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바다사자

문서 내용이 다른 언어로는 지원되지 않습니다.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론:일본강치에서 넘어옴)
 이 문서는 다음 위키프로젝트의 범위 안에 있습니다.

일본강치라는 표제[편집]

한국에서는 일본강치라는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독도 강치", "독도 바다 사자"라는 표현이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중입니다.

  • 한국어 신문 기사 검색
  1. 일본 강치 = 2건[1]
  2. 독도 강치 = 34건[2]
  3. 독도 바다사자 =135건[3]

참고로 국립국어원과 어떤 메이저 국어 사전에도 '일본 강치'라는 표현은 없으며, 일본강치라는 표현이 정식으로 승인된 적 없습니다.

덧붙여 "일본강치"라고 검색된 2건 소스를 자세히 검색해보면 그 기사 소스 조차, 일본강치라는 명칭을 독도 강치의 다른 명칭으로 사용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일본 강치 사냥꾼 나카이가 독도 강치잡이에 열을 올린 것은 가죽 때문. [4]
...그러나 역사는 독도 강치가 속한 전체 ‘일본 강치’가 1951년 멸종했다고 적고 있다. 남획의 주역은 일본인이었다. [5]

결론적으로 한국어에 '일본강치'라는 단어는 쓰이지 않으며, 그 표현조차 '독도 강치'의 이명(다른 이름)으로 사용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나 더 추가하자면, 한국의 정부 기관(국토 해양부)에서는 정식으로 '독도 바다사자'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특히, 금년도에는 독도관리 현장사무소 설치, 독도 바다사자 복원사업 등 새로운 사업을 더 추가하여 실효적 지배를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입니다....[6]

1. 정부기관 공식 명칭, 2. 한국 언론에서 사용되는 보편적으로 널리 사용되는 명칭, 3. 국립 국어원과 어떤 메이저 국어 사전에도 일본 강치라는 단어는 없다는 점으로 충분히 증명이 되었다고 봅니다.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2:37 (KST)[답변]

일단 이동을 되돌립니다. 독도에 사는 강치와 일본 연근해에 사는 강치가 다른 종이 아닙니다. 그리고 "독도 바다사자"라고 띄워썼다면 "독도에 사는 바다사자"라는 뜻이 됩니다. 옮긴다면 그냥 "강치"가 대안으로 어떨까요?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3:11 (KST)[답변]

그렇다면 강치도 좋다고 생각합니다만, 이것이 독도에 사는 그 생물을 의미한다면 독도 바다사자가 좀더 구체적이라고 생각합니다.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3:13 (KST)[답변]
본문을 읽어보시면 아시겠지만, 독도 뿐 아니라 일본의 태평양 연안, 멀리 캄차카 반도까지가 서식지였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3:15 (KST)[답변]
그렇다면 강치로 옮겨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로 국내 자연도감에서는 [7] Japanese Sea Lion을 "강치"라고 표현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3:21 (KST)[답변]
강치는 캘리포니아강치라는 뜻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8] [9]. Zalophus japonicus는 한때 캘리포니아강치(Zalophus californianus)의 아종으로 분류하기도 했으니, 강치를 아종이 아닌 종명으로 썼기 때문에 이런 혼동이 생긴 듯 싶습니다. 일본강치는 두산엔사이버의 설명에도 나와 있습니다.
일본 강치로 되돌립니까? 님이 말한 두산 엔사이버에도 일본 강치라고 하지 않습니다. 증거가 매우 약합니다. 님 혼자 이러지 말고 제3자를 끌어들여 공정한 패널 토론을 하는 것은 어떻습니까? 그런데 일본인이신가?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3:36 (KST)[답변]
엔싸이버의 설명은 보셨나요? "좁게는 캘리포니아강치와 일본강치(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남방강치"라는 부분이 분명히 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3:38 (KST)[답변]
엔싸이버의 표제는 "강치"라고 되어있지, 일본강치 라고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리고 일본강치는 한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단어라는 것을 증명했고요. 님은 일본인입니까? 왜 팩트를 무시하고 일본강치라고 무조건 우깁니까? 강치라고 표제를 옮길까 제안한것은 님이 먼저였습니다. 근데 왜 또 왔다 갔다 합니까. 한국어에서는 일본 강치를 사용하지 않는 다는 것을 신문기사와 국립 국어원 명칭, 자연 도감, 백과 사전 타이틀명으로 증명했습니다. 님이 제시한 백과사전조차 강치라고 언급하지 않나요? 국내 기사에서 135건이 독도 바다사자라로 호칭하는 반면 "일본강치" 독자적으로 단어 사용되는 것은 Zero (0)라는 것을 증명했는데, 이것도 부족합니까?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3:41 (KST)[답변]
제목만 보지 말고 엔싸이버 본문 두번째 문단을 봐 주세요. 엔싸이버의 강치는 강치과(Otaridae) (현재는 강치속) 전체에 대한 설명입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3:48 (KST)[답변]
그러니까 일본강치라는 표제가 없지않습니까? 엔싸이버 자체도 "일본 강치"라고 저 생물종을 독점 배타적으로 명칭하지 않습니다. 또한 자연도감과 국토 해양부의 자료, 국내 기사와 국립 국어원등의 증거는 님의 주장보다 근거가 훨씬 강력합니다.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3:51 (KST)[답변]

