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22.34.88.162 (토론)님의 2015년 9월 29일 (화) 03:38 판
경부선
경부선의 위치.
철도기점
기본 정보
운행 국가대한민국
종류간선 철도
체계수도권 전철 (남영 - 두정)
상태영업 중
기점서울역
(서울특별시 용산구)
종점부산역
(부산광역시 동구)
역 수90
노선 번호302
개통일1905년 1월 1일
소유자대한민국 정부
(국가철도공단 수탁 관리)
운영자한국철도공사
서울교통공사[내용주 1]
노선 제원
영업 거리441.7 km
궤간1,435 mm
선로 수6(서울 - 구로)
4(구로 - 천안)
2(천안 - 부산)[내용주 2]
전철화가공전차선
교류 25,000 V 60 Hz
신호 방식ATS(서울~천안) [수동운전]
영업 최고 속도ATS 구간 110 km/h
노선도
{{경부선 노선도}} 참고

경부본선(京釜本線)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동자동의 서울역부산광역시 동구 초량동의 부산역을 잇는 한국철도공사간선 철도 노선이다. 일반적으로는 경부본선만을 가리켜 ‘경부선’이라 부르는 경우가 많으나, 정식 명칭은 경부본선이며, 노선 번호는 201이다[1]. 서울역부터 천안역까지는 수도권 전철이 병행되고 있다.

개요

경부선은 대한민국의 양대 도시인 서울특별시부산광역시를 연결하고 인구 100만이상의 대도시인 수원시, 대전광역시, 대구광역시를 경유하는 한국 철도의 중추 간선노선이다. 장항선, 호남선 등과 접속되어 그 중요성이 매우 크며, 일제 강점기 시대부터 중요성을 인정받아 한창 전쟁 중인 1944년에 이미 복선화가 완료되었다. 다른 선구에 비해 선형이 좋아 고속 운행이 이루어지고 있으나, 일부 구간은 선형이 좋지 않은 구간도 존재한다. 또한 일부 구간에선 복복선화 및 3복선화도 되어 선로용량을 증대하였다. 1974년 서울 - 수원수도권 전철이 개통되었으며,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 청량리와의 직결 운행하고 있다. 2004년에는 KTX를 위하여 경부선의 경로와 유사한 300km/h 급의 경부고속선이 개통하였다. 2006년 전철의 운행 구간이 천안역까지 확대되었고, 2008년 12월 15일 장항선 신창역까지 경부선 전철이 연장되었다.

서울에서의 여객 열차의 출발역은 서울역용산역으로 이원화[2]되어 있지만 모든 경부선 계통 열차는 서울역에서 착발한다.

운영

운행

차량

운행되는 객차 차량
동차
기관차

역사

경부선 기공식 (1901년 8월 21일)
개통식 (1905년)

경인선을 부설한 일본대한제국의 철도망을 장악하기 위하여 한반도의 2대 간선축인 서울 - 부산과 서울 - 신의주를 잇는 철도 부설권을 얻기 위해 힘을 기울였다. 1898년 9월, 이윽고 부설권을 취득한 일본은 '경부철도'를 설립하고 1901년 6월 일본은 경부철도주식회사를 세워, 8월 21일에 서울 영등포와 부산 초량에서 각각 착공식을 거행했다. 일본은 영국에서 자금을 빌려와 미국이 가졌던 부설권과 건설 장비를 구입하였다[5]. 경부철도주식회사의 자본금의 4분의 1은 일본 국고에서 나왔으며, 불입금의 10배에 달하는 사채모집도 승인되었다. 시부사와 에이이치 사장은 "경부선은 조선에서 일본의 유일 맥관이자 사활의 기관"이라고 황족, 부호에서 시골 농부까지 주식을 사서 애국하라고 선동하였으며, 이 국민주 모금운동으로 2,500만 원의 거대 자본금을 조달하였다.[6] 1904년 러일전쟁이 발발하자 군수물자 수송등의 이유로 급격히 공사가 진행, 1904년 12월 27일에 완공되어 1905년에 전선이 개통되었다. 일본은 영국처럼 차량이 좌측으로 다녔기 때문에 경부선의 열차도 좌측통행을 하게 되었다. 1906년 러일전쟁 후, 일본의 수상 사이온지는 경부철도 매수법안을 의회에서 통과시켜 경부선과 경의선을 조선통감부 철도관리국 소관으로 국유화하였다.

