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D 93129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D 93129 A에서 넘어옴)

HD 93129
트럼플러 14 성단. 가장 밝은 별이 HD 93129 A이다.
트럼플러 14 성단. 가장 밝은 별이 HD 93129 A이다.
명칭
소천성표 CD−58° 3528
히파르코스 목록 HIP 114507
다른 이름 전체: 트럼플러 14 1, CCDM J10440-5933, WDS J10440-5933
A: TYC 8626-2805-1, ALS 15862, LS 1820
B: ALS 19309
관측 정보
(역기점 J2000)
별자리 용골자리
적경(α) 10h 43m 57.5s[1]
적위(δ) −59° 32′ 51.3″[1]
겉보기등급(m) 6.90[2] (7.310[1] + 8.84[3])
절대등급(M) A: −6.5 (−6.1 + −5.2)
B: −4.9[4]
위치천문학
시선속도 −0.4 ± 7.4 km/s[5]
적경 고유운동 -5.0 mas/yr[1]
적위 고유운동 17.0 mas/yr[1]
거리 7500 광년 (2300 파섹)[6]
성질
광도 Aa: 1,480,000 L[7]
Ab: 575,000 L[7]
B: 575,000 L[7]
나이 0.9+0.2
−0.4
(백만 년)[5]
분광형 A: O2If*[8] (O2If+O3.5V[6])
B: O3.5 V((f))z[9]
U-B 색지수 A: −0.81[3]
B: −0.79[3]
B-V 색지수 A: +0.25[3]
B: +0.23[3]
추가 사항
질량 Aa: 110 M[4]
Ab: 70 M[4]
B: 52 M[10]
반지름 Aa: 22.5 R[11]
Ab: 13.1 R[12]
B: 13 R[10]
표면온도 Aa: 42,500 K[11]
Ab: 44,000 K[12]
B: 44,000 K[10]
표면 중력 (log g) Aa: 3.71 cgs[11]
B: 3.92 cgs[10]
항성 목록

겉보기등급순 · 절대등급순
거리순 · 질량순 · 반지름순

HD 93129용골자리 성운에 있는 삼중성계우리은하에서 최상급의 광도를 보여주는 뜨거운 O형 항성 셋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계는 용골자리 OB1 성협(용골자리 에타, WR 25 등 극도로 광도가 높은 항성들이 소속되어 있다.) 내 젊은 성단 트럼플러 14를 지배하는 구성원이다.

위치[편집]

용골자리 성운. 왼쪽에 용골자리 에타, 중심에서 약간 오른쪽에 트럼플러 14가 있다.

HD 93129는 항성이 태어나는 영역인 용골자리 성운 내 무거운 산개성단 트럼플러 14의 중심부에 있다. 연주시차를 이용하기에는 지구로부터 너무 멀리 떨어져 있으나 용골자리 에타까지의 거리, 같은 영역 내에 있는 것으로 보이는 다른 별들의 천체물리학적 데이터, 성단들의 모형 등으로부터 HD 93129까지의 거리를 약 2300 파섹(약 7500 광년)으로 추정하고 있다.[6] HD 93129 Aa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O2형 초거성이다.[13]

HD 93129가 있는 근처는 질량이 크고 광도가 높은 여러 다른 항성들의 고향이기도 하다. HD 93128는 트럼플러 14에서 24'밖에 떨어져 있지 않으며 또다른 O3.5형 주계열성이다. HD 93250과 HD 93205는 용골자리 에타 근처 규모가 더 큰 트럼플러 16 성단 안에 있으며 둘 다 O3.5 분광형이다. 이외에도 볼프-레이에별 세 개, O4형 초거성 하나, O형 항성 다수, 그 자체로 독특한 용골자리 에타 등이 HD 93129 인근에 분포해 있다.[7]

항성계[편집]

성단 트럼플러 14의 사진. HD 93129 A는 사진에서 가장 밝은 별이다. HD 93129 B는 A에 가까이 붙어 있으나 확실히 구별된 형태로 보인다.

