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근교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Tsunami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11월 26일 (화) 03:16 판 (→‎개요)

산킨코타이(틀:Ja-y)는 각 다이묘를 정기적으로 에도를 오고 가게 함으로써 각 번에 재정적 부담을 가하고, 볼모를 잡아두기 위한 에도 막부의 제도이다. 이 제도에 따라 각 번은 도쿠가와 가(家)에 반기를 들기가 매우 힘들어졌고, 도쿠가와 가가 15대에 걸쳐 번영을 누리는 요인이 되었다. 산킨(参勤, 참근)은 일정 기간 주군(이 경우는 쇼군)의 슬하에 오고 가는 것, 코타이(交代, 교대)는 여가를 제공 받아 영지에 돌아가 행정 사무를 보는 것을 의미한다.

소노베 번 산킨코타이 행렬도(1) / 난탄 시 문화박물관 소장
소노베 번 산킨코타이 행렬도(2) / 난탄 시 문화박물관 소장
소노베 번 산킨코타이 행렬도(3) / 난탄 시 문화박물관 소장

명칭

에도 성에 모인 다이묘들

〈산킨코타이〉(参勤交代) 라는 명칭이 일반적이다. 에도를 오고 가며(勤, 근무할 근) 쇼군을 알현하는 것이(覲, 뵐 근) 일반적이기 때문에,〈参勤〉은〈参覲〉이라고 쓰이기도 한다. 또한,〈교대〉(交代)는〈교체〉(交替)라고 쓰이는 경우가 있다.

간에이 12년(1635년) 〈무가제법도〉에서 산킨코타이를 규정한 조문에는

大名小名在江戸交替所相定也毎歳夏四月中可致参勤従者之員数……

라고 쓰여져 있어,〈参勤〉과〈交替〉의 용어가 쓰이고 있다.[1]

연혁

기원

산킨코타이는 가마쿠라 시대 당시, 고케닌가마쿠라에 오고 갔던 점에 기원을 두고 있다.

센고쿠 시대센고쿠 다이묘의 일부는 자신이 거처하는 성의 조카마치에 자신에게 복속해 있던 부시들을 모았고, 그 중 도요토미 히데요시오사카 성주라쿠 다이후시미 성에서 자신의 통치에 복종한 다이묘에게 저택을 제공해 그곳에 처자식을 살게 한 것으로부터 산킨코타이의 원형이 생겨났다.[2] 다이묘들은 1년을 단위로 오갔다.

제도의 완성

산킨코타이에 이용되었던 도기와교(常盤橋) (기타큐슈 시)

게이초 5년(1600년) 세키가하라 전투에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승리해 패권을 쥐자 여러 다이묘들은 도쿠가와 씨의 환심을 사기 위해 에도에 출사하여 도쿠가와를 알현하였다. 이에야스는 히데요시의 전례를 본따 에도 성 아래에 저택을 제공하고 다이묘의 아내(정실)와 자식(남자의 경우라면, 후계자)를 에도에 거주하게 하는 제도를 설립해, 당초에는 자발적인 출사였지만 점차 제도로 정착해 갔고 3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미쓰의 정권인 간에이 12년(1635년)에는 무가제법도의 개정에 따라 산킨코타이 제도가 의무화 되었다.[3]

간에이 19년(1642년)에는 후다이 다이묘에게도 산킨코타이가 의무화 되어, 원칙적으로 막부의 직권을 가진 자를 제외한 모든 다이묘가 산킨코타이를 행하게 되었다.

그 후

산킨코타이 제도는 8대 쇼군 도쿠가와 요시무네 집권 때 재정 궁핍을 이유로 부분적으로 완화되었던 시점을 제외하고 에도 시대 전반에 걸쳐 고수되었다.

막부 말기분큐 2년(1862년) 8월에는 분큐의 개혁의 일환으로, 3년에 1번(100일) 출사하는 것으로 완화되었다. 그 후, 겐지 원년(1864년) 9월 금문의 변 이후 당시 정세를 막부가 과신하고 본래 제도로 되돌렸으나 따르지 않는 도 많았다.

개요

간에이 12년(1635년) 산킨코타이 제도의 기원에서는, 모든 다이묘는 1년마다 에도와 자신의 영지를 왕래했고, 처자식은 볼모로 에도에 상주해야 했으며, 그 여정 비용이나 에도에서의 체류비는 모두 그들의 부담이었다. 다만, 미토 도쿠가와가 등의 일부 신판(親藩)・후다이(譜代) 다이묘, 그리고 대부분의 하타모토는 영지가 에도와 가깝거나 영지가 작았기 때문에, 예외적으로 산킨코타이를 행하지 않고 에도에 상주해〈조후〉(定府) 라고 불리었다. 막부의 공직에 있는 후다이 다이묘 또한 마찬가지 였다. 코타이요리아이(交代寄合) 라고 불린 격식 높은 하타모토는 다이묘에 준해서 산킨코타이를 행했다.[4]

산킨코타이 제도의 목적은 모든 다이묘들의 자본의 지출을 강요함으로써 세력을 약화시켜 모반 등을 행하는 것을 억지시키기 위함이었다고 여겨진다.[5] 단, 막부로서도 본래의 취지는 군역 봉사에 있었기 때문에 번의 재정이 파탄나 군역이 불가능하게 하는 것은 산킨코타이의 취지를 근본적으로 부정하는 것이 되기에 다이묘 행렬을 제한하는 등의 조치를 취했다. 그렇지만 모든 다이묘는 겉치레를 좋아하여 위엄을 보이기 위해 종종 제한을 어기는 경우도 있었다. 재정이 풍족하지 않은 영세한 다이묘들도 비용을 아끼지 않고 다이묘 행렬을 화려하게 하려고 눈물겨운 노력을 한 경우도 있었다.

