됨으로써 도심부도심이 직접 연결되게 되었다. 6호선도 5호선과 마찬가지로 차량기지를 제외하면 전 구간이 지하로 이루어져 있다. 지상 구간은 전혀 없는 노선이다. 그러나 경춘선과 환승 예정인 신내역은 유일하게 지상으로 건설될 예정이다.

운행

응암 - 봉화산 간을 운행하는 열차가 주로 운행된다. 봉화산역을 출발하여 응암역으로 가는 열차는 ‘응암 순환’이라는 행선지를 사용하며, 응암역에 도착하면 열차 번호와 함께 행선지를 ‘봉화산’으로 변경하고 응암순환선을 따라 역촌불광독바위연신내구산응암 순으로 돌아 편도운행을 한 뒤 응암역으로 돌아와 봉화산까지 운행한다.

차량

경정비는 신내차량사업소에서, 중정비는 7호선도봉차량사업소에서 진행한다. 현재 6000호대 전동차는 41개 편성이지만, 605편성이 7호선으로 차출된 관계로 40개 편성이 운행중이다.

운임

수도권 전철에 속한 다른 노선들과 같은 운임 체계를 사용하며, 환승 통로를 이용하여 수도권 전철에 속하는 다른 노선으로 갈아탈 때 별도로 추가되는 요금은 없다. 승차할 때는 자동 발매기에서 구입한 승차권이나 교통 카드 (T-Money 등), 교통 카드의 기능이 탑재되어 있는 일부 신용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도권 전철 내의 다른 역에서 발매된 승차권이라도 역시 사용할 수 있다. 수도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의 적용을 받으며,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 버스에서 갈아탈 때는 기본 운임이 면제 또는 할인된다.

연결선로

2000년 8월신내차량사업소로 1차 차량을 입고할 때, 신내차량사업소의 동쪽(구리시 구 57사단 방향)을 지나는 중앙선으로부터 연결선로를 가설하여 이용하였다. 그러나 2005년 12월 해당 구간의 이설이 완료되어 선로가 폐선되었다.

지금은 6호선의 태릉입구역-화랑대역 사이에서 7호선태릉입구역-먹골역 사이로 연결선로를 설치하여 차량의 중정비 시에 사용된다. (일명 태릉연결선)

역사

연장 계획

구리시 - 남양주시 연장 계획

신내동의 택지개발에 따라서, 서울 지하철 6호선은 신내역, 중랑경찰서역 , 신내근린공원역, 구리도매시장역 등을 거쳐 도농역까지 연장 계획이 있다.

주요 사건 및 논쟁

6호선 초기 개통 지연

태릉입구역 환승통로 공사 중 인근의 중랑천이 범람하면서 초기 개통이 지연되었다.

마포구청역 선로점거 시위

2000년 12월 개통 당시, 서울특별시 마포구 망원동 주민 30명이 6호선 공사로 인하여 집 안에 금이 가고 소음피해를 당하였다는 이유로 마포구청역 선로를 점거하였으며, 경찰에 의하여 해산될 때까지 6호선 열차운행이 한때 중단되었다.[1]

IMF 여파

이태원역 ~ 약수역 무정차 통과

2000년 12월 개통 당시, 이태원역, 한강진역, 버티고개역, 약수역 시공회사인 신화건설이 최종부도 처리되면서 완공이 지연되어 이 4개역에 한하여 2001년 3월 8일까지 열차가 정차하지 않고 통과하였다.

신당역 환승통로 연결

신당역은 6호선 개통 당시 2호선과 6호선 역사 모두 정상영업을 하였으나, 환승통로가 완공되지 않아 2001년 8월 2일까지 환승이 불가능하였다. (같은 성격의 2, 6호선 합정역2000년 12월 6호선 개통일 당시 정상적으로 환승이 이루어졌다.)

수도권 전철 1호선과의 연계성 문제

6호선은 사실상 수도권 전철 1호선의 궤도와 총 3곳에서 만나나, 환승역 건설이 확실시된 곳은 경원선 석계역뿐이여서 1호선과의 연계성 문제가 대두되었다. 동대문역과 6호선 동묘앞역 사이에 환승통로를 구축하는 방안을 검토하였지만 환승 통로가 너무 지나치게 길어진다는 문제점으로 백지화되었으며, 이후 1호선 동대문역 - 신설동역 간에 동묘앞역을 신설하여 2005년부터 환승이 가능해졌다. 경부선 남영역 - 용산역 구간 사이와 4호선 삼각지역 - 숙대입구역 구간 사이에 정거장을 건설하여 환승체계를 구축하는 계획도 있었으나, 새로운 정거장을 건설할 경우 두 노선 모두 역간 거리가 300 m 이내로 매우 짧아지는 문제로 인하여 백지화되었다.