HD 93129는 확연하게 둘로 분리되어 있는 HD 93129 A와 HD 93129 B로 구성되어 있다.

HD 93129 A 자체는 다시 훨씬 가까이 붙어 있는 주성 Aa와 반성 Ab로 이루어져 있다. 다만 반성과 주성의 밝기 차이가 0.9 등급밖에 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주성 Aa가 계 전체의 스펙트럼을 압도한다. HD 93129 Aa는 O2형 초거성, Ab는 O3.5 분광형의 주계열성이다.[14] 둘 사이의 거리는 2004년 55 밀리초각에서 2013년 27 밀리초각까지 줄어든 것으로 관측되었으나 정확한 궤도는 밝혀지지 않았다.[13]

HD 93129 B는 근접쌍성 A로부터 3 초각 떨어져 있는 O3.5 분광형의 주계열성이다. B는 A의 총광도보다 1.5 등급 어두우며 HD 93129 Ab와 광도가 거의 같다.[1][3]

HD 93129로부터 5 초각 안쪽으로 어두운 별 다섯 개가 더 있는데 적외선 파장대에서 HD 93129보다 5 ~ 7 등급 더 어둡다.[13]

특성[편집]

HD 93129를 구성하는 항성 셋 모두 우리 은하 내 별들 중에서 광도 면에서 최상위 그룹에 속한다.[6] 주성인 초거성 HD 93129 Aa의 광도는 태양의 148만 배, 나머지 두 반성의 광도는 태양의 57만 5천 배이다. 광도 외에 표면 온도 면에서도 주성 초거성은 42500 켈빈, 나머지 둘은 52000 켈빈으로 역시 최상급으로 뜨겁다. 세 별의 질량은 태양의 70 배 ~ 110 배 사이이다.

HD 93129 Aa는 주계열을 떠났으며 나이는 90만 년 언저리로 추정된다. 트럼플러 14 내 영년주계열 항성들이 있는 것을 볼 때 Aa의 나이는 최소 60만 년 이상은 될 것이다.[5]

각주[편집]