한국 해양생물다양성 정보 시스템에서는 Zalophus japonicus의 종명을 바다사자로만 써놓고 있습니다. '독도' 라는 표현은 어디에도 없습니다. '굳이' 옮겨지는 경우에는 바다사자 정도가 적합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Zalophus japonicus는 일본강치라는 명칭이 더 자주 사용되어 왔습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5:02 (KST)[답변]

그렇습니다. '일본'강치라는 명칭이 없는데도 불구하고 일본강치를 고집하는 사람이 ChongDae입니다. 저는 독도 강치나 중립적인 그냥 강치도 OK했습니다. 그렇다면 츄군님의 의견에 동의해서 바다사자로 바꾸는 것을 반대하지 않습니다. 찬성하겠습니다. 일본강치라는 명칭은 반대합니다. 또한 한국어에서 보편적으로 일본 강치라는 명칭을 쓰지 않는다는 점 분명히 하고 있습니다.
  1. 일본 강치 = 2건[10]
  2. 독도 강치 = 34건[11]
  3. 독도 바다사자 =135건[12]
다시 말하지만, 국내 언론기사, 국립 국어원 자료, 메이저 백과사전, 자연도감, 국토 해양부(정부 기관)[13] 자료를 볼때 "독도 바다사자"가 한국에서 더 인정 받는 명칭이라는 것을 밝히겠습니다. 그러나 독도 바다사자를 굳이 고집하지는 않겠습니다. 문제가 없다면 다른 관리자가 보호를 해제해서 타이틀을 바다사자나 강치로 바꿔 주시기 바랍니다.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5:12 (KST)[답변]
저는 굳이 옮겨야하는 경우에 "바다사자"를 사용하자는 의견(물론 이 경우에는 큰바다사자와 disambig 처리를 해야하는 문제가 있음)이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던 명칭인 "일본강치"로 놔두어도 큰 문제가 없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 츄군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6:19 (KST)[답변]
결국 반대는 안하시는 것으로 알겠습니다. 일본강치가 한국어에서 사용되지 않는 것을 증명했고요. 그렇다면 바다사자로 옮겨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독도 강치나 독도 바다사자가 더 널리 사용됩니다. 만약 한국에서 쓰이는 학명 우선이라면 한국 해양생물다양성 정보 시스템의 종명을 써도 좋다고 생각합니다.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6:23 (KST)[답변]
그리고 disambig 처리가 문제라면 '바다사자 (독도강치)' 라고 해도 좋지 않겠습니까 합니다만, 한국에서는 거의 들어 본적도 없고 신문이나 교과서에서도 사용되지 않는 '일본강치'라는 표현을 사람들이 얼마나 알겠습니까. 일본강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됬다라는 커멘트에는 이론을 제기합니다.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6:25 (KST)[답변]

참고로 (제가 편집하기 전) 참고문헌과 주석도 전부 독도 바다사자라고 하고 있습니다. 참고 문헌과 주석은 독도 바다사자인데, 타이틀만 일본 강치라고 하는게 이상하지 않습니까? 본문의 주석과 참고 문헌, REF를 한번 보시기 바랍니다. 위키백과 검색란에 독도 바다사자를 검색하면 일본강치로 넘어가게 되어있습니다. 일본강치는 잘못된 명칭입니다. 주석 등은 독도 바다사자로 바꿀 수 있는데 타이틀을 바꾸거나 다시 독도 바다사자로 내용을 넘기는 것은 불가능하더군요. 그러니 원래의 명칭인 독도 바다사자로 타이틀을 바꿔주십시오.