수도권 전철 경춘선과의 연계성 문제

2013년 12월 28일에 개통된 경춘선 신내역 인근에 신내차량기지가 위치하지만 설계를 단선으로 할 것인지 복선으로 할 것인지 확정되지 않아 착공을 하지 못하였다.

역 목록

역 번호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누적
거리
소재지
610 응암 - 0.0 서울특별시 은평구
611 역촌 1.1 1.1
612 불광 수도권 전철 3호선 0.8 1.9
613 독바위 0.9 2.8
614 연신내 수도권 전철 3호선 1.4 4.2
615 구산 0.9 5.1
610 응암[2] 1.5 6.6
616 새절(신사) 0.9 7.5
617 증산(명지대앞) 0.9 8.4
618 디지털미디어시티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인천국제공항철도
1.1 9.5
619 월드컵경기장(성산) 0.8 10.3 마포구
620 마포구청 0.8 11.1
621 망원 1.0 12.1
622 합정 서울 지하철 2호선 0.8 12.9
623 상수 0.8 13.7
624 광흥창(서강) 0.9 14.6
625 대흥(서강대앞) 1.0 15.6
626 공덕 수도권 전철 5호선
수도권 전철 경강선
인천국제공항철도
0.9 16.5
627 효창공원앞 수도권 전철 경강선
(효창역)(예정)
0.9 17.4 용산구
628 삼각지 수도권 전철 4호선 1.2 18.6
629 녹사평(용산구청) 1.1 19.7
630 이태원 0.8 20.5
631 한강진 1.0 21.5
632 버티고개 1.0 22.5 중구
633 약수 수도권 전철 3호선 0.7 23.2
634 청구 수도권 전철 5호선 0.8 24.0
635 신당 서울 지하철 2호선 0.7 24.7
636 동묘앞 수도권 전철 1호선 0.6 25.3 종로구
637 창신 0.9 26.2
638 보문 0.8 27.0 성북구
639 안암(고대병원앞) 0.9 27.9
640 고려대(종암) 0.8 28.7
641 월곡(동덕여대) 1.4 30.1
642 상월곡(한국과학기술연구원) 0.8 30.9
643 돌곶이 0.8 31.7
644 석계 수도권 전철 1호선 1.0 32.7 노원구
645 태릉입구 서울 지하철 7호선 0.8 33.5
646 화랑대(서울여대입구) 0.9 34.4
647 봉화산(서울의료원) 0.7 35.1 중랑구

승차량 변동

가시성을 높히기 위하여, 역당 평균량은 이탤릭으로 처리하였다.

구간 승차 인원[3]
2000년 2001년 2002년 2003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호선 전체 87901 2716 194690 5483 246803 6856 269619 7489
응암 순환 9860 2465 13359 3340 15189 3797 16260 4065
은평(응암~월드컵경기장) 17780 3556 33103 6621 46006 9201 53049 10610
마포(마포구청역~공덕) 20529 2933 41435 5919 51088 7298 55924 7989
용산(효창공원앞~약수) 6938 2313 27059 3866 32204 4601 34480 4926
중구(청구~창신) 7724 1931 14631 3658 19053 4763 19525 4881
동북(보문~봉화산) 34930 3493 67817 6782 83263 8326 90382 9038
구간 승차 인원[3]
2004년 2005년 2006년
범주구별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구간총량 역당평균
호선 전체 285807 7941 290301 8064 296205 8228
응암 순환 16740 4185 17184 4296 16918 4230
은평(응암~월드컵경기장) 58225 11645 58874 11775 59063 11813
마포(마포구청역~공덕) 59350 8479 61013 8716 61722 8817
용산(효창공원앞~약수) 36242 5177 36188 5170 36791 5256
중구(청구~창신) 19940 4985 21270 5318 23794 5949
동북(보문~봉화산) 95363 9536 95773 9577 97918 9792

같이 보기

주석

  1. 지하철 6호선 개통 첫날, 개운찮은 개통 MBC뉴스 2000.12.15
  2. 응암 순환 구간을 거친 후 이 역에 다시 정차한 다음에 지나간다.
  3. 원자료는 수도권 전철#2006년 기준 수도권 전철 승하차 인원 주석 1번 참조

틀:서울 6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