징비록 (드라마)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징비록
懲毖錄
장르 사극
방송 국가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
방송 채널 KBS 1TV
방송 기간 2015년 2월 14일 ~ 2015년 8월 2일 (본방송)
2018년 4월 9일 ~ 2018년 7월 24일 (재방송)
방송 시간 매주 주말 밤 9:40 ~ 10:30
방송 분량 50분
방송 횟수 50부작
원작 류성룡징비록
책임프로듀서 김형일
프로듀서 김신일
연출 김상휘, 김영조
조연출 김민경, 한현희, 박소연
각본 정형수, 정지연
출연자 김상중, 김태우, 임동진, 이재용, 김혜은,
김규철, 김석훈, 이광기, 이정용, 남성진,
최철호, 정태우, 노영학
해설 김도현
HD 방송 여부 HD 제작 · 방송
외부 링크  KBS 징비록 공식 웹사이트

징비록》은 2015년 2월 14일부터 2015년 8월 2일까지 방영된 광복 70년 특별기획 대하드라마이다.

제작[편집]

2014년 6월 19일 드라마 징비록 제작을 예고[1]하였고 2015년 2월 5일 서울 여의도 63컨벤션센터 주니퍼룸에서 제작발표회가가 이루어졌다.[2]

이날 KBS 조대현 사장은 재정 적자를 언급한 뒤 "'징비록'도 사실 '정도전'에 바로 이어서 해야 하는데, 재정 때문에 반년을 건너뛰고 시작한다. 금년부터는 대하드라마를 쉬지 않고 하겠다"고 말했다.

1604년(선조 37)에 류성룡집필완료한 징비록의 내용을 바탕으로 임진왜란발생하기 전부터 1598년 이순신전사노량해전까지의 시기에 조정에서 펼쳐지는 이야기.

이야기의 주요 인물은 류성룡과 선조. 주연 배우는 김상중김태우.[3]

각본담당자는 MBC 드라마 상도, 다모 등의 각본을 담당한 각본가 정형수KBS 대하드라마 정도전의 보조작가 정지연이다. 제작초기에 백운철이 징비록의 각본을 담당하기로 되어있었으나[4] KBS와의 이견차이로 하차하였다.

내레이션에 성우인 김도현을 기용하고 있다.

2015년 1월 경상북도 영주시에서 촬영이 이루어졌다.

등장 인물[편집]

주요 인물들[편집]

학자이면서 동시에 실천과 실현의 결과를 더 중요시한 행정가였다. 임진왜란영의정에 오르게 되고 4도 도체찰사[5]가 되어 당쟁과 전란 속에서 조선의 조정을 총지휘하게 된다. 온유하고 우직하며 균형잡힌 품성 속에 숨겨진 카리스마가 있다. 당색은 동인이지만 당리당략에 크게 얽매이지 않는 인물이다.
(하성군 → 조선 선조)
조선 14대 왕. 방계 출신의 왕으로, 왕위 계승 과정에 대한 콤플렉스가 있다. 군사에 관심이 많고 당쟁을 잘 다스려 보려고 했으나, 임진왜란이라는 위기를 맞아 왕으로서의 자질을 끊임없이 시험 받게 된다.

류성룡 주변인물[편집]

왜구들에게 죽을뻔한 목숨을 류성룡이 구하고 거두어준다. 그 뒤 류성룡의 심복이 된다. 글에 대해서는 천부적으로 무식하고, 무예에만 자질이 있다.
군관. 류성룡을 지척에서 호위한다. 상황판단이 빠르고 민첩하다.
내외주점[7]을 홀로 운영하는 여주인.
설희의 계집종.
류성룡의 부인.

왕실 인물들[편집]

덕흥대원군의 1남.
덕흥대원군의 2남.
선조의 후궁. 우아한 몸가짐과 빼어난 외모로 선조의 총애를 받는다. 중전 박씨를 제치고 내명부의 실직적인 안주인이 된다. 선조의 마음을 쥐락펴락하게 되자 자신의 아들로써 대통을 잇겠다는 야망을 품는다.
선조와 그의 후궁 공빈 김씨의 둘째 아들. 자신을 드러내지 않고 몸가짐이 신중하다. 아버지의 부끄러움마저 대신 짊어진 듯, 전쟁터에서 한 명의 백성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온몸을 던진다. 전쟁을 겪으며 진정한 왕이 되길 결심한다.
제14대 왕 선조의 비. 아이를 낳지 못하는 불임의 몸이다. 선조는 그런 중전을 뒤로 하고 귀인 김씨만 싸고 돈다. 왕비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왕실에서 소외될 수 밖에 없었다. 광해를 양자로 삼아 친자식처럼 여기고 애정을 준다.
선조와 그의 후궁 공빈 김씨의 맏아들이며 광해의 친형이다. 성질이 난폭하여 인심을 얻지 못하였고, 그로 인하여 세자로 책봉되지 못한다. 임진왜란때 동북 지방으로 피난 가서 가토에게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된다.
선조와 귀인 김씨 소생의 아들로 임해군과 광해군의 이복동생이자 신립의 사위이다. 임진왜란 와중에 피난을 가다가 죽게 된다.
선조와 순빈 김씨 소생의 아들이다. 임진왜란 때 이복형 임해군과 동북지방으로 피난을 갔지만 회령 아전 국경인과 백성들에게 붙잡혀 가토에게 포로가 되었다가 석방된다

내관[편집]

동인 세력들[편집]