주석

  1. ↑ Seal Specialist Group (1996). Zalophus japonicus. 2006 IUCN 레드리스트. IUCN 2006.
  2. ↑ '독도 바다사자 복원', 《한겨레》, 2006.2.23.
  3. ↑ 「독도 바다사자」, TBC, 2006.10.27., 2006.11.3.방영

참고문헌 및 링크

   * '독도 바다사자 복원 검토', 《한겨레》, 2006.2.23.

더 이상 근거 없는 자기만의 주장으로 고집을 피우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강치 -> OK
  • 바다 사자 -> OK
  • 독도 바다사자 -> OK

관리자라면 근거나 사실관계 없고 토론 생략하고, 자기 고집만 피우면 다 이기는 시스템, 참 짜증나는군요. 님을 관리자라 맡긴것은 자신의 POV에 맞춰 편집하라는게 아니라 사용자의 편집을 돕고 조정하라는 것이지 남의 편집을 이유 없이 무조건 지우고 블럭하라고 만든 권한이 아닙니다.

위키백과:관리자

"관리자는 다른 사용자보다 약간의 권한을 가지고 있는 것일 뿐, 다른 사용자보다 특별한 "권위"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관리자는 위키백과의 일반적인 사용자와 평등한 위치에 있으며, 위키백과를 대표하지 않으며 운영하지도 않습니다. 관리자는 위키미디어 재단의 피용자도 아닙니다. 위키백과 및 관련 프로젝트를 책임하에 운영하는 주체는 위키미디어 재단입니다...."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5:56 (KST)[답변]

재정리[편집]

  • ChongDae의 근거 : 엔싸이버 본문 두번째 문단에 일본 강치라는 글자 하나
  • Raisekept의 근거
  1. 한국어 신문 기사 검색 단어 사용 용례
  2. 한국의 정부 기관(국토 해양부)의 사용 용례
  3. 국립 국어원과 어떤 메이저 국어 사전에도 일본 강치라는 단어는 없다는 점
  4. 한국 해양생물다양성 정보 시스템
  5. 자연도감
  6. 국내 기사에서 135건이 독도 바다사자라로 호칭하는 반면 "일본강치" 독자적으로 단어 사용되는 것은 Zero (0)라는 것을 증명
  7. 내가 편집하기 전 본문의 주석과 REF. (독도 바다사자 복원 검토', 《한겨레》, 2006.2.23. etc)

그리고 일본강치는 한국어에는 쓰이지 않는 생소한 말로, 한국어에 결코 일반적으로 사용된 적 없다는 점. 따옴표 주고 국내 신문기사만 검색해봐도 알 수 있고요, 한국어에 일본강치가 일반적으로 사용됬었는지 1960년대 한국어 신문을 포함해서 한번 검색해볼까요? 깊고 좁게 파고들어서 한번 쇼부를 봤으면 합니다.누구 말이 맞는지.

관리자라는 완장차면 무조건 우기면 이기는 시스템 참 짜증나는군요. 얼마나 더 많은 근거자료를 설득해야 먹힐지요 답답합니다. 일단 제3들이 와서 (논란이 되는 ChongDae 관리자를 배제한채) 공평하게 판정해 주셨으면 합니다. 투표를 하던가요.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6:10 (KST)[답변]

ChongDae 편집의 이상한 점[편집]

ChongDae라는 사람이 타이틀을 "일본강치"로 바꿀려고 하는 것 뿐 아니라, 하나 더 이상한게, 제가 삽입한 아래의 편집을 이유 없이 자꾸 지웁니다.[14] 아래의 편집이 과연 삭제 당할 만 한 것이었나 여러분이 판정해 주시기 바랍니다.

