탁발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탁발씨(중국어 정체자: 拓跋氏, 병음: Tuòbá)는 삼국 시대진나라 시기의 단석괴가 일으킨 선비제국의 선비족 지파인 탁발선비의 성씨로서, 이들은 후에 북위(北魏)를 건립하였다.

북위 건립 이전의 탁발씨 지도자 목록[편집]

탁발역미(拓跋力微)가 261년 기록되어 있다.

이들은 단석괴의 일파로서 동만주에 있다가 3세기 중엽 내몽골의 바옌타라(巴彦塔拉) 지방까지 세력을 넓혔고 서진을 침략하였다. 서진은 이들을 달래기 위해 4세기 초 선비족 세력을 이용하여 북변의 보위(保衛)를 도모하려고 하였고 서진(西晉)은 산시성 북부의 땅도 탁발씨에게 주었다.

315년 오호십육국 시대에 군장(君長)인 탁발로(拓跋盧)는 서진을 공격하면서 세력을 일으키자 다급해진 서진은 탁발로에게 관등을 주고 대나라(代)의 대왕(代王)으로 봉하려고 하였다.[1]

묘호 시호[2] 원래 이름 통치 기간 연호와 연호의 사용 시기
시조 신원(神元) 탁발역미(拓跋力微) 219년~277년 없음
없음 장(章) 탁발실록(拓跋悉鹿) 277년~286년 없음
없음 평(平) 탁발작(拓跋綽) 286년~293년 없음
없음 사(思) 탁발불(拓跋弗) 293년~294년 없음
없음 소(昭) 탁발녹관(拓跋祿官) 294년~307년 없음
없음 환(桓) 탁발의이(拓跋猗㐌) 295년~305년 없음
없음 목(穆) 탁발의로(拓跋猗盧) 295년~316년 없음
없음 없음 탁발보근(拓跋普根) 316년 없음
없음 없음 알 수 없음 316년 없음
없음 평문(平文) 탁발울률(拓跋鬱律) 316년~321년 없음
없음 혜(惠) 탁발하녹(拓跋賀傉) 321년~325년 없음
없음 양(煬) 탁발흘나(拓跋紇那) 325년~329년335년~337년 없음
없음 열(烈) 탁발예궤(拓跋翳槐) 329년~335년337년~338년 없음
없음 소성(昭成) 탁발십익건(拓跋什翼犍) 338년~376년 건국(建國) 338년~376년

독발부[편집]

독발부는 탁발씨(拓跋氏)에서 갈라져 나온 선비족의 일파이다. 독발부가 세운 남량과 탁발부의 북위를 가리켜 탁발량국(拓跋涼国)이라고도 칭한다.

탁발역미 이전의 계보[편집]

  • 탁발모(拓跋毛)
  • 탁발대(拓跋貸)
  • 탁발관(拓跋觀)
  • 탁발루(拓跋樓)
  • 탁발월(拓跋越)
  • 탁발추인(拓跋推寅)
  • 탁발리(拓跋利)
  • 탁발사(拓跋俟)
  • 탁발사(拓跋肆)
  • 탁발기(拓跋機)
  • 탁발개(拓跋蓋)
  • 탁발쾌(拓跋儈)
  • 탁발린(拓跋鄰)
  • 탁발힐분(拓跋詰汾)

북위의 역대황제[편집]