철도 예전선 주위에 사는 조선인들은 토지 징발과 인력 동원, 물자조달 등을 좌우한 일본군의 영향 아래 있었으며, 노반공사에 농번기 임에도 불구하고 강제로 동원되었으며, 식량과 가축에 대한 강제 징발도 수시로 자행되어 유랑민이 속출하였다. 대한매일신보는 '철도가 통과하는 지역은 온전한 땅이 없고 기력이 남아 있는 사람이 없으며, 열 집에 아홉 집은 텅비었고, 천리 길에 닭과 돼지가 멸종하였다'고 보도했다. 시흥과 파주, 곡산과 평산 그리고 평양에서 조선인들은 이에 항의하는 싸움을 벌였고, 선로상에 큰 돌을 놓아 저항하였다. 이런 사건의 주모자는 잡히는 대로 사형에 처해졌다.

1908년에는 경부선과 같은 해에 완공되었던 경의선과의 직결 운행이 이뤄져 부산과 신의주를 잇는 직통 급행열차 융희호를 운행하기 시작했다. 국권침탈 이후에는 일본과 만주를 잇는 경부선과 경의선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면서 1910년대에 전면개량이 이루어졌다. 남만주철도의 노선과 직통운행도 이뤄져 한반도와 중국대륙을 잇는 국제열차가 운행되기도 하였다.

광복 이후에도 한국의 중추 철도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였고, 한국 전쟁한강철교가 폭파되기도 하였으나 군수물자와 병력수송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전후에는 유엔군의 공여와 미국의 원조로 들어온 디젤 기관차가 투입되어 서울 - 부산간 소요시간이 크게 단축되기도 하였다.

1960년대1970년대에 서울로의 급격한 인구유입과 도시화로 인한 통근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서울 - 수원간의 전철화와 서울 - 영등포간의 복복선화가 진행되어 1974년 8월 15일경인선(구로 - 인천), 경원선(청량리 - 성북)과 함께 통근형 전동차 를 운행하여, 서울 지하철 1호선과의 직통운행을 개시하였다.

계속된 통근수요의 증가로 용량이 한계에 이르자 1981년 12월 23일에 영등포 - 수원간 복복선화가 이뤄져 통근형 전동차와 일반열차의 운행선로가 분리되었다(통근형 전동차는 2선, 일반열차는 1선). 그리하여 어느 정도 통근형 전동차를 대량 수용 하는 것이 가능해져 급증하는 통근수요에 대응할 수 있게 되었다. 1984년에는 열차선을 이용하여 서울 - 수원간을 빠르게 잇는 직통열차(현 급행열차)가 등장하였으나 러쉬아워에 3, 4회만 운행하였다.

계속된 개량과 CTC의 도입, 150km/h 고속주행이 가능한 새마을호 객차의 도입등에 힘입어 1985년 11월 16일 영업최고속도를 140km/h까지 끌어올릴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서울 - 부산간 최단 소요시간이 새마을호, 무궁화호, 통일호가 각각 4시간 10분, 4시간 50분, 5시간 15분으로 단축되었다.

그러나 계속되는 수요증가와 대부분의 철도가 경부선을 중심으로 뻗어나가는 단점 때문에 1990년대에 이르러 만성적인 용량부족에 시달리게 되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경부선 전구간의 복복선화와 고속신선의 도입이 검토되었는데 소요시간 단축과 이에 따른 대량의 여객수송이 가능한 이점이 부각되어 고속신선의 도입이 결정되었다. 고속철도 시스템은 프랑스TGV가 선정되어, 2004년 4월 1일시흥 - 지천경부고속신선이 개통되어 KTX가 운행 개시되면서 서울 - 부산간을 2시간 40분에 연결하여 기존 새마을호에 비해 1시간 30분 이상을 단축시켰다.

이와 더불어 수원 - 천안간의 복복선화와 전철화가 진행되어 2003년 4월 30일에는 수원 - 병점 구간이 1차 개통, 2005년 1월 20일에는 병점 - 천안간이 복복선화되어 천안까지 통근형 전동차의 운행범위가 확대되었다. 이와 함께 기존의 서울 - 수원간 직통열차가 서울(용산) - 천안간 급행열차로 바뀌어 서울역과 천안역을 상행선 1시간 25분, 하행선 1시간 20분 에 이어주고 있다. 참고로 2000년부터 전철 안내에는 1호선이라는 안내명이 사용된다.