"...20세기 이후 일본의 무분별한 어획으로 멸종당했지만, 일본 시마네현이 무단으로 독도를 편입한 1905년 이전, 울릉도에 살던 한국인들은 또한 1904년과 1905년에 독도에서 강치를 잡아 매년 가죽 800관(600엔)씩 일본에 수출한 기록이 1907년 시마네현 다께시마 조사단의 오쿠하라 헤키운이 쓴 책 ‘죽도 및 울릉도’에 나온다.[15]

위의 편집이 ChongDae라는 사람이 필사적으로 지울려는 편집 부분인데 위의 편집이 잘못되었다고 보십니까? 글자 수정이 아닌, 과연 전체적으로 싹 지워야만 했던 편집이었는지. 그러면서 나를 Vandalism 유저로 몰아대면 인신공격을 하는데. 과연 저 문장의 어디가 ChongDae말대로 반달리즘인지, 모두는 판정해주시길. Raisekept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06:37 (KST)[답변]

다른 사전에서 강치/바다사자 등의 정의[편집]

  • 강치
    • 국립국어원 국어대사전에도 강치의 설명에 "캘리포니아강치와 일본강치가 여기에 속하며"... 라는 설명이 있습니다. 일본강치가 캘리포니아강치의 한 아종으로 분류될 때, Zalophus californianus 전체의 이름을 "강치"로 하고, 캘리포니아에 사는 표본종을 캘리포니아강치, 아종인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을 일본강치라고 구분한 듯 싶습니다.
    • 한편 엔싸이버의 강치 항목은 강치과/물개과 전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 캘리포니아강치(Zalophus californianus)에 대해서는 국어대사전에서는 캘리포니아바다사자, 엔싸이버에는 캘리포니아강치가 항목으로 등록되어 있습니다.
    • 캘리포니아강치라고 하면 낯선 종으로 보이겠지만, 동물원 등에서 물개쇼를 하는 동물이 바로 이 캘리포니아강치입니다. 물개의 동음이의어 설명을 참고하세요.
  • 바다사자
    • 국립국어원 국어대사전의 바다사자 항목Eumetopias jubatus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큰바다사자/스텔러바다사자라고도 부르는 종이죠.
    • 엔싸이버브리태니커 역시 Eumetopias jubatus을 바다사자 항목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 위키백과에서는 현재 바다사자 항목에서 "바다사자아과"(Otariinae) 전체에 대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일본강치라는 표현이 메이저사전에 없다고 했지만, 국립국어원의 국어대사전, 엔싸이버 등에서 찾을 수 있는 표현입니다. (별도 항목은 아니지만, 설명문에 나와 있습니다. 동물의 모든 종이나 아종에 대해서까지 사전에 등재되지는 않습니다.)

독도강치/독도바다사자라고 한다면 독도에 살던 Zalophus japonicus의 개체군의 좁은 의미만을 뜻하므로, Zalophus japonicus 종을 대표하는 이름으로 부적절해 보입니다. (현재 한국호랑이를 아종명인 시베리아호랑이에서 설명하고 있는 것처럼요.)

캘리포니아강치와 일본강치가 현재는 다른 종으로 취급되므로, 강치를 좁은 의미의 Zalophus japonicus만을 뜻한다고 하고 항목을 강치로 옮길 수도 있겠지만, 이건 기존 사전과 또다른 혼란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 ChongDae (토론) 2010년 8월 7일 (토) 12:32 (KST)[답변]

한국고유종DB에는 Zalophus californianus japonicus의 이름으로 "바다사자"[16]가 등록되어 있네요. -- ChongDae (토론) 2012년 3월 27일 (화) 16:10 (KST)[답변]

일본강치 -> 독도강치[편집]

문서 이동 요청에 표제어를 변경해야 한다는 의견이 생겨 몇 년만에 토론을 회부합니다.

위키백과:문서_이동_요청/2014년_10월#일본강치 → 독도 강치 참고바랍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0월 28일 (화) 21:56 (KST)[답변]

우선 저는 중립임을 밝힙니다. (토론의 흐름에 따라 의견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0월 28일 (화) 21:58 (KST)[답변]
반대합니다. 한국고유종도 아닌데 한국어 언중 중에서도 일부밖에 쓰지 않는 말을 표제어로 삼아줄 이유가 없습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4년 11월 6일 (목) 03:22 (KST)[답변]

독도강치[편집]