동인의 영수. 유연한 말투는 그 속내를 짐작하기 어렵다. 같은 동인의 중요인물인 류성룡을 지원하지만, 그를 적절히 통제하며, 이용한다. 임진왜란의 과정에서 선조를 호종하다가 탄핵을 받고 파직당한다.
류성룡의 지기이자 이산해의 사위다. 임진왜란 당시 청원사로 명나라에 파견돼 파병을 성취시키는 등 전란 중 외교의 전반적인 일을 담당한다. 예리한 통찰력과 날카로운 판단력을 지녔다.
1590년 통신부사로 일본에 파견되었는데, 이듬해 돌아와 일본이 전쟁을 일으킬 기색이 보이지 않는다는 보고를 한 인물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한양으로 압송을 하려다가 류성룡에 의해 목숨을 건져 경상도 초유사로 임명되었다.
동인의 원로. 기축옥사로 귀양을 가게 된다.
우의정 정언신의 형으로서 기축옥사로 귀양을 가게 된다.
동인 재야인사. 기축옥사 때 옥사한다.
선조의 후궁인 정빈 홍씨의 친척으로 왜란 전에 병조판서를 맡으면서 군량미를 챙긴 일로 좌천되었다. 후에 호조판서가 되어 류성룡을 탄핵하게 된다.
임진왜란 당시 왕을 호종하면서 평안도 도체찰사로 임명된 뒤 곧 평안도 관찰사 겸 순찰사로 승진해 명의 이여송과 합세해 평양을 탈환하는데 기여했다.
도승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병조판서 겸 부체찰사로서 평안도로 피란가는 선조를 호종하다가 이조판서가 되어 환도한 뒤 우의정, 좌의정을 지낸다.
좌찬성. 임진왜란 당시 의주에서 올라와 선조를 호종하였고, 이후 분조를 따른다. 이순신이 탄핵을 받아 투옥되었을 때 그를 변호한다.
사재감정[15]. 1592년 세자익위사의 익위로 제수되어 세자[16]영변(현 녕변군)까지 모셨다.

서인 세력들[편집]

서인의 주요 인물이다. 선조가 열여섯에 즉위할 때부터 승정원에서 가장 가까이 보필했던 터라, 선조를 누구보다 잘 알고, 나이에 걸맞지 않은 중압감으로 살아온 선조를 항상 연민의 눈으로 바라본다. 대범하고 호탕한 성격이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기용되어 선조를 호종한다. 동생으로는 월정 윤근수[17] 등이 있다.
서인의 영수. 1589년 기축옥사를 계기로 선조의 마음을 사로 잡아서 서인의 세상을 만들려고 한다. 호불호가 분명하고 직설적인 성격 탓에 늘 동인들의 집중 공격 대상이 되어 관직에서 종종 탄핵 되거나 사직 하곤 하였다. 뛰어난 문재(文才)로 인정 받았다.
당색으로는 서인이지만 류성룡과도 절친한 사이이고, 권율의 사위이다. 시원스런 성격에 해학적인 유머와 번뜩이는 기지가 있다. 임진왜란 당시 벗인 이덕형과 함께 병조판서를 교대로 맡으면서 근왕병 모집과 명에 대한 청병을 주도하였다.
서인의 정신적 지주같은 인물. 당대의 “8문장가[18]”로 꼽힐만큼 뛰어난 인재였으나 노비출신이라는 한계에 그쳐 과거를 포기할 수밖에 없었다. 정철, 성혼과 친교를 맺으며 실질적인 책략가 역할을 한 인물이다.
1589년 기축옥사로 서인이 정권을 잡자 이조참판에 등용되었다. 이이·정철·송익필 등과 절친하였다. 서인의 중진 지도자이며 학문이 깊다.
임진왜란 전 통신사 정사로 파견되어 변화된 일본의 모습에 진작 내침을 감지하고, 귀국 후 일본 침략을 강력하게 경고하지만 묵살되고 만다.
강직하기가 대쪽 같다. 자리에 연연하지 않고, 설령 임금이라 하더라도 잘못하면, 부서지고 깨지더라도 상소를 올려 간언한다. 임진왜란 때 승병장 영규와 함께 호서에서 의병을 일으킨다.

조선의 무장들[편집]

당대 최고의 무장. 임진왜란 발발 당시 정2품 한성부 판윤에 이르렀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삼도 도순변사[19]에 임명되어 충주 탄금대에서 일본군과 싸우다 전사한다.
제승방략을 고안한 무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경상도 순변사[20]상주, 탄금대에서 일본군과 싸워 패배하지만 도망쳐 살아남는다. 평안도 병마절도사로 명의 원병과 함께 평양을 수복한다.
광주 목사에 임명되어, 이광과 곽영의 지휘 아래 와키자카 군대와 용인에서 전투를 벌이나 패하였다. 이듬해 김명원의 뒤를 이어 도원수가 되었고 이후 우키타 군대와 행주산성에서 전투[21]를 벌여 대승을 거두었다.
경상도 관찰사[22].
경상좌도 수군절도사.
부산진 수군첨절제사[23]. 임진왜란 당시 부산진 전투에서 전사한다.
동래부사.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 전투에서 전사한다.
진주 목사. 제1차 진주성 전투 때 곽재우, 심대승, 임계영, 최경회와 더불어 진주성을 지키는 도중 전사한다.
경상 좌병사[24]. 그는 임진왜란 당시 거듭 도주하였고 임진강에 주둔한 도원수 김명원의 진중까지 도주하다 결국 체포되어 선조는 선전관을 보내 참수시켰다.
일본군 출신 항왜장수로 과거이름은 사야가(沙也加). 임진왜란 당시 조선에 귀순해 김충선이란 이름을 하사받는다.
이일의 부장으로 탄금대 전투에서 패배하자 이일과 함께 도망친다.
신립 휘하 조방장. 탄금대 전투에서 전사한다.
삼도 순변사 신립의 종사관. 과거 의주목사 시절. 축성으로 인해 명의 간섭으로 물러난 인물로 탄금대 전투에서 사력을 다해 싸우지만 패전하여 신립과 함께 자결한다.
함경도남병사. 신각과 같이 해유령 전투에 참전한다.
정발의 부장. 부산진 전투에 참전한다.
동래교수. 송상현과 함께 동래성 전투에 참전한다.
삼도수군통제사. (겸 전라 좌수사)[25].옥포해전 및 적진포 해전에선 일본 수군을 이겨 일본 육군의 보급로를 끊었고 한산도 해전에선 학익진으로 와키자카 함대를 침몰시켰으나 정유재란 때 파직 및 백의종군에 처해짐. 칠천량해전 이후 수군통제사로 복귀, 노량해전에서 전사한다.
경상우수사[26](후의 삼도수군통제사). 이순신과 수군을 이끌고 옥포, 한산대첩 등의 전공을 올렸다. 이에 반해 이순신과의 대립이 심하였다.
도원수. 한강 및 임진강 방어를 맡았다.
김명원의 부장. 평양성 전투에 참전한다.
부원수. 임진왜란 당시 한강을 방어하다 실패한 이후 양주 해유령 전투에서 일본군을 상대로 첫승리를 거두었으나 선조의 명으로 처형당한다.
명나라에 주청사로 갔다가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도순찰사에 임명되어 조선 육군을 임시로 지휘한다.
전라도 관찰사. 용인 전투에서 와키자카 군대에 의해 패배한다.
녹도 만호. 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하다가 부산포 해전에서 전사한다.
순천 부사. 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하며 수차례 전공을 세운다.
전라좌수영 군관. 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하며 수차례 전공을 세웠으며 한산도 대첩노량 해전에서 크게 활약한다.
흥양 현감. 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하며 수차례 전공을 세웠으며 노량 해전에서 크게 활약한다.
전라좌수영 군관. 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하며 조선식 조총인 정철총통을 개발한다.
정운의 부관, 전라좌수영 군관.
전라좌수영 군관.
훈련원 주부. 이순신 휘하에서 종군한다.
황해도 좌방어사.
황해도 우방어사.
경기 수사.
경상 좌병사[27].
권율 휘하 조방장

