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부경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12부경(十二部經, 십이부경) 또는 12분교(十二分敎, 십이분교)는 불교의 경전 분류 방법 중 하나이다. 분류된 경전 전체를 의미하기도 한다.

종류[편집]

장아함경 의역 음역 산스크리트어 팔리어
관경(貫經) 계경(契經)
경(經)
수다라(修多羅) sūtra sutta
기야경(祇夜經) 중송(重頌)
응송(應頌)
가(歌)
기야(祈夜) geya geyya
수기경(受記經) 수기(受記)
기답(記答)
기설(記說)
기별(記別)
기별(記莂)
설(說)
화가라(和伽羅)
화가라나(和伽羅那)
vyākaraṇa vyākaraṇa
veyyākaraṇa
게경(偈經) 고기송(孤起頌)
송(頌)
가타(伽陀)
게타(偈陀)
gātha gāthā
법구경(法句經) 무문자설(無問自說)
자설(自說)
자설경(自說經)
감흥게(感興偈)
감흥어(感興語)
우타나(優陀那) udāna udāna
상응경(相應經) 여시어(如是語)
여시법(如是法)
본사(本事)
이제불다가(伊帝弗多迦)
이제왈다가(伊帝曰多伽)
이제목다가(伊帝目多伽)
itivṛttaka itivuttaka
본연경(本緣經) 본생담(本生譚)
본생(本生)
사다가(闍多伽) jātaka jātaka
광경(廣經) 방광(方廣)
방등(方等)
광박(廣博)
비부략(毗浮略)
비불략(毗佛略)
비부라(毘富羅)
vaipulya vedalla
미증유경(未曾有經) 미증유법(未曾有法)
희법(稀法)
아부다달마(阿浮多達磨)
아부달마(阿浮達磨)
adbhūtadharma abbhutadhammā
천본경(天本經) 인연담(因緣譚)
인연(因緣)
연기(緣起)
니타나(尼陀那) nidāna nidāna
증유경(證喩經)[1]
비유경(譬喩經)[2]
비유(譬喩)
비유담(譬喩譚)
아파타나(阿波陀那) avadāna apadāna
대교경(大教經) 논의(論議)
축분별소설(逐分別所說)
우파제사(優波提舍) upadeśa

장아함[편집]

  1. 관경(貫經)
  2. 기야경(祇夜經)
  3. 수기경(受記經)
  4. 게경(偈經)
  5. 법구경(法句經)
  6. 상응경(相應經)
  7. 본연경(本緣經)
  8. 천본경(天本經)
  9. 광경(廣經)
  10. 미증유경(未曾有經)
  11. 증유경(證喩經)[3] 또는 비유경(譬喩經)[4]
  12. 대교경(大教經)[5]

칠지경의 12부경[편집]

  1. 문(文)
  2. 가(歌)
  3. 설(說)
  4. 송(頌)
  5. 비유(譬喩)
  6. 본기기(本起紀)
  7. 사해(事解)
  8. 생전(生傳)
  9. 광박(廣博)
  10. 자연(自然)
  11. 일행(曰行)
  12. 장구(章句)[6]

잡아함[편집]

  1. 수다라(修多羅)
  2. 기야(祈夜)
  3. 수기(受記)
  4. 가타(伽陀)
  5. 우타나(優陀那)
  6. 니타나(尼陀那)
  7. 아파타나(阿波陀那)
  8. 이제목다가(伊帝目多伽)
  9. 사다가(闍多伽)
  10. 비부라(毘富羅)
  11. 아부다달마(阿浮多達磨)
  12. 우파제사(優波提舍)[7]

반야경[편집]

  1. 계경(契經)
  2. 응송(應頌)
  3. 기별(記別) 또는 기별(記莂)
  4. 풍송(諷頌)
  5. 자설(自說)
  6. 인연(因緣) 또는 연기(緣起)
  7. 본사(本事)
  8. 본생(本生)
  9. 방광(方廣)
  10. 희법(希法)
  11. 비유(譬喩)
  12. 논의(論議)[8]

본사경[편집]

  1. 계경(契經)
  2. 응송(應頌)
  3. 기별(記別)
  4. 가타(伽他)
  5. 자설(自說)
  6. 본사(本事)
  7. 본생(本生)
  8. 본생(本生)
  9. 방광(方廣)
  10. 미증유법(未曾有法) 또는 희법(希法)
  11. 여시법(如是法)[9]

각주[편집]

  1. 유행경 T01-16c15
  2. 청정경 T01-74b20
  3. 유행경 T01-16c15
  4. 청정경 T01-74b20
  5. T01-16c15
  6. T01-810a11
  7. T02-300c06
  8. T05-15b20
  9. T17-67b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