또한 전구간 전철화 사업도 진행되어 KTX의 운행을 위해 대전조차장 - 옥천, 지천 구간이 2004년 4월에 전철화된 것을 시작으로 2005년 3월 천안 - 조치원 구간이 전철화되었고 2006년 12월까지 잔여 구간인 조치원 - 지천간의 전철화가 이루어졌다. 이에 따라 2007년 3월 1일부터 경부선에도 전기 기관차 운행이 시작되어 열차운행비용 절감에 도움이 되고 있다.

고속철도 개통과 동시에 일부 구간의 선형 개량이 이루어졌으며 이는 기존의 속도제한 90~100km/h 를 대폭 상향조정하여 140~150km/h 주행이 가능하도록 직선화하여 기존선의 운행시간을 단축하였다. 2000년 이후 노선이 이설된 구간은 다음과 같다.

연혁

일제 강점기

비전철 시대

전철화 시대

광역 전철 시대

역 목록

서울 - 천안

역 번호 역명 KTX 접속 노선 (환승)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133
P313
서울 수도권 전철 1호선 (지하)
수도권 전철 4호선 (지하)
경의선 ( 수도권 전철 경강선, 서부)
인천국제공항철도
0.0 0.0 서울특별시 용산구
지하철 인입선 서울 지하철 1호선 접속 0.0 0.0
134 남영 1.7 1.7
135 용산 용산선
경원선 (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1.5 3.2
삼각선 (분기) 용산삼각선 0.8 4.0
136 노량진 서울 지하철 9호선 1.8 5.8 동작구
137 대방 1.5 7.3 영등포구
138 신길 수도권 전철 5호선 0.8 8.1
139 영등포 1.0 9.1
140 신도림 서울 지하철 2호선 (본선)
서울 지하철 2호선 (신정지선)
1.5 10.6 구로구
141 구로 경인선 (부평역·주안역·인천역 방면 전철) 1.1 11.7
삼각선 (분기) 구로삼각선 1.3 13.0
P142 가산디지털단지 서울 지하철 7호선 1.1 14.1 금천구
P143 독산 2.0 16.1
P144 금천구청 1.2 17.3
연결선 (분기) 경부고속선 경유 금천구청연결선 0.4 17.7
P145 석수 1.9 19.6 경기도 안양시
P146 관악 1.9 21.5
P147 안양 2.4 23.9
P148 명학 2.2 26.1
P149 금정 안산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과천선 ( 수도권 전철 4호선)
1.4 27.5 군포시
P150 군포 2.2 29.7
P151 당정 1.6 31.3
P152 의왕 남부화물기지선 2.6 33.9 의왕시
P153 성균관대 2.9 36.8 수원시
P154 화서 2.6 39.4
P155 수원 수도권 전철 수인·분당선
수도권 전철 수인선 (예정)
2.1 41.5
P156 세류 2.9 44.4
P157 병점 병점기지선 4.3 48.7 화성시
P158 세마 2.4 51.1 오산시
P159 오산대 2.7 53.8
P160 오산 2.7 56.5
P161 진위 4.0 60.5 평택시
P162 송탄 3.8 64.3
P163 서정리 2.2 66.5
P164 지제 4.8 71.3
P165 평택 3.7 75.0
P166 성환 9.4 84.4 충청남도 천안시
P167 직산 5.4 89.8
P168 두정 경부선 3.8 93.6
P169 천안 경부선
장항선 ( 수도권 전철 1호선)
3.0 96.6

천안 - 부산

  • ITX : ITX-새마을
  • 무 : 무궁화호
  • ● : 전 열차 정차, ■ : 기존 경부선(구포) 경유 열차는 전부 정차(KTX) / 경전선 KTX는 일부 열차만 정차, ▲ : 일부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역명 KTX ITX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천안 경부고속선 경유 경부선
장항선
3.0 96.6 충청남도
천안시
소정리 10.8 107.4





전의 7.5 114.9
전동 7.7 122.6
서창 오송선 3.5 126.1
조치원 충북선 3.2 129.3
내판 5.6 134.9
부강 4.9 139.8
매포 4.6 144.4
신탄진 7.5 151.9 대전광역시 대덕구
회덕 5.6 157.5
대전조차장 대전북연결선
호남선
4.1 161.6
연결선 (분기) 대전북연결선 2.6 164.2
대전 대전선
대전 도시철도 1호선 (대전역)
2.1 166.3 동구
세천 7.3 173.6
옥천 8.9 182.5 충청북도 옥천군
연결선 (분기)