의병 세력들[편집]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령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곽재우와 함께 의령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두 아들과 함께 전라도 광주 등에서 모집한 7천여 명의 의병을 이끌고, 권율의 진영에 합류하였다. 이후 금산 전투에서 아들 고인후와 함께 전사한다.
조선 승려. 승병장. 임진왜란 당시 승병들을 조직하여, 이여송, 류성룡 등과 함께 평양성 전투에 참전한다. 이후 대일 사신으로 가토 기요마사와 담판을 짓게 된다.
호남 의병장으로 충용장. 이순신이 이끄는 조선 수군과 협력하여 장문포 해전에 참전하였다. 이몽학의 난에 연루되어 억울하게 죽게 된다.
김덕령의 부관
화순 의병장으로 나주 의병장 임계영과 함께 제1차 진주성 전투에 참전하여 승전을 이끌었으며 극중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제2차 진주성 전투에 경상 우병사로 참전하여 분전하다가 중과부적으로 성이 함락되자 의병장 김천일, 고종후와 함께 남강에 투신하여 자결하였다.
고경명의 장남으로 아버지와 동생 고인후와 함께 의병을 창설하여 금산 전투에서 분전하였으나 아버지와 동생이 전투 중에 전사하자 극중에는 등장하지 않지만 후일 1593년 400명의 의병을 규합, 복수의병군을 조직한 이후 진주 목사 서예원, 경상 우병사 최경회, 의병장 김천일, 충청 병사 황진과 합류하여 제 2차 진주성 전투에서 왜군과 항전하다가 중과부적으로 성이 함락되자 의병장 김천일, 경상 우병사 최경회와 함께 남강에 투신하여 자결하였다.
고경명의 차남으로 아버지와 형 고종후와 함께 의병을 창설하였으나 금산 전투에서 부친과 함께 전사하였다.

일본 세력들[편집]

일본태합(太閤, 호칭은 전하[29]). 보잘 것 없는 용모에 비해, 사람과 상황에 대한 통찰력이 날카롭고, 매우 용의주도한 성격이다. 철저한 계획이 세워지지 않고서는 결코 움직이지 않는다.
히데요시의 첫 아들로 요도의 소생. 어린 나이에 일찍 죽는다.
히데요시의 정실. 남편의 입신출세에 힘을 다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아이가 없었기 때문에, 히데요시나 자신의 친척을 양자나 가신으로서 키웠다. 그 중에서 가토 기요마사와 후쿠시마 마사노리(복도정칙)는 특히 유명하다. 히데요시의 정실부인으로서 '기타노만도코로'(북정소)라고도 불린다.
히데요시[32]의 부인. 쓰루마쓰와 히로이마루(섭환)를 낳는다.
일본의 관백. 1591년 히데요시는 조카 히데쓰구에게 관백직을 수여하였다. 거주지는 주라쿠다이이다.
히데요시의 양자. 친부는 우키타 나오이에(우희다직가). 임진왜란 시기에 일본군 총대장 겸 제8군 사령관으로 참전하여 제8군을 이끈다.
임진왜란때 조선을 침략한 일본군 선봉장. 상인 집안 출신으로, 침착하면서도 손익계산에 빠르다. 임진왜란 때 그의 사위인 대마도주 소 요시토시(종의지)와 함께 1만 8,000명의 병력을 이끌고 부산진동래성을 공격하였고, 충주 탄금대 전투 때 신립을 대패시키는 전공을 세운다. 그 후 제4차 평양성 전투에서 명나라 제독 이여송에게 대패하지만 벽제관 전투에서 조명 연합군[35]을 전멸시킨다[36].
제2군을 이끈 장수. 승부에 있어선 영악하고 민첩하게 움직이지만 보통은 단순하고 포악무도하다. 마치 사냥을 즐기듯 전쟁터를 누빈다. 어린시절 네네에 의해 키워지게 된다. 그래서 네네를 친어미처럼 따른다. 임진왜란 당시, 함경도까지 진출해 임해군을 사로잡게 되며, 후일 고니시와 세키가하라 전투 때 싸우게 된다.
대마도주. 고니시의 사위이며 조선말을 잘한다. 전쟁이 일어나자 고니시의 지휘로 참전했고, 조선과의 강화교섭에 적극적으로 나서나 실패한다. 본명은 종의지이나 조선에 올때는 일본 명문가의 성씨인 ‘평'씨[39]를 차용하여 평의지라고도 불렸다.
일본 승려. 종의지와 함께 조선으로 와서 통신사를 요청한다.
종의지 이전에 조선으로 온 일본 사절로 통신사 요청을 하다가 거절당했으며, 결국 히데요시에 의해 죽는다.
도요토미 가문의 가신. 오봉행의 한 사람으로서 임진왜란에 참전하였다. 벽제관 전투에선 조명 연합군을 패배시켰으나 행주대첩에서 권율군에 의해 대패하였다.
통칭 마타자에몬, 마타시로 등. 시즈가타케 전투에서 시바타 가쓰이에 군에 소속되어 히데요시와 대립하지만 전투에서 패하여 그와 제휴한 후, 자신의 딸 마아히메(摩阿姫 마아희)를 히데요시의 첩으로 보내는 등 밀접한 관계를 맺는다.
풍신수길의 시녀.
일본군 제3군 사령관.
일본군 제4군 사령관.
일본군 수군 장수. 옥포 해전에서 조선 수군에게 참패를 당한다.
일본군 수군 장수. 용인에서 5천 군사로 5만의 조선군을 궤멸시켰지만 이후 한산도 해전에서 이순신 지휘 하의 조선 수군에 완패한다. 이후 칠천량 해전, 명량 해전 등에 참전한다.
임진왜란 당시 감시역을 맡아 제1차 진주성 전투, 남원성 전투, 울산성 전투 등에 참전했다.
일본군 제6군 사령관. 웅치 전투이치 전투, 정암진 전투에서 패배하고 본국으로 철수했지만 그 길로 히데요시에게 끌려가 죽음을 맞이한다.[40]
일본군 제7군 사령관. 성주성 전투에서 패배하고 본국으로 철수했지민 그 길로 히데요시에게 끌려가 광기에 휘말려 죽을 뻔 했지만 마에다의 만류로 살아난다.[41]
일본군 제9군 사령관. 부산포 해전에서 패배한 이후 호소카와 다다오키를 비롯한 부하들을 두고 본국으로 철수했지만 그 길로 히데요시에게 끌려가 죽음을 맞이한다[42]
가등청정의 부관.
정해왜변 당시 해적 대장
소서행장의 부관
소서행장의 부관
등당고호의 부관
일본 승려.

