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끼리땃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코끼리땃쥐목에서 넘어옴)

코끼리땃쥐[1]
짧은귀코끼리땃쥐 (Macroscelides proboscideus)
짧은귀코끼리땃쥐
(Macroscelides proboscideus)
생물 분류ℹ️
계: 동물계
문: 척삭동물문
아문: 척추동물아문
강: 포유강
하강: 진수하강
상목: 아프로테리아상목
목: 코끼리땃쥐목
(Macroscelidea)
Butler, 1956
과: 코끼리땃쥐과
(Macroscelididae)
Bonaparte, 1838
  • 본문 참조

코끼리땃쥐 또는 도약땃쥐코끼리땃쥐목(Macroscelidea)의 코끼리땃쥐과(Macroscelididae)에 속해 있는 아프리카에 원산지를 둔 주로 벌레를 잡아먹는 작은 포유류이다. 1997년 동물학자 조너선 킹든(Jonathan Kingdon)은 반투어에서 비롯한 이름인 셍기(sengi)로 부를 것을 제안했다.[2]

하위 속[편집]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아프로테리아상목의 계통 분류이다.[3][4]

아프로테리아상목
아프리카호충류
관치목

땅돼지과

아프리카식충류
코끼리땃쥐목

코끼리땃쥐과

아프리카땃쥐목

황금두더지과

고슴도치붙이과

근제류
바위너구리목

바위너구리과

테티스수류
장비목

코끼리과

바다소목

듀공과

매너티과

각주[편집]

  1. Schlitter, D.A. (2005). Wilson, D.E.; Reeder, D.M., 편집. Mammal Species of the World: A Taxonomic and Geographic Reference (영어) 3판. 존스 홉킨스 대학교 출판사. 82-85쪽. ISBN 978-0-8018-8221-0. OCLC 62265494. 
  2. Kingdon, J. (1997). 《The Kingdon Field Guide to African Mammals》. London: Academic Press. ISBN 978-0-691-11692-1. 
  3. Prasad, A. B.; Allard, M. W.; Green, E. D. (2008). “Confirming the Phylogeny of Mammals by Use of Large Comparative Sequence Data Sets”.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25 (9): 1795–1808. doi:10.1093/molbev/msn104. PMC 2515873. PMID 18453548. 
  4. Erdal, O.; Antoine, P.-O.; Sen, S.; Smith, A. (2016). “New material of Palaeoamasia kansui (Embrithopoda, Mammalia) from the Eocene of Turkey and a phylogenetic analysis of Embrithopoda at the species level”. 《Palaeontology》 59 (5): 631–655. doi:10.1111/pala.12247. 
  • Murata Y, Nikaido M, Sasaki T, Cao Y, Fukumoto Y, Hasegawa M, Okada N. Afrotherian phylogeny as inferred from complete mitochondrial genomes. Mol Phylogenet Evol. 2003 Aug;28(2):253-60.
  • Murphy WJ, Eizirik E, Johnson WE, Zhang YP, Ryder OA, O'Brien SJ. Molecular phylogenetics and the origins of placental mammals. Nature. 2001 Feb 1;409(6820):614-8.
  • Tabuce R, Marivaux L, Adaci M, Bensalah M, Hartenberger JL, Mahboubi M, Mebrouk F, Tafforeau P, Jaeger JJ. Early Tertiary mammals from North Africa reinforce the molecular Afrotheria clade. Proc Biol Sci. 2007 May 7;274(1614):1159-66.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