대전남연결선 0.4 182.9
이원 7.9 190.8
지탄 5.6 196.4
심천 4.4 200.8 영동군
각계 3.8 204.6
영동 7.0 211.6
황간 14.6 226.2
추풍령 8.5 234.7
신암 6.0 240.7 경상북도 김천시
직지사 5.5 246.2
김천 경북선 7.6 253.8
대신 9.7 263.5
아포 5.7 269.2
구미 7.5 276.7 구미시
사곡 4.6 281.3
약목 8.2 289.5 칠곡군
왜관 6.5 296.0
연화 6.2 302.2
신동 3.7 305.9
연결선 (분기) 대구북연결선 2.3 308.2
지천 5.1 313.3
대구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대구역) 9.8 323.1 대구광역시 북구
동대구 대구 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3.2 326.3 동구
연결선 (분기) 경부고속선 경유 대구남연결선 2.6 328.9 수성구
고모 2.9 331.8
가천 대구선 1.6 333.4
경산 5.2 338.6 경상북도 경산시
삼성 7.1 345.7
남성현 7.4 353.1 청도군
청도 8.7 361.8
신거 5.6 367.4
상동 4.8 372.2 경상남도 밀양시
밀양 9.4 381.6
미전 미전선 11.0 392.6
삼랑진 경전선 1.5 394.1
원동 9.1 403.2 양산시
물금 9.2 412.4
화명 부산 도시철도 2호선 9.4 421.8 부산광역시 북구
구포 부산 도시철도 3호선 3.4 425.2
사상 가야선
부산 도시철도 2호선
부산-김해경전철
5.1 430.3 사상구
부산진 동해남부선
우암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
9.6 439.9 부산진구
부산 부산연결선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부산역)
1.8 441.7 동구

폐역 목록

경부고속철도

경부고속철도는 2004년 1단계 구간 개통을 시작으로 2010년 2단계 구간 개통으로 전 구간 개통된 대한민국의 고속철도로, 전용 선로를 사용하여 운행되고 있으며, 대전역동대구역 인근의 구간은 기존 경부선 주변에 신선을 건설할 계획이다. 속도는 경부고속선 구간에서 평균 250km/h, 최고 300km/h, 경부선 기존 구간에서 약 150km/h로 운행하며, 서울역 - 부산역 사이가 2시간 16분[17] 에서 2시간 45분 정도[18]이다.

차량은 프랑스TGV를 한국 사양에 맞춘 KTX-I과 HSR-350X를 양산화한 KTX-산천을 사용한다.

지선 노선

경부선에는 총 15개의 지선들이 있다. 여기서는 각 노선을 나열하였으며, 노선명 뒤의 괄호 안에는 해당 노선의 거리와 거리표 기준의 노선 번호를 기입하였다.

일반 지선

삼각선 및 연결선

  • 용산삼각선 (0.5km, 2011): 용산역에서 부산 방향으로 0.8km 떨어진 지점에 있는 삼각선이다. 경부본선과 경원본선 사이를 잇는다.
  • 구로삼각선 (1.2km, 2012): 구로역에서 부산 방향으로 1.3km 떨어진 지점에 있는 삼각선이다. 경부본선과 경인선 사이를 잇는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삼각선 (경부선) 경부선 0.0 0.0 서울특별시 구로구
삼각선 (경인선) 경인선 1.2 1.2
  • 경부선 (3.1km, 2017): 두정역천안역을 잇는 연결선으로, 경부선과 장항선 사이를 이으며, 복선화되어 있다. 경부선의 천안 이북에서 장항선에 직결하려는 열차가 사용한다. 실질적으로 장항선의 일부로 취급된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두정 경부선 0.0 0.0 충청남도 천안시
천안 장항선
경부선
3.1 3.1
  • 오송선 (4.6km, 2018): 서창역오송역을 잇는 연결선으로, 경부본선과 충북선 사이를 이으며, 복선화되어 있다. 경부본선의 전동 이북에서 충북선에 직결하려는 열차가 사용한다.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서창 경부선 0.0 0.0 세종특별자치시
오송 충북선 4.6 4.6 충청북도 청주시