명나라 세력들[편집]

명나라 제13대 황제. 묘호는 신종(神宗). 1572년부터 1620년까지 48년간 재위하였다. 그의 치세는 역대 명나라 황제들의 통치 기간 중 가장 길며, 명나라가 건국된 지 200년쯤 지나고 왕조가 서서히 몰락해가는 시기였다.
만력제의 애첩. 복충왕 주상순(福忠王 朱常洵, 후의 명 공종, 明恭宗)의 모친. 복충왕을 태자로 옹립하려다가 실패하게 된다. 복충왕의 아들인 남명(南明) 초대 황제 홍광제(弘光帝)는 정귀비의 손자이다.
명나라 환관. 만력제를 가까이서 수행한다.
명나라 병부우시랑. 임진왜란 당시 명나라 2차 원군의 총사령관인 경략방해비왜군무로 참전하였다. 병부우시랑은 심유경을 내세워서 조선을 배제한 일본과의 강화협상을 시도하다가 소환되었다.
무역상 출신의 명나라 사신. 달변가이며 일본어에 능통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조선·일본·명 3국 사이에 강화회담을 맡아 진행하면서 농간을 부렸다.
명나라 병부상서. 조선을 지원하는 척, 강화협상을 배후에서 벌이다가 만력제에 의해 옥에 갇히게 된다.
명나라 예부 소속의 신하로서 병부상서 석성과는 라이벌. 사신으로서 조선에 들어와 송응창와 강화협상을 알아채고 그를 소환하기에 이른다.
명나라의 사신으로서 일본에 파견되었다.
명나라의 사신으로서 일본에 파견되었다.
명나라의 사신으로서 일본에 파견되었다.
경락. 정유재란 직후, 명에서 파견되었다.
명나라 장수. 당시 요동의 실권자인 이성량의 아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제독군무방해어왜총병관으로 명나라의 제2차 원군 4만 3천의 병력을 이끌고 압록강을 건너 한반도에 들어왔다. 일본군을 상대로 평양성 전투에서 승전하였으나 벽제관 전투에서 패한 다음에는 싸울 생각을 하지 않아, 류성룡과 이항복, 이덕형 등은 이여송에게 일본군과 싸울 것을 재촉하였다.
명나라 요동도사사 진무. 류성룡과 함께 일본군 진영을 살피고, 조선에 원병을 지원하도록 협력한다.
명나라 요동군 부총관. 명군 5,000여명을 이끌고 조선에 출병하였으나, 평양성 전투에서 대패하였다.
명나라 부총병.
명나라 부총병.
명나라 참장. 조선의 신식군사훈련에 도움을 준다.
명나라 유격장군.
명나라 상인.
명나라 서도독첨사.
명나라 대장군.
명나라 수군도독.
명나라 부총병.

류큐국 세력들[편집]

류큐의 왕자. 일본의 명 침공 준비 소식을 만력제에게 알린다. 극에서는 그에 대하여 상세한 설명은 없지만 역사에는 쇼네이 왕자가 명나라에 사신으로 갔다고 나와있다.

