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렬 (1917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김정렬
金貞烈
대한민국의 제7대 국방부 장관
임기 1957년 7월 6일 ~ 1960년 5월 2일
전임 김용우
후임 이종찬
대통령 이승만
부통령 장면

대한민국의 제19대 국무총리
임기 1987년 8월 7일 ~ 1988년 2월 24일
전임 김정렬(서리)
후임 이현재

신상정보
출생일 1917년 9월 29일(1917-09-29)
출생지 일제강점기 조선 경성부 종로 사직정
사망일 1992년 9월 7일(1992-09-07)(74세)
사망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본관 안산
부모 김준원(부), 변상희(모)
형제자매 김영환(아우)
배우자 이희재
자녀 슬하 3남 2녀
친인척 김기원(큰아버지)
종교 불교
군사 경력
복무 일본 제국 일본 제국 육군
대한민국 대한민국 육군
대한민국 대한민국 공군
복무기간 일본 제국 육군(1941~1945)
대한민국 육군(1946~1949)
대한민국 공군(1949~1957)
근무 일본제국 육군 항공대
공군참모총장
최종계급 일본 제국대위 대위(大尉)
대한민국 육군 대령(大領)
대한민국 공군 중장(中將)
지휘 대한민국 육군 항공사관학교
대한민국 공군본부
주요 참전 태평양 전쟁
한국 전쟁
상훈 1951년 2월 및 1956년 12월 미국 훈공장
1951년 10월 태극무공훈장
1954년 10월 을지무공훈장
1956년 4월 충무무공훈장
1963년 12월 수교훈장 흥인장
1987년 7월 수교훈장 광화대장
1992년 9월 1일 국민훈장 무궁화장

김정렬(金貞烈, 1917년 9월 29일 ~ 1992년 9월 7일[1])은 일본 제국육군군인, 대한민국공군군인이다. 해방 이후 국방부 장관과 국무총리를 지냈다. 창씨개명 당시의 이름은 가가와 사다오(香川貞雄), 아호서암(曙巖)·산남(山南)·이열(怡悅).

일제강점기 경성부 사직정 출신으로 어릴적 시코쿠에서 보냈다[출처 필요]. 그는 김신 등과 함께 대한민국 공군의 창군 주역의 한 사람으로 공군 군번은 1번(50001번)이었다.

1940년 일본육군사관학교를 1941년 일본항공사관학교를 졸업하고 태평양 전쟁 당시에는 조종수로 출전하였다. 해방 후 창군에 참여하고 1949년에는 대한민국 공군 창설에 참여하여 초대, 3대 공군참모총장을 역임했다. 1957년 중장 예편 이후 국방부 장관을 지냈다. 1963년 민주공화당의 초대 의장이 되었다가 그 해에 주미대한민국대사로 부임, 1년간 근무했다. 1966년에는 반공연맹 이사장으로 취임하였고, 1967년에는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비례대표 국회의원이 되었다. 1970년대에는 기업인으로 활동하다가 다시 제5공화국 몰락 후 총리 서리로 발탁되어 국무총리를 역임하였다.

백부 김기원대한제국 군인이었으며 김정렬의 부친 김준원도 광복 후 육군 창군에 참여하여 한국 전쟁 당시 육군 대령으로 참전하였고, 6.25 전쟁 당시 해인사 팔만대장경을 폭격의 위기로부터 구한 김영환은 그의 동생이었다.

생애[편집]

생애 초반[편집]

1917년 9월 29일 경성부 종로에서 김준원과 변씨의 아들로 태어났다. 김영환은 그의 동생이었다. 김정렬은 경성부의 부유한 가정에서 태어났다. 큰아버지와 아버지가 모두 대한제국 군인이었던 무관 집안이었다.[2] 그의 집안은 대대로 조선에서 무관을 지낸 집안으로, 큰아버지 김기원은 대한제국 군인으로 일본 육군사관학교를 15기로 졸업(1903년) 하였고 합병 이후 일본의 군인이 되었으며, 아버지 김준원은 대한제국 육군무관학교에 재학 중 일제 강점기가 되자 다시 일본 육군사관학교에 진학하여 26기 졸업생으로 일본군에 편입되어 일제 강점기에도 군인으로 활동했다. 특히 아버지 김준원은 해방 후 육군 창군에 참여, 한국 전쟁에는 육군 대령으로 경남병사구사령관으로 활동하였고 예비역 준장으로 예편하기도 했다.

1935년 경성공립중학교(京城公立中學校)를 졸업한 뒤 다시 편제가 바뀐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4학년이 되었다. 1937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육군예과사관학교에 들어갔다.

일본군 복무[편집]

3식 전투기 히엔(飛燕) 앞에 서 있는 일본 육군 항공대 복무 시절 김정렬

1940년 일본예과사관학교를 졸업하고 다시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 54기로 편입, 1941년 3월 일본 육군항공사관학교를 졸업했다. 일본제국 육군 항공대 소속 조종사로 제2차 세계 대전에 참전하였으며 1941년 12월 항공 중위로 필리핀 공략 작전에 참여하였다. 일본 육군의 비행중대장 및 비행전대장으로 보임되었다.