기지선 및 화물선

역명 접속 노선 역간
거리
영업
거리
소재지
구로 (경부선) 경부본선 0.0 0.0 서울특별시 구로구
구로기지 (경부선) 경부본선 1.4 1.4

경부선의 교통량

열차 통과량

오늘날 경부선은 경부선 본선과 경부고속선, 호남선, 전라선, 장항선의 철도교통량을 모두 처리하는 대한민국의 기간 교통망으로 기능하고 있다. 앞서 언급한 노선의 모든 철도교통량이 모여들기 때문에 한국 철도 내에서 최대의 교통량을 처리하는 용산~시흥 구간은 2005년 11월 개정된 철도시간표에 따르면 하행선의 경우 일반열차 1102편성/주, 수도권전철 급행전동열차 36편성/주가 통과해 총 1144편성/주에 달하는 막대한 교통량을 처리하고 있다. 이를 용산역에서 열차가 출발한 시간으로 나누면 시격은 약 6.8분에 불과하다.


구간명 하행선 시격(분) 상행선 시격(분) 분기하거나 합류하는 노선
서울-용산 663 11.1387632 698 10.58022923 출발역
용산-금천구청 1102 6.796733212 1137 6.495162709 호남방면 출발
금천구청-대전조차장 505 505 경부고속선 구간
금천구청-천안 597 632 천안->장항선
천안-조치원 433 527 조치원->충북선
조치원-대전조차장 475 562 대전조차장->호남선
대전조차장-대전 656 698
대전-옥천 642 663
옥천-신동 363 363 경부고속선 구간
옥천-김천 279 300
김천-신동 307 335 경북선->김천
신동-대구 670 698 경부고속선
대구-동대구 726 754 동대구->대구선
동대구-미전 617 638 미전->경전선
미전-가야 526 547 가야->동해남부선
가야-부산 512 533 종착역

승객 통과량

경부선은 2004년 기준으로 1년에 약 6천 8백만 명을 수송했으며, 이는 약 1억 1천만 명인 한국철도 전체의 지역 간 여객 수송량 가운데 약 62%에 달하는 양이다. 거리별 이동량을 나타내는 인거리(passenger-Km)수치 역시 압도적이며, 전체 약 179억인km 가운데 128억인km를 경부선이 담당하고 있다. 총인거리 가운데 72%가 경부선에 집중해 있는 셈이기 때문에, 이 노선은 한국철도 평균보다 좀 더 장거리 여객 비율이 높다고 볼 수 있다. 다음 자료는 한국철도공사 2004년도 백서의 여객수송부분을 이용하여 편집한 것이다.

