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경도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간경도감(刊經都監)은 조선 시대 초기에 불경한글로 번역 · 출간하기 위해 세워진 국립 기관이다.[1][2] 1461년(세조 7) 6월에 왕명으로 설치되어 1471년(성종 2)까지 총 11년간 존속하였다.[3] 독실한 불교신자였던 세조계유정란(1453)을 통해 왕위에 오른 뒤에 찬탈을 속죄하며 더욱 불교에 심취하던차에[4] 간경도감(刊經都監)을 설치하여 각종 불경한글로 번역하는 등, 불교 관련 여러 사업을 진행하였다. 이로인해 세조의 통치 시기는 조선 시대 불교의 전성기를 이루기도 했다.[5]

개요[편집]

간경도감은 중앙에 본사를 두고 안동부·개성부·상주부·진주부·전주부·남원부 등 지방 여러 곳에 분사를 두었다. 직제는 도제조·제조·사·부사·판관 등을 두었는데, 관리는 약 20명이고 총 종사자는 170여명에 이르렀다. 또 이 일에 30일 이상 종사하면 도첩을 주어 승려가 되게 하였으므로 많은 사람들이 참여하였다.[3]

유명한 승려와 학자를 초빙하여 불경을 번역하고 간행하는 일이 주된 사업이었으며 불서를 구입하거나 수집하고, 왕실 불사와 법회를 관장하기도 하였다. 불경 발간은 한문본 발간과 한글 번역본 발간의 두 종류로 나뉘었다. 한문본은 특히 고려 때 조성된 《속장경》을 판각하는 일이 주업무였다. 거의 대부분의 업무를 세조가 관장하였다.[3]

수미, 신미(信眉) 등 승려와 한계희(韓繼禧) · 노사신(盧思愼) · 강희맹(姜希孟) 등 학자들이 실무에 종사하였다.[1][2] 그 결과 불교는 다시 활기를 띠어 사찰이 중흥되고 승려도 상당히 증가했다.[1] 간행된 책으로는 《능엄경언해(楞嚴經諺解)》 10권, 《묘법연화경언해(妙法蓮華經諺解)》 2권 등이 있다.[1]

간경도감을 통해 한글(훈민정음)로 번역하여 간행한 《법화경(法華經)》·수능엄경(首楞嚴經)》·금강경(金剛經)》 ·원각경(圓覺經)》·심경(心經)》·영가집(永嘉集)》 등의 경전은 세조의 어역(御譯)으로 당시 고승(高僧)이었던 신미(信眉) · 수미(守眉) · 홍준(弘濬) 등과 대신(大臣) 윤사로(尹師路) · 황수신(黃守身) · 김수온(金守溫) · 한계희(韓繼禧) · 성임(成任) 등의 도움으로 이루어진 것이다.[2]

경전 번역사업은 불교 보급에 적지 않은 역할을 했으며, 한글로 번역한 언해본은 불교학 연구뿐만 아니라 조선 초기의 우리말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되고있다.[3] 그러나 세종 때부터 한글 사용에 반대하던 사대주의 유학자들이 불경번역을 숭불행위라고 반대하고 나서자[6] 1471년(성종2) 12월에 폐지되었다.[7]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