산킨코타이는 군역이므로 다이묘는 보유 병력인 부하 부시 다수를 수행원으로서 데리고 에도에 출사하고 다시 영지에 돌아가야만 하기 때문에, 이동할 경우엔 '다이묘 행렬' 이라고 하는 대대적인 행진을 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비용이 커지고, 산킨코타이는 다이묘의 재정을 압박하게 되었다. 교호 7년(1722년) 막부의 재정 핍박을 배경으로 제정된 아게마이노세(上米の制) 에서는 녹봉 1만석에 대하여 100석의 쌀을 상납하게 하였고, 그 대신 산킨코타이 수행시 에도 체제 기간을 반년으로 줄여주는 조취를 취했다.(교호 15년(1730년)에 한 차례 성과를 올린 뒤, 폐지되었다.)

이 외에, 산킨코타이 제도 하에 태어난 다이묘의 상속자는 모두 에도에서 자라나기 때문에, 각 다이묘를 정신적으로 영지와 결부시키기 힘들게 하는 효과를 냈다고도 일컬어진다.[6]

산킨코타이 제도로 인해, 가도와 역참이 정비되었고 다이묘 행렬이 소비하는 방대한 비용에 의해 번영하였다. 동시에 다수의 다이묘 수행원이 지방과 에도를 왕래했기 때문에, 그들을 거쳐 에도의 문화가 전국에 퍼지는 효과를 달성했다.[7] 예를 들면, 덴포 12년(1841년)기슈 도쿠가와가(紀州徳川家) 11대 번주 도쿠가와 나리유키(徳川斉順)의 산킨코타이에서는, 부시 1639명, 인부 2337명, 말 103필을 거느렸다. 여정 중 들리는 히라카타 주쿠(枚方宿)에서는, 준비를 위해 히캬쿠나 기슈 번 번사가 번주가 도착하기 수 개월 전부터 주쿠에 와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고, 그 준비까지 거액의 지출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산케기슈 번의 다이묘 행렬 등은 격식과 권위를 실감하게 하는 대행렬이었기 때문에, 수 많은 농민이 구경하러 찾아 올 정도였다. 이 제도에 의한 경제적 효과나 문화적 효과는 대단히 커, 에도 시대 사회 질서의 안정과 문화의 번영을 이룩하게 되었다. 또한, 산킨코타이로 인해 에도에 단신 부임하는 각 번의 가신은 상당한 수에 이르러, 이 결과 에도 인구의 약 절반을 부시가 차지하게 되었고, 유곽이 번성하게 되었다. 에도의 인구가 여성에 비해 남성이 극히 많은 것은 이 때문이다.

시대극 등에서는, 다이묘 행렬이 지나가면 서민이 바닥에 엎드려 조아리는 장면이 자주 등장 하지만, 실제로 서민이 바닥에 엎드려야만 하는 경우는 자신의 주군으로 있는 다이묘와 도쿠가와 가의 행렬 뿐이었고, 그 외의 다이묘에게는 조아릴 의무가 없었다. 다만, 당연한 일이나 행렬이 나아가는 것이 보이면 길을 양보해 주어야 했다.

주석

  1. 당시의 문서는 당연히 손수 쓴 문서로,〈参〉글자는 강희자전체인〈參(ムムム人彡)〉자를 쓴 것이 아닌, 약체〈(ムニニ人水)〉로 쓰여 있다.
  2. 야마모토 히로부미《산킨코타이》제1장 산킨코타이의 역사 1 산킨코타이의 원류, 마루야마 야스나리의 설명에 따라. p28~p29
  3. 요시무라 토요우(吉村豊雄)〈산킨코타이의 제도화에 따른 고찰 : 간에이 무가법제도와 호소카와 씨(細川氏)구마모토 대학《문학부 논총》Vol.29, 1989년 3월 ISSN 0388-7073 p28~p49
  4. 대대로 영지에의 여가를 주시다.(代々采地への暇を賜う) (관정부)
  5. 이 주장에는 이론(異論)이 있는데, 지출을 강요해 모반을 막는다는 것은 결과론일 뿐, 당초 막부에는 그러한 의도는 없었다는 설이 현재는 유력하다.
  6. 《에도3〇〇년〈평범한 부시〉는 이렇게 살았다》야와타 카즈오(八幡和郎), 우스이 요시노리(臼井喜法)
  7. 와타나베 마사코〈산킨코타이에 대하여가조단기대학(華頂短期大学)《가조박물관학연구》Vol.5, 1998년 12월 ISSN 0919-7702 p27~p44

참고 문헌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