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시-리만 방정식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복소해석학에서 코시-리만 방정식(-方程式, 영어: Cauchy–Riemann equations)은 열린 집합에서 정의된 복소함수가 정칙함수일 필요충분조건인 연립 편미분 방정식이다.

정의[편집]

평면에서 정의된 두 실함수 , 에 대한 코시-리만 방정식은 다음과 같다.

정칙성과의 관계[편집]

복소 평면 위의 열린 집합 위의 함수 가 다음을 만족시킨다고 하자.

  • , , , 가 모두 존재한다.
  • 연속 함수이다.

루만-멘코프 정리(Looman-Menchoff theorem)에 따르면 다음 두 조건이 서로 동치이다.[1]:p. 7

  • 위에서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시킨다.
  • 위에서 정칙함수이다.

반면, 예를 들어 함수

는 복소 평면 전체에서 코시-리만 방정식을 만족시키지만, 에서 연속 함수가 아니므로 에서 정칙 함수가 아니다.

역사와 어원[편집]

오귀스탱 루이 코시베른하르트 리만의 이름을 땄다. 역사적으로, 장 르 롱 달랑베르가 1752년 유체역학을 연구하면서 처음 발견하였다.[2] 이후 레온하르트 오일러가 이 방정식과 해석함수와의 관계를 연구하였다.[3][4] 코시는 그의 함수론을 체계화하면서 이 방정식을 사용하였고,[5]:319–506 리만은 박사 학위 논문에서 코시-리만 방정식을 다뤘다.[6]

참고 문헌[편집]

  1. Narasimhan, Raghavan; Nievergelt, Yves (2001). 《Complex Analysis in One Variable》 (영어) 2판. Birkhäuser. ISBN 9780817641641. 
  2. d'Alembert, J. (1752). 《Essai d'une nouvelle théorie de la résistance des fluides》 (프랑스어). Paris: Chez David l’aîné. [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 Euler, L. (1797). “Ulterior disquisitio de formulis integralibus imaginariis”. 《Nova Acta Academiae Scientiarum Imperialis Petropolitanae》 (라틴어) 10: 3–19. 
  4. Sandifer, Ed (2007년 5월). “How Euler did it 43: Introduction to Complex Variables” (PDF) (영어).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08년 1월 7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3년 3월 28일에 확인함. 
  5. Cauchy, A.L. (1814). 《Mémoire sur les intégrales définies, prises entre des limites imaginaires》 (프랑스어) 1. Paris: Chez de Bure frères. 
  6. Riemann, Bernhard (1851). 《Grundlagen für eine allgemeine Theorie der Functionen einer veränderlichen complexen Grösse》 (PDF) (독일어). 박사 학위 논문. 괴팅겐 대학교.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