묘호 시호 성명 연호 사용기간
헌명제
(獻明帝)
<태조 추숭>
탁발식(拓跋寔)
북위 태조
(北魏 太祖)
본래 묘호는
열조烈祖)
도무제
(道武帝)
(첫 시호는
선무제宣武帝)
탁발규(拓跋珪) 등국(登國) 386년396년
황시(皇始) 396년—398년
천흥(天興) 398년—404년
천사(天賜) 404년—409년
북위 태종
(北魏 太宗)
명원제
(明元帝)
탁발사(拓跋嗣) 영흥(永興) 409년—413년
신서(神瑞) 414년—416년
태상(泰常) 416년—423년
북위 세조
(北魏 世祖)
태무제
(太武帝)
탁발도(拓跋燾) 시광(始光) 424년428년
신가(神麚) 428년—431년
연화(延和) 432년—434년
태연(太延) 435년—440년
태평진군(太平眞君) 440년—451년
정평(正平) 451년—452년
남안경수왕
(南安敬壽王)
탁발여(拓跋余) 승평 혹은 영평(承平, 永平) 452년
북위 공종
(北魏 恭宗)
<고종 추숭>
경목제
(景穆帝)
탁발황(拓跋晃)
북위 고종
(北魏 高宗)
문성제
(文成帝)
탁발준(拓跋濬) 흥안(興安) 452년—454년
흥광(興光) 454년—455년
태안(太安) 455년—459년
화평(和平) 460년—465년
북위 현조
(北魏 顯祖)
헌문제
(献文帝)
탁발홍(拓跋弘) 천안(天安) 466년467년
황흥(皇興) 467년—471년
북위 고조
(北魏 高祖)
효문제
(孝文帝)
원굉(元宏)[1]
탁발굉(拓跋宏)
연흥(延興) 471년476년
승명(承明) 476년
태화(太和) 477년—499년
북위 세종
(北魏世宗)
선무제
(宣武帝)
원각(元恪) 경명(景明) 500년503년
정시(正始) 504년—508년
영평(永平) 508년—512년
연창(延昌) 512년—515년
북위 숙종
(北魏 肅宗)
효명제
(孝明帝)
원후(元詡) 희평(熙平) 516년518년
신귀(神龜) 518년—520년
정광(正光) 520년—525년
효창(孝昌) 525년—527년
무태(武泰) 528년
경애공주
(敬哀公主)
원씨 - 528년
소공제
(少恭帝)
원조(元釗) 건의(建義) 528년
북위 숙조
(北魏 肅祖)
<경종 추숭>
문목제
(文穆帝)
원협(元勰)
효선제
(孝宣帝)
<경종 추숭>
원소(元劭)
북위 경종
(北魏 敬宗)
효장제(孝莊帝)
(첫 시호는
무회제武懷帝)
원자유(元子攸) 건의(建義)[2] 528년
영안(永安) 528년-530년
현문제
(顯文帝)
원호(元顥) 효기(孝基) 529년
건무(建武) 529년
장광경왕
(長廣敬王)
원엽(元曄)
건명(建明) 530년-531년
순제
(順帝)
원열(元悅) 경흥(更興) 530년
절민제
(節閔帝)
원공(元恭)[3] 진태(普泰) 531년-532년
안정순문왕
(安定順文王)
원랑(元朗)[4]
중흥(中興) 531년-532년
무목제
(武穆帝)
<효무제 추숭>
원회(元懷)
효무제(孝武帝)
출제(出帝)
원수(元脩)[5]
태창(太昌) 532년
영흥(永興) 532년
영희(永熙) 532년-534년
  1. 효문제의 명령하에 국성을 고쳐 탁발씨원씨로 변경하였다. 표에서도 효문제 이후 일률적으로 원씨 성을 사용하였다.
  2. 효압제 등극 후 개원하지 않았다.
  3. 위서》가 편찬되기 전에 폐위,《북사》, 《북제서》에서 절민제로 기록되었다.
  4. 《위서》가 편찬된 이후 폐위.
  5. 《위서》쓴 후 출제,《북사》, 《북제서》에서 효무제로 기록되었다.

각주[편집]

  1. 탁발규(拓跋珪)가 창건한 북위의 통치 가문에서 유래하며, 북위의 통치자 목록은 북위의 지도자 조항으로 독립되어 빠졌다.
  2. 위서》와 《북사》 전부 사실상 그들 모두가 황제의 자리에 오르지 않았는데도 모두 북위 건국 이전의 탁발씨가 황제로 추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