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정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75.192.42.192 (토론)님의 2014년 3월 17일 (월) 17:45 판 (→‎저서)
권정생(權正生)
본명권경수
출생1937년 9월 10일(1937-09-10)
일본의 기 일본 도쿄 도 시부야 구
사망2007년 5월 17일(2007-05-17)(69세)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
사인신부전증, 결핵
거주지경상북도 안동시 일직면 조탑리
성별남성
국적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학력일직국민학교 졸업
직업동화작가
등단1969년강아지똥》 제1회 기독교 아동문학상
종교개신교
부모권유술(父), 안귀순(母)의 5남 2녀 중 넷째 아들
상훈1975년 제1회 한국아동문학상

권정생(權正生, 아명 권경수, 1937년 9월 10일~2007년 5월 17일)은 대한민국의 동화 작가였다. 대표작으로 《강아지똥》과 《몽실 언니》 등이 있다. 140편의 단편동화, 5편의 장편동화, 5편의 소년소설(단편 1편 포함), 100편이 넘는 동시와 동요외에도 80여편의 옛이야기를 재화 혹은 재창작하고, 150여편에 이르는 산문을 남겼다.[1]

생애

일제 강점기 시부야에서 가난한 노동자의 아들로 태어났다. 해방 후 경상북도 청송으로 귀국했다. 가난 때문에 재봉기 상회점원, 나무장수, 고구마장수 등을 하며 객지를 떠돌던 그는 5년 뒤인 1957년 경상북도 안동 일직면 조탑리에 들어왔다. 그때 나이가 18세였다. 이후 22세 때에 지병인 결핵 때문에 집을 나갔다가, 1966년에 다시 정착하여 1982년까지 마을 교회 종지기로 살았다. 순수한 그는 마을 사람 누구나 좋아했으며, 교회학교 교사를 하면서 아이들에게 창작을 하여 동화를 구연하기도 했다. 강아지똥을 집필할 시기에는 그의 기도하던 자리가 표가 날 정도였다고 한다.[출처 필요] 동화 작가로서 많은 인세를 받아 왔지만, 1983년 이후 직접 지은 5평짜리 오두막집에서 강아지와 둘이서 사는 검소한 삶을 실천하며 살다가 2007년 5월 17일 지병이 악화되어 대구가톨릭대학교병원에서 71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개신교 신자인 권정생은 믿음을 바탕으로 자연과 생명 그리고 어린이, 이웃 그리고 무고하게 고난 받는 이들에 대한 사랑을 작품의 주요 주제로 다뤄왔다.[2] 또한, 평생 독신으로 살았다.

연보

[3]

대표작품

권정생의 작품은 대체로 종교적 믿음을 바탕으로 가난하고 소외된 것들에 대한 사랑을 아름답게 표현한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처마 밑의 강아지 똥을 보고 썼다는 《강아지똥》과 절름발이 소녀의 꿋꿋한 이야기를 담은 《몽실 언니》는, 무시당하고 상처받는, 그리고 소외된 주인공들의 모습을 잘 그려내어 베스트셀러가 되기도 했다.

《강아지똥》은 닭과 진흙에게 무시를 당하고 스스로를 하찮게 여기던 강아지 똥이 민들레의 거름이 되어 자신의 소중함을 깨닫는 내용으로 많은 이들에게 감동을 주어 60만 부 이상이 팔렸으며, 현재 중학교 1학년의 국어교과서에도 실려있다.

《몽실언니》는 전쟁과 가난에 허덕이지만 꿋꿋히 버텨내는 한 절름발이 소녀의 감동적인 이야기로, 1984년 첫 출간 이래 50만 부가 넘게 팔렸다.

1990년MBC에서 드라마로도 방영되어 큰 인기를 끌었다.

권정생 선생의 창작동화중 하나인 《황소아저씨》는 황소 아저씨가 엄마가 없는 생쥐남매들에게 여물을 먹이고, 자신의 따뜻한 품에서 잘 수 있게 해 주었다는 이야기로서, 이야기는 짧지만 동물을 사랑하는 작가의 따뜻한 마음이 잘 드러나는 작품이다. 이 동화는 금성문화사길벗 어린이에서 출판하였으며, 황소아저씨는 권정생 선생 자신을 가리킨다는 평가가 있다.[4]

평가

권정생이 아동문학계에 발을 내딛어 활동하던 대한민국1970년대는 ‘반공’과 ‘조국 근대화’를 표상으로 하는 체제 이데올로기의 영향이 사회 전반적으로 그 어느 때보다 강력한 시기였다. 이 무렵의 아동문학은 후대 이론가들에 의해, 국가적 교육 목표에 순응하는 교훈주의와 순수하고 착한 동심을 지향하는 일명 ‘동심천사주의’에 치우쳐 있었다는 지적을 받게 된다. 그런 시기에 권정생은 전쟁 후유증에 시달리는 사람들, 개발 일변도의 사회 분위기에 동화되지 못하고 변두리로 밀려난 사람들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여주는 ‘리얼리즘적’ 글쓰기를 통해 가난한 이웃들에게 무한한 사랑으로 희망을 주고 고난 극복의 정신을 심어주어 아동문학계의 중요한 한 흐름을 선도한 작가로 평가되고 있다.

권정생은 삶과 문학이 한 몸을 이룬 작가로 일제 강점기, 해방 그리고 6·25전쟁 등을 두루 체험하면서도 어느 한쪽의 이념이나 사상에 치우치지 않고, 왜곡된 역사인식과 시대의식을 작품에 담아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또한 종교적 사상을 바탕으로 자기희생적 삶을 온몸으로 실천하는 개인사 덕분에 타계 이후에도 작품뿐 아니라 그의 삶 전반이 여전히 영향력이 큰 작가이기도 하다. 아울러 동화, 옛이야기, 동시, 동극, 산문, 평론뿐 아니라 수많은 기고문을 남기는 등 장르를 자유롭게 넘나들며 작품 활동을 했던 전방위 작가로도 뜻 깊은 사례를 남기고 있다.[1]

수상 경력

  • 1969년 - 제1회 기독교 아동문학상
  • 1975년 - 제1회 한국아동문학상
  • 1995년 - 제22회 새싹문학상

저서

문학 속의 권정생


아이들 읽으라고
글 몇줄 남기고
어메 어메 여러번 외치다가 돌아가셨다
조선새는 모두가 운다
웃거나 노래하는 새는 한 마리도 없다
 
정희성. 〈권정생〉,《돌아다보면 문득》(문학과지성사, 2008)

유서

권정생은 세상을 뜨기 전, “인세는 어린이로 인해 생긴 것이니 그들에게 돌려줘야 한다. 굶주린 북녘 어린이들을 위해 쓰고 여력이 되면 아시아아프리카의 굶주린 아이들을 위해서도 써 달라. 남북한이 서로 미워하거나 싸우지 말고 통일을 이뤄 잘 살았으면 좋겠다”는 내용의 유서를 남겼다. 또한 자신의 집터를 허물어 다시 자연으로 돌려달라고 부탁했다. [5]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

권정생 선생의 뜻을 존중하며 유산관리자로 지목된 이들이 마음을 보태어 설립한 재단법인이다.

함께보기

주석

  1. 양연주. 《권정생 연구》. 단국대학교 문예창작학과. 
  2. 이주영 기자. '몽실언니' 아동문학가 권정생씨 별세(종합)”. 연합뉴스. 2008년 1월 14일에 확인함. 
  3. 우리들의 하느님》(녹색평론사) p218
  4. 권정생 그림책, 황소 아저씨
  5. 녹색평론》2007년 7-8월호, 권정생의 유서

바깥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