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기 에스페란토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초기 에스페란토(初期Esperanto, Pra-Esperanto)는 제1서가 출판되기 이전의 에스페란토의 형태를 일컫는다. 에스페란토의 창시자인 라자로 자멘호프는 십여 년 동안을 걸쳐 국제어 에스페란토의 문법과 어휘를 다듬었다. 초기 에스페란토 문서는 자료가 많지 않으나, 오늘날의 에스페란토에 비하여 여러 차이를 보인다. 한때 린그베우니베르살라(Lingwe Uniwersala)로 불리기도 했다.

특징[편집]

초기 에스페란토는 현대 에스페란토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보인다.

문자[편집]

초기 에스페란토는 폴란드어 알파벳의 ć, dź 등 글자를 사용하였다. 현대 에스페란토 알파벳에서는 이를 곡절 부호를 쓴 ĉ, ĝ 등으로 대체하였다.[1]

초기 에스페란토 ć ś ź
현대 에스페란토 ĉ ĝ ĥ ŝ ĵ

1878년의 원고에는 현대 에스페란토의 v 대신 w를 썼으나, 이는 1881년의 원고에 이미 오늘날과 같은 v로 바뀌었다. 또한, 초기 에스페란토는 현대 에스페란토와 달리 강세가 불규칙적이었으므로 동사 활용에 à, è, ó발음 구별 기호를 붙여 강세를 표기했다. 이는 이탈리아어스페인어와 유사하다.

문법[편집]

초기 에스페란토의 활용 어미는 현대 에스페란토의 어미와 조금씩 달랐다.[2]

어미 현대 에스페란토(1887) 초기 에스페란토(1881) 초기 에스페란토(1878)
형용사 -a -a
단수 명사 -o -o -e
복수 명사 -oj -oj -es
목적격 명사 -on, -ojn -l (없음)
동사 (부정사) -i -i -are
동사 (현재형) -as
동사 (과거형) -is -á (미완료) -u (완료)
동사 (미래형) -os -uj
동사 (명령형) -u
동사 (가정법) -us -as
현재분사 -anta -enta
과거분사 -inta -aga
미래분사 -onta (없음)
현재분사 수동태 -ata -ita
과거분사 수동태 -ita -assa
미래분사 수동태 -ota (없음)

목적격은 오늘날의 -n 대신 -l을 쓰거나 아예 생략하기도 했다. 동사의 경우, 활용에 따라 강세가 바뀌었다. 반면, 현대 에스페란토에서는 무조건 낱말의 끝에서 두 번째 음절강세를 둔다.

또한, 초기 에스페란토는 일종의 자음 전환(consonant ablaut)을 보였다. 이에 따라, 유성음은 어떤 행위의 시도를, 무성음은 어떤 행위의 성공을 나타낸다.[3]

aŭti 들으려 하다 ↔ aŭdi 들리다 (현대 에스페란토: aŭskulti / aŭdi)
trofi 찾으려 하다 ↔ trovi (성공적으로) 찾다 (현대 에스페란토: serĉi / trovi)
prufi 논쟁하다 ↔ pruvi 증명하다 (현대 에스페란토: argumenti / pruvi)

현대 에스페란토에는 이러한 구조는 거의 사라졌지만, pesi (무게를 달다) / pezi (무겁다) 등이 남아 있다.

어휘[편집]

이 밖에도 각종 기본 어휘가 달랐다. 예를 들어, 초기 에스페란토의 대명사는 다음과 같다.

초기 에스페란토 mo no to vo ro śo po o so
현대 에스페란토 mi ni ci vi li(男)/ĝi(中性) ŝi ili oni si

초기 에스페란토의 관계사는 다음과 같다.

초기 에스페란토 f- kv- k- ći- fi- -o -u -a -i -ej -e -an -om
현대 에스페란토 ti- i- k- ĉi- neni- -o -u -a -e -al -el -am -om

즉 이들을 조합하여 fu (오늘날 tiu), kva (오늘날 ia) 등을 만든다.

다른 어휘는 다음과 같다.