그 외 인물[편집]

귀인 김씨의 남동생. 선조의 처남. 내수사 별좌
화포장. 비격진천뢰 제조자
순왜 백성
통신사 서장관
전라좌수영 노인
회령 아전
순왜 관리
순왜 군사
송유진의 난 주도자
송유진의 부관
이몽학의 난 주도자
이몽학의 부관
거창 의병장
광해군의 직속 내관
귀인 김씨의 직속 상궁
삼도수군통제영 군관
정주 군량미 약탈패 두목
김덕령 휘하 의병. 이몽학 휘하 반란군

시청률[편집]

본방 시청률[편집]

아래의 파란색 숫자는 '최저 시청률'이고, 빨간색 숫자는 '최고 시청률'입니다. 시청률조사회사와 지역별로 시청률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2015년
회차 방송일 TNmS 시청률[44] AGB 시청률[45]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대한민국(전국) 서울(수도권)
제1회 2월 14일 8.2% 8.2% 10.5% 9.8%
제2회 2월 15일 6.9% 7.6% 9.5% 9.2%
제3회 2월 21일 7.7% 8.6% 9.8% 8.9%
제4회 2월 22일 7.6% 8.3% 10.3% 9.5%
제5회 2월 28일 8.1% 8.8% 8.7% 8.0%
제6회 3월 1일 7.9% 8.4% 9.5% 9.1%
제7회 3월 7일 7.4% 7.7% 10.5% 10.9%
제8회 3월 8일 6.9% 7.6% 9.2% 9.3%
제9회 3월 14일 8.7% 9.0% 10.7% 10.9%
제10회 3월 15일 7.0% 7.5% 10.7% 10.0%
제11회 3월 21일 7.6% 7.7% 9.7% 9.2%
제12회 3월 22일 8.3% 8.9% 10.3% 10.2%
제13회 3월 28일 10.0% 10.9% 10.9% 11.0%
제14회 3월 29일 9.1% 9.4% 11.8% 11.7%
제15회 4월 4일 9.4% 8.8% 11.0% 10.7%
제16회 4월 5일 8.7% 8.8% 10.7% 10.6%
제17회 4월 11일 9.4% 9.1% 11.2% 11.4%
제18회 4월 12일 9.5% 10.0% 11.4% 11.1%
제19회 4월 18일 10.0% 9.1% 12.3% 12.3%
제20회 4월 19일 10.4% 10.7% 12.7% 12.3%
제21회 4월 25일 9.4% 9.2% 12.3% 11.6%
제22회 4월 26일 10.4% 10.5% 13.8% 13.8%
제23회 5월 2일 11.1% 12.3% 12.4% 12.3%
제24회 5월 3일 10.1% 10.4% 12.4% 11.0%
제25회 5월 9일 10.8% 10.7% 11.7% 11.4%
제26회 5월 10일 10.7% 11.1% 12.5% 12.1%
제27회 5월 16일 9.1% 9.2% 10.5% 10.6%
제28회 5월 17일 9.3% 9.2% 11.7% 11.9%
제29회 5월 23일 9.4% 9.6% 10.5% 10.5%
제30회 5월 24일 10.1% 10.4% 11.5% 11.8%
제31회 5월 30일 9.2% 9.0% 11.3% 11.3%
제32회 5월 31일 9.6% 9.6% 12.3% 12.3%
제33회 6월 6일 9.3% 9.1% 12.1% 12.1%
제34회 6월 7일 9.8% 10.7% 11.9% 10.9%
제35회 6월 13일 9.9% 9.2% 11.2% 11.2%
제36회 6월 14일 9.5% 10.3% 13.3% 13.1%
제37회 6월 20일 7.2% 7.8% 10.3% 10.9%
제38회 6월 21일 10.2% 10.8% 12.0% 11.6%
제39회 6월 27일 9.3% 9.8% 12.6% 12.7%
제40회 6월 28일 8.7% 9.3% 12.0% 12.5%
제41회 7월 4일 9.1% 9.9% 11.3% 11.8%
제42회 7월 5일 9.8% 10.0% 11.8% 11.9%
제43회 7월 11일 9.4% 9.3% 10.9% 10.4%
제44회 7월 12일 9.0% 9.0% 11.2% 11.0%
제45회 7월 18일 8.7% 9.0% 10.4% 10.1%
제46회 7월 19일 9.1% 9.2% 11.6% 11.5%
제47회 7월 25일 9.4% 9.7% 11.1% 10.5%
제48회 7월 26일 9.7% 10.9% 7.7%(오류)[46][47] 7.2%(오류)
제49회 8월 1일 9.5% 9.2% 10.5% 10.2%
제50회 8월 2일 10.1% 10.1% 12.3% 12.2%
평균 시청률 9.1% 9.5% 11.2%(오류)[48] 11.0%(오류)

재방 시청률[편집]

회차 방송일 AGB 시청률[45]
대한민국(전국)
제1회 2018년 4월 9일 1.6%
제2회 2018년 4월 10일 1.7%
제3회 2018년 4월 11일 1.6%
제4회 2018년 4월 12일 1.8%
제5회 2018년 4월 13일 1.1%
제6회 2018년 4월 16일 1.7%
제7회 2018년 4월 17일 1.4%
제8회 2018년 4월 18일 1.6%
제9회 2018년 4월 23일 2.4%
제10회 2018년 4월 24일 1.8%
제11회 2018년 4월 25일 1.6%
제12회 2018년 5월 1일 2.3%
제13회 2018년 5월 2일 1.5%
제14회 2018년 5월 3일 2.2%
제15회 2018년 5월 4일 1.9%
제16회 2018년 5월 7일 2.2%
제17회 2018년 5월 8일 1.8%
제18회 2018년 5월 10일 1.3%
제19회 2018년 5월 11일 1.9%
제20회 2018년 5월 14일 2.1%
제21회 2018년 5월 15일 1.6%
제22회 2018년 5월 16일 2.8%
제23회 2018년 5월 21일 2.4%
제24회 2018년 5월 23일 2.1%
제25회 2018년 5월 24일 1.9%
제26회 2018년 6월 15일 1.9%
제27회 2018년 6월 18일 1.8%
제28회 2018년 6월 19일 1.5%
제29회 2018년 6월 20일 1.7%
제30회 2018년 6월 21일 2.0%
제31회 2018년 6월 22일 1.7%
제32회 2018년 6월 26일 2.1%
제33회 2018년 6월 27일 1.8%
제34회 2018년 6월 28일 2.0%
제35회 2018년 6월 29일 1.8%
제36회 2018년 7월 2일 2.2%
제37회 2018년 7월 3일 2.0%
제38회 2018년 7월 4일 2.1%
제39회 2018년 7월 5일 1.9%
제40회 2018년 7월 6일 1.7%
제41회 2018년 7월 9일 1.6%
제42회 2018년 7월 10일 1.9%
제43회 2018년 7월 11일 1.9%
제44회 2018년 7월 12일 1.6%
제45회 2018년 7월 13일 1.8%
제46회 2018년 7월 16일 2.5%
제47회 2018년 7월 17일 2.0%
제48회 2018년 7월 18일 1.8%
제49회 2018년 7월 19일 2.3%
제50회 2018년 7월 24일 2.3%