1942년 일본 아케노(明野)육군항공비행학교에 입학하여 1943년 일본 아케노(明野)육군항공비행학교를 졸업했다. 바로 대위로 승진하여 전투기 비행중대장으로 보임되었다.

창군과 공군 창설 활동[편집]

광복 후 1946년 최용덕, 이근석, 아버지 김준원 등과 함께 조선국방경비대 육군 항공대(공군의 전신) 창설에 앞장섰으며, 그해 이희재와 결혼하였으나 야근과 훈련 등의 이유로 2년간 결혼식을 올리지 못하고 있다가 1948년에 결혼하였다.

1949년 육군 항공대공군으로 독립하자 김정렬은 동생 김영환 등과 함께 공군의 창군에 참여하여 대한민국 공군의 초대 참모총장이 되었다.[3] 한편 공군의 장성으로 진급하여 당시 육군 대령으로 있던 아버지 김준원보다도 더 직급이 높아졌다. 이후 초대, 제3대 공군참모총장을 지냈다. 1950년 6.25 전쟁에 참전하였는데 당시 육군 대령인 아버지 김준원, 공군 대령인 동생 김영환 등도 참전하였다. 6.25 전쟁 이후 공군사관학교 교장, 군사정전회담 한국군 연락장교단 단장, 주한(駐韓)유엔군사령부 한국군사사절 단장, 공군참모총장 등을 역임하였다.

1957년 초 공군 중장으로 예편하였다. 1957년 7월 국방부 장관이 되었으며, 국방장관 재직 중 1958년 방첩 조직인 79호실을 조직하였다. 1960년 4.19 혁명 이후 4월 25일부터 권승렬 등과 함께 이승만의 하야를 촉구하고 자신도 사퇴하였다. 4·19 혁명 이후 1년간 야인 생활을 하였다.

국방부 중앙정보국 설치[편집]

1959년 어느 날 미 CIA 주요 간부 한 사람 이 당시 국방부 장관인 김정렬에게 미국 기관과는 별도[4]의 조직을 구성해야 한다며 당시 국방부 장관 김정렬에게 제의해왔다.

그는 미국 기관과는 별도의 조직으로 운영될 CIA 지부를 대한민국에 설치하고 싶다고 제의해왔다. 그는 CIA 지부가 설치 되면 그 요원 들에게 외교관과 똑같은 치외법권이 보장 되어 져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5] 그러나 김정렬은 쉽게 응하지 않았다. 미국 중앙정보부, 즉 CIA 간부라고 자신을 소개한 넬슨은 CIA 서울지부를 창설하러 왔다고 말하는 것이었다. 어리둥절해 하는 김 장관에게 넬슨은 전임 장관인 김용우CIA부장 앨런 덜레스가 함께 서명한 협약서를 제시했다.

김정렬은 이 제안에 대해 CIA 한국 지부가 독자적인 기관으로서 설치되는 것은 곤란하나, 주한 미국 대사관 안에 적당한 자리를 마련하여 활동하는 것이 좋겠다는 의견을 내놓았다.[5] 한미 두 나라의 정보협력에 대해서 규정한 문서였는데 김정렬은 이런 것이 있는 줄 그때 처음 알게 되었다. 넬슨은 이 협약에 따라 CIA지부를 개설하고 이 기구와 상대할 한국측 정보기관도 만들어줄 것을 요청했다.

김정렬은 이후락을 탐탁치 않게 생각하였지만 미국 CIA에서 계속 부탁하자 이승만에게 보고했다. 이승만은 아에 CIA를 믿지 말라면서 쉽게 허락해주지 않았다. 결국 정보기관은 국방부의 예하에 두는 것으로 낙착된다. 김 장관이 이 문제를 이승만 대통령과 상의했더니 대통령은 내키지 않는 표정으로 CIA지부의 창설을 허가하면서도 주의를 주는 것이었다. 1958년부터 미국CIA를 본뜬 정보기관을 설치하도록 이승만 대통령에게 요청하였지만 미국을 불신하던 이승만은 그 제의를 받아 주는 척 하면서 국방부 산하에 설치함으로써 기능을 격하시켰다.