  1. Høg, E.; Fabricius, C.; Makarov, V. V.; Urban, S.; Corbin, T.; Wycoff, G.; Bastian, U.; Schwekendiek, P.; Wicenec, A. (2000). “The Tycho-2 catalogue of the 2.5 million brightest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355: L27. Bibcode:2000A&A...355L..27H. 
  2. Ducati, J. R. (2002). “VizieR Online Data Catalog: Catalogue of Stellar Photometry in Johnson's 11-color system”. 《CDS/ADC Collection of Electronic Catalogues》 2237. Bibcode:2002yCat.2237....0D. 
  3. Vazquez, R. A.; Baume, G.; Feinstein, A.; Prado, P. (1996). “Investigation on the region of the open cluster TR 14”. 《Astronomy and Astrophysics Supplement》 116: 75. Bibcode:1996A&AS..116...75V. 
  4. Nelan, Edmund P.; Walborn, Nolan R.; Wallace, Debra J.; Moffat, Anthony F. J.; Makidon, Russell B.; Gies, Douglas R.; Panagia, Nino (2004). “Resolving OB Systems in the Carina Nebula with the Hubble Space Telescope Fine Guidance Sensor”. 《The Astronomical Journal》 128: 323–329. Bibcode:2004AJ....128..323N. doi:10.1086/420716. 
  5. Penny, Laura R.; Gies, Douglas R.; Hartkopf, William I.; Mason, Brian D.; Turner, Nils H. (1993). “The frequency of binary stars in the young cluster Trumpler 14”. 《Publications of the Astronomical Society of the Pacific》 105: 588. Bibcode:1993PASP..105..588P. doi:10.1086/133200. 
  6. Cohen, D. H.; Gagné, M.; Leutenegger, M. A.; MacArthur, J. P.; Wollman, E. E.; Sundqvist, J. O.; Fullerton, A. W.; Owocki, S. P. (2011). “Chandra X-ray spectroscopy of the very early O supergiant HD 93129A: Constraints on wind shocks and the mass-loss rate”.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415 (4): 3354–3364. arXiv:1104.4786. Bibcode:2011MNRAS.415.3354C. doi:10.1111/j.1365-2966.2011.18952.x. 
  7. Smith, Nathan (2006). “A census of the Carina Nebula - I. Cumulative energy input from massive stars”. 《Monthly Notices of the Royal Astronomical Society》 367 (2): 763–772. arXiv:astro-ph/0601060. Bibcode:2006MNRAS.367..763S. doi:10.1111/j.1365-2966.2006.10007.x. 
  8. Sota, A.; Maíz Apellániz, J.; Morrell, N. I.; Barbá, R. H.; Walborn, N. R.; Gamen, R. C.; Arias, J. I.; Alfaro, E. J. (2014). “The Galactic O-Star Spectroscopic Survey (GOSSS). II. Bright Southern Star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211: 10. arXiv:1312.6222. Bibcode:2014ApJS..211...10S. doi:10.1088/0067-0049/211/1/10. 
  9. Maíz Apellániz, J.; Sota, A.; Arias, J. I.; Barbá, R. H.; Walborn, N. R.; Simón-Díaz, S.; Negueruela, I.; Marco, A.; Leão, J. R. S.; Herrero, A.; Gamen, R. C.; Alfaro, E. J. (2016). “The Galactic O-Star Spectroscopic Survey (GOSSS). III. 142 Additional O-type Systems”.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Series》 224: 4. arXiv:1602.01336. Bibcode:2016ApJS..224....4M. doi:10.3847/0067-0049/224/1/4. 
  10. Vink, Jorick S; Davies, B; Harries, T. J; Oudmaijer, R. D; Walborn, N. R (2009). “On the presence and absence of disks around O-type stars”. 《Astronomy and Astrophysics》 505 (2): 743. arXiv:0909.0888. Bibcode:2009A&A...505..743V. doi:10.1051/0004-6361/200912610. 
  11. Repolust, T.; Puls, J.; Herrero, A. (2004). “Stellar and wind parameters of Galactic O-stars. The influence of line-blocking/blanketing”. 《Astronomy and Astrophysics》 415: 349–376. Bibcode:2004A&A...415..349R. doi:10.1051/0004-6361:20034594. 
  12. Del Palacio, Santiago; Bosch-Ramon, Valentí; Romero, Gustavo E.; Benaglia, Paula (2016). “A model for the non-thermal emission of the very massive colliding-wind binary HD 93129A”. 《Astronomy & Astrophysics》 591: A139. arXiv:1604.07294. Bibcode:2016A&A...591A.139D. doi:10.1051/0004-6361/201628264. 
  13. Sana, H.; Le Bouquin, J.-B.; Lacour, S.; Berger, J.-P.; Duvert, G.; Gauchet, L.; Norris, B.; Olofsson, J.; Pickel, D.; Zins, G.; Absil, O.; De Koter, A.; Kratter, K.; Schnurr, O.; Zinnecker, H. (2014). “Southern Massive Stars at High Angular Resolution: Observational Campaign and Companion Detection”. 《The Astrophysical Journal Supplement》 215: 15. arXiv:1409.6304. Bibcode:2014ApJS..215...15S. doi:10.1088/0067-0049/215/1/15. 
  14. Benaglia, P.; Koribalski, B. (2004). “Radio observations of HD 93129A: The earliest O star with the highest mass loss?”. 《Astronomy & Astrophysics》 416 (1): 171–178. arXiv:astro-ph/0312003. Bibcode:2004A&A...416..171B. doi:10.1051/0004-6361:20034138. 

외부 링크[편집]

좌표: 하늘 지도 10h 43m 57.5s, −59° 32′ 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