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0k (토론 | 기여)님의 2015년 8월 27일 (목) 03:17 판
발열
아날로그 형태의 수은 온도계가 38.7°C (101.7°F)를 가리키고 있다.

발열(發熱, fever)은 질병이나 질환에 따른 증상의 하나로 정상 체온인 36.5 ~ 37.5℃ 이상으로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일컫는다. 신열(身熱), 장열(壯熱)이라고도 하며, 의학 용어로 파이렉시아(pyrexia)라고 불리기도 한다.

체온이 증가하는 동안에는 보통 한기를 느끼게 된다. 신열은 여러가지 원인으로 발생하지만, 특별히 높지 않으면 열을 낮추는 치료는 종종 필요하지 않다. 온도를 낮추어 환자를 보다 편안하게 하기 위해 위해 해열제를 사용할 수 있다.

신열은 통제할 수 없는 열중증과는 구별된다.

개요

체온은 일반적으로 두뇌의 시색피질 및 시상하부의 체온 조절 중추에 의해 일정한 온도로 제어된다. 열중증과는 달리 감염 등에 의한 면역 체계의 활성화로 인해 생기는 발열에 관해서는, 최근의 연구에 의해 그 발병 메커니즘이 규명되고 있으며, 다음과 같은 모델이 제창되었다.[출처 필요]

발열인자(pyrogen)가 뇌 혈관내피 세포에 작용하여 포스포리파제 A2 (PLA2), 시클로옥시나제-2 (COX-2), 프로스타글란딘E2 합성효소 (PGE2 synthase)의 효소군이 생성된다. 이 효소군의 작용에 의해 프로스타글란딘 E2가 생성된다. 아스피린, 이부프로펜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해열 진통제의 대부분은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효소군 중 시클로옥시제나제의 작용을 억제함으로써 프로스타글란딘 E2를 만들지 않도록 하여 발열의 메커니즘을 억제한다. 내피세포 내에서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 E2는 뇌 조직 속으로 확산되어 시색피질이라는 체온 조절 중추에 있는 신경 세포의 표면에 EP3라는 수용체에 작용한다. 이를 통해 발열 (체온 상승)을 일으키는 뇌의 신경 회로가 활성화 된다.

평상 시의 자율적인 체온 조절에도 관련 있다고 생각되는 시상하부 내핵, 연수 내 담창봉선핵, 대봉선핵 및 척수 내 중간 외측 세포기둥 등의 뇌·척수 영역에 있는 신경세포가 발열 신호 전송에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 신경 회로를 통해 발열 신호는 최종적으로 말초의 체온 조절 기관으로 보내져 열을 만들고, 신체 표면으로부터의 열 발산 억제가 일어난다. 이 2개의 작용에 의해서 몸의 심부 온도를 상승시키는 것이다.

발열인자는 외인성 발열인자와 내인성 발열인자로 분류된다. 가장 주된 내인성 발열인자는 활성화된 면역 체계 세포에서 방출되는 인터루킨1(en:Interleukin_1_family)과 인터루킨6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들 수 있다.

종류

일반적으로 정상 체온은 36.5 °C 전후가 가장 많다. 임상적으로 발열은 37.5 °C 이상의 것을 가리킨다. 정상 체온에서 37.5 °C까지는 《미열》, 37.5 °C ~ 38.5 °C는 보통 《발열》이라고 하며, 38.5 °C 이상을 《고열》이라고 한다. 미열은 만성 염증성 질환, 대사 항진, 빈혈, 임신, 결핵, 감염성 심장 내막염에도 동반되기 때문에 미열이라고 해서 안심할 수 없다.

유형

  • 지속적 발열(continuous fever)
  • 간헐적 발열(remittent fever)
  • 주기열(periodic fever)

증상

발열은 보통, 구토, 피로, 우울, 식욕부진, 졸음, 두통 등이 동반되며, 집중력이 저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