현대 에스페란토 초기 에스페란토
amiko miko
aromo romo
demandi mandi
eleganta luga
ekstrema trema
facila fala
fali kadi
kolekti keli
koro kordo
infano fano
respondi pondi
sinagogo engo
trankvila kvila

이들 중 상당수는 현대 에스페란토에 비해 축약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볼라퓌크의 영향이다. 볼라퓌크는 원어(原語)의 낱말을 단음절의 간단한 어간으로 축소하는 경향이 있는데, 1881년의 원고부터 비슷한 성향이 등장한다. 이에 대하여 가스통 바랭기앵은 다음과 같이 적었다.[4]

우리는 세밀한 분석을 통해, 1881년의 에스페란토에는 젊은 자멘호프가 민족어 어근의 단음절화가 특징적인 1879년에 등장한 볼라퓌크로부터 막대한 영향을 받았다는 결론을 내린다. 그러나 슐라이어(Schleyer)의 언어를 웃음거리로 만든 어근의 지나친 왜곡을 피하여야 한다는 사실을 자멘호프는 지각했다. 예를 들어, 라틴어 "animal"을 "nim"으로, 프랑스어 "compliment"을 "plim"으로, 영어 "knowledge"를 "nol"로, 프랑스어 "ciel"을 "sül"로 바꾸는 식이다. 대신, 자멘호프는 빈번한 낱말만 이러한 취급을 하고, 진짜 국제적인 낱말은 그대로 남겨 두었다.

Nian detalan analizon ni povas konkludi per [la konstato], ke en tiu dialekto de 1881 la juna Zamenhof profunde ricevis la influon de la en 1879 aperinta Volapuko, kies ĉefa trajto estas ĝuste la sistema unusilabigo de la nacilingvaj radikoj. Sed li sciis tamen eviti la ekstremajn deformojn, kiuj ridindigis la lingvon de Schleyer : nim por latina animal, plim por franca compliment, nol por angla knowledge, aŭ eĉ sül por franca ciel ; kaj precipe li rezervis tiun pritraktadon al la komunaj vortoj, sed lasis senŝanĝe la vere internaciajn.

예문[편집]

초기 에스페란토에 대한 최초의 언급은 1878년에서 찾을 수 있다. 자멘호프는 1878년 12월 5일(율리우스력. 그레고리력으로는 12월 17일이다.) 19세 생일 파티에서 자신이 "린그베 우니베르살라"라고 부르는 인공어로 노래를 지어 불렀다고 한다. 이 노래는 다음 네 행만이 현존한다.

초기 에스페란토 현대 에스페란토 한국어

Malamikete de las nacjes,
Kadó, kadó, jam temp’ está;
La tot’ homoze in familje
Konunigare so debá.

Malamikeco de la nacioj
Falu, falu, jam temp’ estas;
La tuta homaro en familion
Kununuigi sin devas.

만국의 적대심이여,
파멸하라, 파멸하라, 때는 왔도다
전 인류는 한 가족이 되어
단결하여야 하노라.

이 가운데 "jam temp’ está"는 현대 에스페란토에서 관용구로 쓰인다. 이는 마치 라틴어 격언이나 한문 고사성어 따위와 유사하다. 게르만어족에서 온 오늘날의 fal- 대신 라틴어 cadō에서 온 kad-를 썼던 것을 알 수 있다.

자멘호프가 1881년에 쓴 편지 가운데 한 문장은 다음과 같다.

초기 에스페란토 현대 에스페란토 한국어

Ma plej kara miko, kvan ma plekulpa plumo faktidźas tiranno pu to. Mo poté de cen taj brivoj kluri, ke sciigoj de fu-ći specco debé blessi tal fradral kordol …

Mia plej kara amiko, neniam mia senkulpa plumo fariĝus tirano por ci. Mi povas de cent ciaj leteroj konkludi, ke sciigoj de tiu ĉi speco devas vundi cian fratan koron …

사랑하는 친구여, 네게 내 죄없는 붓이 폭군이 되지 않게 하게나. 네가 보낸 100통의 편지를 보고, 이런 소식은 자네의 우애심에 상처를 입힌다는 것을 알아차렸네…….

각주[편집]

  1. Kiselman, §6.2 "Skribo", 53쪽.
  2. Kiselman §17 "Diakronaj Tabeloj" (99쪽).
  3. Kiselman 64~65쪽
  4. Gaston Waringhien, Lingvo kaj Vivo

참고 문헌[편집]

같이 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