1980년대 소련에서 열린 세계자연보호 국제회의가 열렸습니다 이때 일본은 독도 강치가 멸종된것은 우리 경비때문이라고 합니다 게다가 독도강치을 일본강치라고 하면서 그 책임을 물었습니다 약 5만마리의 강치가 사라지자 많은 학자들이 조사를 하기 시작했습니다 근데 일본의 일본 포유류라는 일본 책자에서 일본 어부들이 강치를 엄청나게 포획하는 장면이 있었습니다 이 사진이 당시 많은 학자들에게 충격을 주었고요 1990년대부터 일본 어부들이 독도강치를 대량 포획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고 합니다 다시한번 말하지만 일본강치가 아닌 독도강치입니다 대한민국 이당 (토론) 2015년 10월 22일 (목) 00:58 (KST)[답변]

외국말이 문서제목인 이유가 뭔가요?[편집]

한국에서는 독도강치라고 하고 외국에서는 일본강치라고 하는데 한국어 위키에서 왜 외국말이 문서제목인가요? 한국어 위키는 한국어 위키 아닌가요? 넓적부리황새를 일본에서는 하시비로코우라고 하고 한국에서는 넓적부리황새라고 하는데 문서 제목이 하시비로코우라고 하는 거랑 똑같습니다. 굉장히 황당하고 신기합니다.--211.205.254.64 (토론) 2016년 6월 11일 (토) 21:56 (KST)[답변]

한국의 위키가 아닌 한국어 위키입니다. 한국어를 사용하는 다른 나라 분들도 사용하는 위키이기 때문에 제목도 그 기준에서 봐야겠지요 -Tmd5488 (토론) 2016년 6월 28일 (화) 02:04 (KST)[답변]

반갑습니다. 바다사자 강치에 대하여[편집]

위의 토론을 잘 읽어 보았습니다. 이 문서의 표제어에 관한 의견 차이로 표제어가 명확히 정해지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제 소견은 이렇습니다:

1. 이 문서의 표제어는 영어 이름 'Japanese sea lion'이나 일본어 이름 'ニホンアシカ'을 직역한 '일본강치'입니다. 하지만 국내에서는 위키피디아를 제외하면 일본강치라고 부르는 경우는 거의 없습니다. 대부분 '강치'나 '바다사자'로 불리고 있네요. 한글 이름이 존재하는 이상, 표제어를 굳이 외국 언어를 직역한 이름으로 바꿀 필요는 없어 보이네요. 영어로 독도가 Liancourt rocks이며, 산달이 Japanese marten이라도, 각각 '리앙쿠르 암초'나 '일본 담비'로 개명을 하지 않는 것이 예시 입니다... (비록 위키백과에는 한국어 이름을 무시하고 영어 이름을 직역한 문서가 많지만, 이는 개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2. 하지만 '독도강치'라는 이름 역시 애매 모호 한데요, 위의 토론 내용에서 서술된 '독도강치' 관련 자료의 문장이 '독도강치'라는 생물의 고유명일 수도 있고, '독도의 강치'라는 지역(독도)을 강조한 이름이 될 수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독도강치는 우리나라 독도에만 살았던 것이 아니라 일본 해안에도 있었다고 기록이 되어 있습니다; The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Zalophus japonicus

3. Zalophus japonicus의 정식 학술 명칭은 바다사자입니다. 그 근거로는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이 있습니다. 문화콘텐츠닷컴 한반도 해양문화서울동물원 동물정보에서는 '강치'로 표기하고 있네요.

4. 국어사전에 의하면 '강치'는"‘바다사자’를 일상적으로 이르는 말."(네이버 국어사전), "캘리포니아바다사자"(표준국어대사전)으로, '바다사자'와 같은 말입니다. 이는 정식 학술 명칭 '바다사자'의 타당성에 무게를 실어 주고 있습니다.

5. 위키백과에서는 '바다사자'를 바다사자아과 문서로, '강치'를 Zalophus속으로 넘겨주기 되어 있는데, Zalophus는 전술한 '한반도 생물자원 포털'과,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홈페이지에 바다사자속으로 명기를 하고 있습니다.