엔딩 다큐멘터리[편집]

매주 일요일 방송분(매 짝수 화)의 마지막 부분에서 드라마 징비록 배경의 관련된 인물과 유적이나 시대적 배경에 대하여 간략한 다큐멘터리를 제작하여 방송한다.

  • 내레이션 : 박형욱
  • 제작 : 미디어K

※ 유적의 주소는 행정동(법정리)을 기준으로 표시. 유적 중에 굵은 글씨는 드라마에서 지도와 찾아오는 길을 표시.

※ 관련인물의 청색은 '시호(諡號) 또는 묘호(廟號)', 적색은 '자(字)', 녹색은 '아호(雅號) 또는 군호(君號), 법호(法號)', ,흑색은 '휘(諱) 또는 이름(名), 법명(法名)'이다.

횟수 방송일 유형유산(장소) 『기록』/【무형】유산 관련인물 비고
1 2월 15일 병산서원<존덕사>(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봉생정(경상북도 문경시 마성면 신현리)
수락대(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포리)
하회마을<충효당,영모각>(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하회리)
옥연정사(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광덕리)
징비록(懲毖錄)』 문충공 이현 서애 류성룡
(文忠公 而見 西厓 柳成龍)
2 2월 22일 목릉(경기도 구리시 동구동) - 선조대왕 이연
(宣祖大王 李昖)
3 3월 01일 학봉종택<운장각>(경상북도 안동시 서후면 금계리)
임천서원(경상북도 안동시 송하동)
학봉 김성일 묘, 학봉신도비(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서지리)
- 문충공 사순 학봉 김성일
(文忠公 士純 鶴峰 金誠一)
4 3월 08일 정송강사(충청북도 진천군 문백면 봉죽리)
송강 정철 생가터(서울특별시 종로구 청운효자동)
식영정(전라남도 담양군 가사문학면 지곡리)
송강정(전라남도 담양군 고서면 원강리)
- 문청공 계함 송강 정철
(文淸公 季涵 松江 鄭澈)
5 3월 15일 이산해 사당<아계 이산해 묘, 신도비>(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방산리)
수당 기념관[49](충청남도 예산군 대술면 상항리)
『이산해 사당 친필』 문충공 여수 아계 이산해
(文忠公 汝受 鵝溪 李山海)
6 3월 22일 부산진지성<자성대공원, 진남대>(부산광역시 동구 범일 2동)
정공단<전망비>(부산광역시 동구 좌천동)
【정발장군 향사】
(매년 5월 초중순)
충장공 자고 백운 정발
(忠壯公 子固 白雲 鄭撥)
7 3월 29일 목멱산[50] 봉수대 터(서울특별시 중구 필동) - - (시설 유적)
8 4월 05일 탄금대<열두대, 위령탑, 순절비>(충청북도 충주시 칠금금릉동) - 충장공 입지 신립
(忠壯公 立之 申砬)
9 4월 12일 이순신 생가 터(서울특별시 중구 광희동)
현충사<충무공 고택, 이순신 기념관>(충청남도 아산시 염치읍 백암리)
- 충무공 여해 (덕곡) 이순신
(忠武公 汝諧 (德谷) 李舜臣)
10 4월 19일 곽재우생가(경상남도 의령군 유곡면 세간리)
충익사<의병박물관>(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중동리)
정암진(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정암리)
【의령 의병제전】
(매년 4월 하순)
충익공 계수 망우당 곽재우
(忠翼公 季綬 忘憂堂 郭再祐)
11 4월 26일 옥포대첩기념공원<효충사,기념탑>(경상남도 거제시 옥포동) - 충무공 여해 (덕곡) 이순신
(忠武公 汝諧 (德谷) 李舜臣)
12 5월 03일 이치대첩지<충장사, 대첩비>(충청남도 금산군 진산면 묵산리) 【이치대첩 기념제】
(매년 음력 7월 경)
충장공 언신 만취당 권율
(忠壯公 彦愼 晩翠堂 權慄)
13 05월 10일 모덕재[51](경기도 성남시 수정구 복정동)
월정사[52](경기도 양주시 회천4동)
【임진란 7주갑 기념식[53]
(60년 마다 6월 12일)
문정공 자앙 오음 윤두수
(文靖公 子仰 梧陰 尹斗壽)
14 5월 17일 진주성<창렬사, 국립진주박물관>(경상남도 진주시 성북동)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충무공 면오 김시민
(忠武公 勉吾 金時敏)
15 5월 24일 금당실마을(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상금곡리)
정충사(경상북도 예천군 예천읍 고평리)
도정서원<약포사당>(경상북도 예천군 호명면 황지리)
예천 충효관(경상북도 예천군 감천면 포리)
약포 정탁의 묘(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오미리)
『신구차(伸救箚)』 정간공 자정 약포 정탁
(貞簡公 子精 藥圃 鄭琢)
16 5월 31일 행주산성<행주대첩 기념관, 충장사, 행주대첩비>(경기도 고양시 덕양구 행주동) - 충장공 언신 만취당 권율
(忠壯公 彦愼 晩翠堂 權慄)
17 6월 07일 진주성<촉석루, 의암>(경상남도 진주시 성북동)
정렬사, 망화루(전라남도 나주시 성북동)
- 문렬공 사중 건재 김천일
(文烈公 士重 健齋 金千鎰)
18 6월 14일 화산서원[54]<백사 이항복의 묘>(경기도 포천시 가산면 방축리) - 문충공 자상 백사 이항복
(文忠公 子常 白沙 李恒福)
쌍송재[55]<한음 이덕형의 묘, 신도비>(경기도 양평군 양서면 목왕리) - 문익공 명보 한음 이덕형
(文翼公 明甫 漢陰 李德馨)
19 6월 21일 광해군 묘(경기도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
선혜청 터(서울특별시 중구 회현동)
이현궁 터, 창덕궁(서울특별시 종로구 종로1,2,3,4가동)
경희궁(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동)
조선왕조실록 광해군일기』 광해군 이혼
(光海君 李琿)
20 6월 28일 순천 왜성(전라남도 순천시 해룡면 신성리)
웅천 왜성(경상남도 창원시 진해구 웅동동)
울산 왜성(울산광역시 중구 학성동)
- - (시설 유적)
21 7월 05일 갑사<표충원>(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영규대사 비(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월암리)
영규대사 묘(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
- 기허대사 영규
(騎虛大師 靈圭)
22 7월 12일 충현박물관<관감당, 오리 종택>, 오리 이원익의 묘(경기도 광명시 소하2동) 『오리집』 문충공 공려 오리 이원익
(文忠公 功勵 梧里 李元翼)
23 7월 19일 동묘공원[56]<동관왕묘>(서울특별시 종로구 숭인 2동)
만동묘[57]<만동묘정비>, 화양계곡(충청북도 괴산군 청천면 화양리)
- - (시설 유적)
24 7월 26일 진남관(전라남도 여수시 충무동)
남해 충렬사<이순신 가분묘>(경상남도 남해군 설천면 노량리)
충무공 여해 (덕곡) 이순신
(忠武公 汝諧 (德谷) 李舜臣)
25 8월 02일 병산서원<존덕사, 만대루>(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병산리)
류성룡 묘소(경상북도 안동시 풍산읍 수리)
문충공 이현 서애 류성룡
(文忠公 而見 西厓 柳成龍)

