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화합성자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한자
발달과정
갑골문자
금문
전서 (대전, 소전)
번체
간체
서체
예서 · 해서 · 행서 · 초서
글꼴
송조체 · 명조체 · 청조체 · 고딕체 · 굴림체 · 교과서체
분류법
필획 · 필순 · 육서 · 부수
한자의 표준화
표준
상용한자 강희자전
문자 개혁
본자 정체자
간체자
약자 신자체
한자의 주음및 표음화
반절 · 주음부호 · 창힐수입법 · 한어병음
나라별 사용
중국 대륙·타이완
홍콩·마카오
한국(한국 한자음)
일본(일본 한자음 · 류큐 한자음)
베트남(한월어 · 고한월어)
파생문자1
한국제 한자(이두, 향찰, 구결) · 일본 국자 · 쯔놈 · 방언자·측천 문자·방괴장자· 방괴동자
파생문자2
히라가나 · 가타카나 · 만요가나 · 여서문자 · 서하 문자 · 거란 문자 · 여진 문자

v  d  e  h

관화합성자모(官話合聲字母)는 청나라 말기의 문자개혁운동때 왕자오(王照)에 의해 개발된 중국어를 표음화하기 위해 고안된 표음문자이다. 캉유웨이, 양치차오등과 함께 청말 개혁운동에 가담하고 있던 왕자오는 개혁좌절이후 일본에 잠시 망명했다가 전통적인 한자에 의한 표음법인 반절일본어가타카나의 구조형식(한자의 편방을 떼는 방법)를 절충하여 자음(성모) 50음, 모음(운모) 12음이 편과 방으로 결합하여 한 음절을 이루는 방식의 관화합성자모를 발표하였다. 음운은 북방어를 기준으로 하였다. 관화합성자모는 위안스카이등 당시의 유력한 정치인과 세력들에게 지지를 받아, 중국의 허베이성, 산둥성, 산시성, 허난성북방어 지역에서 널리 보급되었고, 이 문자에 의한 신문도 간행되었으며, 후에는 북방어 이외의 지역에서도 추가로 자모가 덧붙여 지면서 세력을 넓혀 갔다. 그러나 왕자오와 연계되어 있던 위안스카이등 정치세력이 쇠퇴하자, 관화합성자모의 사용도 함께 순식간에 배척받게 되었다. 그러나, 이후에도 관화자모는 한자를 이용한 중국어 표음운동에 영향을 주었으며, 현재도 중화민국에서 사용하고 있는 주음부호에도 영향을 미쳤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