정치 활동과 기업인 활동[편집]

5·16 군사정변 이후 박정희에 의해 다시 발탁되어 1963년 1월 민주공화당(民主共和黨) 창당 조직에 참여하였다. 그해 3월부터 민주공화당 초대 당 의장이 되었고, 같은 해 주미 대한민국 대사가 되어 1년간 근무하고 1965년 귀국했다. 1966년 반공연맹 이사장, 1967년 민주공화당 공천으로 전국구(비례대표) 국회의원을 지냈다. 5·16 군사정변으로 정권을 잡은 박정희가 자신이 곽영주의 훼방으로 소장 진급이 어려워졌을 때 김정렬이 나서서 박정희를 소장으로 진급시켜준 은혜를 잊지 못했던 박정희는 자신이 정권을 잡자 김정렬을 민주공화당 초대 당의장을 시켜준 것부터 시작해서 국가의 요직을 두루 경험하게 해줬으며 이것이 전두환 정권인 5공화국까지 이어지게 했다. 또 정일권의 후임으로 주미 한국대사를 지냈으며, 이것은 김정렬의 대사 임명에 대한 미국 정부아그레망이 정식으로 요청된 것이었다.[6]

국회의원 임기를 마친 후 1971년부터 삼성물산 사장(三星物産)으로 초빙된 뒤 경제동우회(經濟同友會) 회장, 대한상공회의소 부회장, 주식회사 정우개발(正友開發) 회장 등을 역임하면서 실업계에서 활동하다가, 1980년 최규하 대통령을 찾아가 하야를 종용하는 등 일정한 역할을 한 것을 계기로 전두환 정권에서 1980년 8월 국정자문회의 위원이 되었다. 이어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平和統一諮問會議) 수석부의장으로 공직에 복귀하여 국무총리를 지냈다.

생애 후반[편집]

1987년 국무총리 서리가 되고 그해 7월 국무총리가 되었다. 취임 직후 직접 개각을 단행하고 6.10 항쟁 이후 혼란한 정국을 수습하려 했으나 실패하였고, 그 해의 대통령 선거를 관리하였다. 1988년 2월에 물러났다.

1988년 2월 노태우 대통령 취임과 동시에 국정자문회의 자문위원에 위촉되어 1991년까지 재직하였다. 그는 오랜 군인생활 및 공직생활로 을지무공훈장·충무무공훈장·태극무공훈장·수교훈장광화장미국리전오브메리트 훈장 등을 수여받았다. 1989년 한일협력위원회(韓日協力委員會) 위원장이 되었다.

사후[편집]

서울특별시 동작구 동작동 산 44-7번지 동작동 현충원 유공자 제1묘역에 안장되었다. 그의 묘소 근처에는 허정 대통령 권한대행내각수반장택상 국무총리의 묘소가 소재해 있다.

2008년 민족문제연구소에서 친일인명사전에 수록하기 위해 정리한 친일인명사전 수록예정자 명단에 선정되었다. 이 명단에는 큰아버지 김기원과 아버지 김준원도 포함되어 있다.

저서[편집]

회고록[편집]

  • 《항공의 경종》[7]

상훈 경력[편집]

학력[편집]

가족 관계[편집]

같이 보기[편집]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명 직책명 대수 정당 득표율 득표수 결과 당락
제7대 총선 국회의원(전국구) 7대 민주공화당 50.6% 5,494,922표 전국구 5번 전국구 국회의원 당선

각주[편집]

  1. “김정렬”. 한국 브리태니커 온라인.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2. 방학진 (2006년 3월 1일). “조국의 하늘을 욕되게 한 김정렬”. 작은책. 2008년 3월 25일에 확인함. 
  3. 한편 아버지 김준원대한민국 육군 창군에 참여하였다.
  4. 김교식, 《다큐멘터리 박정희 3권》 (평민사, 1990) 21페이지
  5. 김교식, 《다큐멘터리 박정희 3권》 (평민사, 1990) 22페이지
  6. “駐美 大使에 金貞烈씨 任命”. 경향신문. 1963년 4월 16일.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7. http://m.kado.net/news/articleView.html?idxno=472201

참고 문헌[편집]

  • 반민족문제연구소 (1994년 3월 1일). 〈김정렬 : 일제에서 6공까지 노회한 군인의 권력이동 (조현연)〉. 《청산하지 못한 역사 2》. 서울: 청년사. ISBN 978-89-7278-313-8. 
  • 남정옥, 《6.25 전쟁, 이것 만은 알아야 한다》 (삼우사, 2010)
  • 반민족문제연구소, 《청산 하지 못한 역사: 한국 현대사를 움직인 친일파 60, 2권》(반민족문제연구소, 1994)

외부 링크[편집]

전임
이한기
(서리)
국무총리 서리
1987년 7월 14일 ~ 1987년 8월 6일
후임
김정렬
전임
김정렬
(서리)
제19대 국무총리
1987년 8월 7일 ~ 1988년 2월 24일
후임
이현재
전임
(초대)
초대 공군참모총장
1949년 10월 31일 ~ 1952년 11월 1일
후임
최용덕
전임
최용덕
제3대 공군참모총장
1954년 12월 1일 ~ 1956년 12월 1일
후임
장덕창
전임
김용우
제7대 국방부 장관
1957년 7월 6일 ~ 1960년 5월 2일
후임
이종찬
전임
정일권
제6대 주 미국 대사
1963년 5월 ~ 1964년 10월
후임
김현철
전임
(초대)
초대 평화통일정책자문회의 수석부의장
1981년 5월 7일 ~ 1985년 6월 2일
후임
주영복
전임
(초대)
초대 민주공화당 의장
1963년 2월 26일 ~ 1963년 4월 22일
후임
윤치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