오리지널 사운드 트랙[편집]

2015년 6월 15일 디지털 음원으로 Part 1과 Part 2로 나뉘어 총 49곡이 발매되었다.

각 곡의 작곡가는 한국음악저작권협회에 게시된 정보를 참고하였다.

대하드라마 징비록 OST Part 1
Various Artists사운드트랙 음반
발매일2015년 6월 15일
길이1시간 12분 52초
레이블KBS Media
프로듀서이창희

대하드라마 징비록 OST Part 1[편집]

#제목작곡재생 시간
1.Jingbirok Title A Main Opening이창희, 김준범1:44
2.Jingbirok Tragic Nobility여하경2:21
3.Jingbirok The Castle여하경2:04
4.Jingbirok Hideyoshi이창희, 여하경3:01
5.Jingbirok Heart 4beat최명희4:36
6.Jingbirok Title E Main Sub이창희, 김준범1:48
7.Jingbirok Tension Theme김준범, 여하경2:16
8.Jingbirok Loyal Subject김서현2:45
9.Jingbirok Title D Sad Bjg이창희, 김준범3:08
10.Jingbirok The Japanese최명희5:07
11.Jingbirok Rush김준범, 여하경2:06
12.Jingbirok At War최명희2:24
13.Jingbirok Sacrifice최명희3:51
14.Jingbirok Battleship김준범, 여하경1:48
15.Jingbirok Honorable Man여하경3:16
16.Jingbirok Myung War김서현2:31
17.Jingbirok Incident최재우2:17
18.Jingbirok Madness이창희, 여하경2:10
19.Jingbirok Storing In Secrecy이창희, 최명희2:52
20.Jingbirok Mow (War)이창희, 김준범3:19
21.Jingbirok Combat Alert김준범, 여하경2:43
22.Jingbirok Dispute이창희, 김서현2:31
23.Jingbirok Party Apparatus김준범, 여하경2:48
24.Jingbirok Heavy Tension이창희, 김준범2:21
25.Jingbirok Warmth김서현2:34
대하드라마 징비록 OST Part 2
Various Artists사운드트랙 음반
발매일2015년 6월 15일
길이1시간 13분 24초
레이블KBS Media
프로듀서이창희

대하드라마 징비록 OST Part 2[편집]

#제목작곡편곡재생 시간
1.Jingbirok Great Work최명희 2:30
2.Jingbirok Title C (Tense)이창희, 김준범 2:34
3.Jingbirok New World최재우 3:20
4.Jingbirok Toyotom이창희, 여하경 2:13
5.Jingbirok Golden Land김준범, 여하경 3:01
6.Jingbirok Jingb Tension김서현 2:24
7.Jingbirok Grief김서현 2:46
8.Jingbirok Last Decision최재우 2:01
9.Jingbirok Exercise Vigilance이창희, 여하경 2:59
10.Jingbirok Vanity이창희, 최명희 3:51
11.Jingbirok Myung Tension최명희 2:22
12.Jingbirok Suspicion최재우 2:25
13.Jingbirok The Battle최명희 3:38
14.Jingbirok Without Reason김준범, 최명희 4:11
15.Jingbirok The Enemy김준범, 김서현 3:19
16.Jingbirok Fierce Attack최명희최명희3:55
17.Jingbirok Bollergo (Tense)이창희, 김준범 2:14
18.Jingbirok Dark Eyes이창희, 여하경 3:05
19.Jingbirok Mu Mystery이창희, 김준범 3:02
20.Jingbirok Resolve김서현 2:48
21.Jingbirok Conspiracy이창희, 최명희 5:27
22.Jingbirok Thol (Mystery)김준범 3:24
23.Jingbirok Japanese Talk최명희 1:31
24.Jingbirok Wounded Heart김준범 4:15

수상[편집]

각주[편집]