승객 합류 지점명 하행선 탑승자 하행선 하차자 하행선 출발량 상행선 승차자 상행선 하차자 상행선 진입량 비고
경의선 43179 0 43179 0 35975 35975
서울역 11888728 6935 11924972 0 12066813 12102788
경원선 3423 3833 11924562 4398 13381 12111771
용산역 2670218 325 14594455 1627 2875146 14985290
경부3선 3870 0 14598325 0 33680 15018970
노량진역 12646 35 14623162 10 12078 15062891
경부3선 0 0 14623162 0 19773 15082664
영등포역 6226007 3889 20845280 5834 5835313 20912143
시흥연결선 0 7292440 13552804 7492539 0 13419604 경부고속선 접속
안양역, 명학역 160240 2028 13711558 2979 158447 13575433
경부2선 0 6023 13705535 358287 0 13217146
수원역 4445559 623043 17528051 676623 4430798 16971321
경부2선 0 0 17528051 0 361200 17332521
오산역, 서정리역 105491 274289 17366466 315379 93320 17110462
평택역 675664 1674979 16367333 1621163 670105 16159404
성환역, 직산역 17303 83916 16300720 83916 14652 16081290
장항선 2186 1942923 14359983 1870466 2364 14213118
천안역 1191565 2624696 12926852 2637909 1186374 12761653
소정리, 전의, 전동역 16395 27091 12916156 25515 16670 12752808
오송삼각선, 서창역, 충북선 207735 61540 13062351 59318 210767 12904257
조치원역 593208 963790 12691769 951363 583074 12535968
내판, 부강, 매포역 19212 28748 12682233 32938 14933 12567963
신탄진, 회덕역 99366 334999 12446600 343855 92217 12266325
호남선 629 4580266 7866963 3685083 619 8581861
대전연결선 6707731 0 14574964 0 6776006 15357867 경부고속선 접속
대전선, 대전조차장, 호남선 7502 3817 14577474 592361 2022 14766940
대전역 2086772 3423194 13241052 3483882 2052661 13334719
세천, 옥천역 40395 87640 13193807 91465 37787 13281041
옥천연결선 0 6383774 6810033 6325697 0 6955344 경부고속선 접속
이원, 지탄, 심천, 각계역 1985 33374 6778644 39268 1758 6917834
영동역 124229 395183 6507690 369547 126012 6674299
황간, 추풍령, 직지사역 12016 31531 6488175 34075 11076 6651300
경북선 240317 1128 6727364 1949 228556 6877907
김천역 634837 498083 6864118 501066 634864 7011705
대신, 아포역 3348 128 6867338 225 3842 7015322
구미역 1271443 886841 7251940 881549 1316371 7450144
사곡, 약목역 36434 4046 7284328 6776 29952 7473320
왜관역 418991 164250 7538019 165155 417679 7725844 연화역 승하차량 포함
신동연결선 6383774 0 13921793 0 6325679 14051541 경부고속선 접속
신동, 지천역 7848 867 13928774 1371 4570 14054740
대구역 1133830 1679365 13383239 1789041 1134664 13400363
대구선 1375 440112 12944502 416486 3896 12987773
동대구역 1834492 4627527 10151467 4563491 1785932 10210214
경산역 404295 412569 10143193 420482 396436 10186168 고모역 승하차량 포함
삼성, 남성현, 청도역 189065 299640 10032618 298515 191093 10078746
신거, 상동역 27707 12092 10048233 13583 28952 10094115
밀양역 829433 572510 10305156 570596 853314 10376833
미전선, 미전 0 715586 9589570 654937 3675 9725571 경전선 접속
경전선 127268 0 9716833 177934 122189 9669826
삼랑진 165999 47284 9835548 47966 171276 9793135
원동, 물금, 화명역 79696 90800 9824444 105952 74366 9761550
구포역 22085 1653448 8193081 1802132 25055 7984473
가야선 0 237336 7955745 229807 0 7754666
사상역, 동해남부선, 부산진역 211 108384 7847572 98938 18735 7674463
부산역 330 7847902 종착 7674879 416 출발

각주

  1. 국토해양부 고시 제2010-918호 《한국철도거리표》, 국토해양부. / 관할 부처인 대한민국 국토해양부와 운영 주체인 한국철도공사의 정식 명칭은 경부본선이고 ‘경부선’은 경부본선과 그 지선을 통틀어 가리키는 말이다.
  2. 서울역발 열차는 대부분 부산행이고, 용산역발 열차는 대부분 익산, 목포, 여수엑스포행이다.서울역에서는 용산역 착발 이외의 모든 여객열차가, 용산역장항선, 전라선, 호남선 직결 열차가 착발한다. 단 예외의 경우도 있는데 경부선 상행 일부열차가 용산역에서 운행이 종료되고 장항선 서울-신창 누리로 열차는 서울역에서 착발한다.
  3. 현재는 정기 여객 영업에서 퇴역하여 임시열차로만 운행된다.
  4. 서울메트로 소속 열차로서 인입 선로를 통해 직결하여 운행한다.
  5. Railroad train in Korea USC Digital Library
  6. 노형석, 《한국 근대사의 풍경》, 생각의 나무, 2004, p20
  7. 이때는 거의 모든 구간이 개통된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영동역 - 부강역 구간이 이때 개통되었다. 동시에 경인선 서울역 - 영등포역 구간이 경부선으로 경인선 전체 구간은 축소되었다.
  8. 조선총독부 고시 제 378호(1945.06.16)
  9. 철도청 고시 제83호 (1964년 6월 23일)
  10. 철도청 고시 제226호(1966.04.01)
  11. 철도청 고시 제269호(1966.08.06)
  12. 철도청 고시 제329호(1967.05.30)
  13. 철도청 고시 제54호(1968. 8. 16)
  14. 철도청 고시 제113호 (1969년 6월 4일)
  15. 철도청 고시 제127호(1969.07.09)
  16. 대한민국관보 건설교통부고시 제.2005-328호(2005.10.24)
  17. 서울역부터 부산역까지 중간 정차역 없이 운행한다.
  18. 서울역부터 부산역까지 고속철도 역 대부분에 정차한다.

같이 보기

바깥 고리


인용 오류: "내용주"이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에 대한 <ref> 태그가 존재하지만, 이에 대응하는 <references group="내용주" /> 태그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