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햄빵이 (토론 | 기여)님의 2014년 2월 7일 (금) 15:29 판

(표준어: 쌍비읍, 문화어: 된비읍)은 한글 낱자의 을 어울러 쓴 것이다. 첫소리로만 쓰이고 끝소리로는 쓰이지 않는다.

훈민정음 초성 체계로는 혓소리이다. 15세기 당시 각자 병서 ㅃ은 주로 한자 음에 쓰였고, 한국어 표기에서는 주로 ㄹ 관형사형 다음에 오는 명사의 첫머리를 ㅃ으로 써서 된소리임을 보였다.

현대 한국어에서는 된소리이다. ㅂ의 된소리를 표기하기로 정식으로 정한 때는 1933년에 제정한 한글 맞춤법 통일안이다. ‘쌍비읍’이라고 하는 이름도 이때 붙였다.


국제음성기호로는 [ ˀp ] 또는 [ p͈ ]로 표기한다.

코드 값

종류 글자 유니코드 HTML
한글 호환 자모 U+3138 ㄸ
한글 자모
영역
첫소리 ᄈᅠ U+1108 ᄈ
끝소리 ᅟᅠퟦ U+D7E6 ퟦ
한양 사용자
정의 영역
첫소리  U+F7B2 
끝소리  U+F8BE 
반각 U+FFB3 ᄈ

정보

자명 쌍비읍(남)
된비읍(북)
발음 어두 : [ ˀp ], 어중 : [ ˀp ], 어말 : [ p ̚ ], 어두 구개음화 : [ ˀpʲ ], 어중 구개음화 : [ ˀpʲ ](남)
어두 : [ ˀp ], 어중 : [ ˀp ], 어말 : [ p ̚ ], 어두 구개음화 : [ ˀpʲ ], 어중 구개음화 : [ ˀpʲ ](북)
이음 후행 자음이 평음일 경우 평음경음으로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