6. 종합하면, '일본강치'는 외국 이름을 직역하여 국내에서 생소한 이름입니다. 이를 대안할 이름으로 '독도강치'와 '강치', '바다사자'가 있는데, '독도강치'는 애매 모호한 지역적 분포로 인해 표제어로 등재하기가 어렵고, '강치'는 '바다사자'와 같은 이름으로, 표제어를 바다사자, 강치 또는 바다사자 (동물)으로 정하면 좋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또 다른 의견이 있으시다면, 토론을 계속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Titanoptera (토론) 2017년 2월 22일 (수) 01:23 (KST)[답변]

찬성합니다. 국명(정식 학술명)인 바다사자로 옮기고, 이명인 강치 등을 함께 적어 두면 좋겠습니다. "독도강치"와 "일본강치"도 본문에 참고 용으로 함께 적어두는 게 좋아 보입니다. 두산세계대백과사전강치 항복에 "일본강치로도 불리는 독도강치(Zalophus japonicus)"라고 나옵니다. 위에 링크하신 문화콘텐츠닷컴 한반도 해양문화 페이지는 제목이 "강치"이지만 본문은 "독도강치"로 시작합니다. --브렛 (토론) 2017년 5월 25일 (목) 14:44 (KST)[답변]
@Titanoptera: 발제자께서는 백:아님#국가를 우선 읽으셔야할 것 같습니다. 위키백과 내에서 국내라는 표현 및 주장은 옳지 않습니다. 여기는 한국'어' 위키백과이지 한국 위키백과가 아닙니다.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7년 5월 25일 (목) 15:21 (KST) --양념파닭 (토론 · 기여) 2017년 5월 25일 (목) 15:20 (KST)[답변]
융통성 있게 '대한민국내'로 생각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숙지하겠습니다. Titanoptera (토론) 2022년 2월 9일 (수) 00:06 (KST)[답변]

제목: 바다사자[편집]

제목을 "일본강치"로 해야 할 이유가 있나요?

"일본강치"는

  • 한국어에서 잘 쓰이지 않은 말이고 ("강치"나 "독도강치"보다 덜 쓰입니다.)
  • 정식명칭(학술명)도 아니며 (정식명칭은 "바다사자"입니다.)
  •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외국어 직역 명칭이 학술명이나 더 자주 쓰이는 한국어 낱말보다 우선권을 가질 이유가 없습니다.

--61.75.1.159 (토론) 2017년 6월 9일 (금) 15:56 (KST)[답변]

찬성 61.75.1.159님이 정리해주신 지점들에 동의합니다. --Phonet (토론) 2018년 1월 26일 (금) 10:04 (KST)[답변]
의견 바다사자는 중의적 표현이므로, 강치 정도가 적당한 이름이 아닐까요? -- ChongDae (토론) 2018년 2월 1일 (목) 17:54 (KST)[답변]
의견 바다사자아과 동물들이 "바다사자"로 불리듯이 바다사자속(강치속) 동물들은 "강치"로 불리니 두 낱말 모두 중의성은 있는 것 같아요. 저는 정식명칭인 "바다사자"를 표제어로 삼는 게 더 좋다 여기는데, "강치"도 반대하지는 않습니다. --Phonet (토론) 2018년 2월 1일 (목) 20:36 (KST)[답변]
찬성 '강치를 표제어로 삼는 것에 찬성합니다.--Kenlee77 (토론) 2018년 2월 2일 (금) 15:06 (KST)[답변]
찬성 다른 언어권의 위키백과를 보니 전부 '일본강치'를 표제어로 삼고 있는데, 그게 중요한 게 아니라 한국어권의 언중들이 어떤 단어를 더 많이 쓰느냐가 중요한 것이죠. 바다사자 혹은 강치로 표제어를 변경하는 것에 대해 찬성합니다. --125.186.169.12 (토론) 2018년 2월 17일 (토) 00:07 (KST)[답변]

'바다사자'로 표제어가 바뀌었기 때문에 토론을 종결하고 의견 요청 틀을 제거하였습니다. --125.186.169.12 (토론) 2018년 2월 21일 (수) 10:16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8년 7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바다사자에서 6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8년 7월 23일 (월) 10:11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19년 4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바다사자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19년 4월 23일 (화) 14:08 (KST)[답변]

외부 링크 수정됨 (2020년 2월)[편집]

안녕하세요 편집자 여러분,

바다사자에서 1개의 링크를 수정했습니다. 제 편집을 검토해 주세요. 질문이 있거나, 봇이 이 문서나 링크를 무시하기를 바라신다면 간단한 자주 묻는 질문에서 더 많은 정보를 찾아보세요. 다음 변경사항을 적용했습니다:

봇의 문제를 수정하는 것에 관해서는 자주 묻는 질문을 참조해 주세요.

감사합니다.—InternetArchiveBot (버그를 제보하기) 2020년 2월 23일 (일) 21:32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