  1. '정도전' 다음은 '류성룡'..KBS, '징비록' 내년 1월 방송
  2. 조대현 KBS 사장 "'징비록'부터 대하드라마 블랙아웃 없앤다"
  3. 김상중·김태우 ‘징비록’은?…‘하늘이 내린 재상’과 ‘비운의 왕’ 그리다 News1 2014년 12월 29일 자
  4. 안진용 (2015년 1월 20일). “KBS ‘징비록’ 작가 교체… 배경 관심”. 문화일보. 2017년 8월 16일에 확인함. 
  5. 전시의 최고군직
  6. 정태우, '징비록' 합류..김상중 충신으로 연기호흡
  7. 주인이 얼굴을 보이지 않는 술집
  8. 한가림 ‘징비록’ 캐스팅, 유쾌 발랄 '동동 역' 뒤늦게 합류
  9. 정소영, '징비록' 합류..김상중 아내 인동장씨役
  10. 이전 문서에서는 대전내관, 윤환시 등으로 기재되어 있었으나, 시각장애인전용 방송과 다음에서는 이정봉이라고 나와있었다.
  11. ‘징비록’ PD “국난 어떻게 극복했는지 다룰 것”
  12. 150214 대하드라마 징비록 티저1
  13. 남성진, '정도전' 이어 '징비록' 이덕형 캐스팅
  14. ‘징비록’ PD “국난 어떻게 극복했는지 다룰 것”
  15. 1593년에 제수
  16. 광해군
  17. 지조가 있으며, 조정대신 중 중국어에 가장 능통하다. 임진왜란 때 명나라 사신으로 간다.
  18. 조선 중기 팔문장계 : 이이, 송익필, 최립, 하응림, 최경창, 이달, 백광훈, 이산해
  19. 충청, 경상, 전라도 군총사령관
  20. 지방의 변란을 진압하기 위해 중앙에서 보내는 군사령관
  21. 행주대첩
  22. 경상감사
  23. 정3품 절충장군
  24.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경상좌도(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도의 우측 즉, 지금의 안동, 경주, 대구, 부산 일대)의 육군 사령관
  25. 전라좌도 수군절도사.1593년 8월 이후 전라좌수사 및 삼도수군통제사겸임. 1593년 10월 통제사와 좌수사를 겸하라는 정식 제수(임명)교지를 받음
  26. 경상우도 수군통제사
  27. 경상좌도 병마절도사, 경상좌도(낙동강을 경계로 경상도의 우측 즉, 지금의 안동, 경주, 대구, 부산 일대)의 육군 사령관
  28. ‘징비록’ 3종 포스터, 블록버스터급 사극 탄생 예고
  29. 당시 일본의 실질적인 최고 권력자, 1591년까지의 관직은 관백이었다
  30. 2014년생 아역 배우
  31. ‘구가의 서’ 손가영, 이번엔 ‘징비록’ 요도役 캐스팅
  32. 친부 아자이 나가마사(浅井長政 천정장정)는 오다니 성 전투(小谷城の戦い)에서 기노시타 도키치로(木下藤吉郞 목하등길랑)에 의해 전사하였고 혼노지의 변(本能寺の変)으로 인해 외백부 오다 노부나가(織田信長 직전신장) 사후 양부 시바타 가쓰이에(柴田勝家 시전승가)와 하시바 히데요시(羽柴秀吉 우시수길)의 권력 다툼인 시즈가타케 전투(賤ヶ岳の戦い)에서 히데요시가 승기를 잡음으로서 가쓰이에와 모친 이치(市 )는 자결. 히데요시가 아자이 3자매인 자차(후의 요도), 하쓰(후의 죠코인, 교고쿠 다카쓰구의 부인), 고우(후의 스겐인으로서 사지 가즈나리, 도요토미 히데카쓰, 도쿠가와 히데타다의 부인, 에도 막부 초대 미다이도코로) 등을 거두고는 결국 자차를 제2정실로 들인다.
  33. 김리우, ‘징비록’ 합류..도요토미 히데요시 양아들 역
  34. 이광기 '징비록' 출연, 조선 침략한 日 장수役
  35. 조선측 장수:고언백
  36. 실제 전투에선 선봉장 고바야카와 다카카게의 활약이 컸다.
  37. 우현·이정용, '징비록' 캐스팅 확정 '명품 조연 합류'[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38. 2005년 불멸의 이순신 이후 10여년 만에 같은 배역을 하게 되었다.
  39. 다이라 우지/헤이시
  40. 실제로 고바야카와는 본국에 돌아와 병으로 사망한다.
  41. 실제로 데루모토는 고바야카와랑 함께 임진왜란에 대한 공적으로 오대로 중 한명이 되었다.
  42. 실제로 히데카쓰는 조선에서 병으로 죽는다.
  43. 서윤아, '징비록' 명나라 황제 애첩 역으로 합류
  44. TNmS 멀티미디어 홈페이지
  45. “AGB닐슨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 2015년 2월 8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5년 2월 8일에 확인함. 
  46. 닐슨코리아가 2015년 7월 26일에는 KBS1 채널 전체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모두 잘못 집계했다. 이에 대해 KBS측에서 강하게 이의 제기를 했고, 닐슨코리아는 이에 대해 오류를 인정하고 사과했지만 당일 자료가 폐기되 바로 잡지 못했다
  47. 닐슨코리아 KBS1채널 및 징비록시청률 오류인정
  48. 48회 시청률이 오류이므로 드라마 전체 평균시청률도 집계할 수 없다. 잘못된 기록인 48회를 포함해서 평균시청률울 집계하는 것은, 오류를 발생시키는데다 타 드라마하고도 형평에 어긋난다. 그렇다고 특정 횟수를 빼고 평균시청률을 집계할 수도 없다. 그러므로 이 드라마는 평균시청률울 내는 작업자체가 오류가 나올 수 밖에 없다.
  49. 이산해의 10대손 수당 이남규의 기념관
  50. 지금의 남산
  51. 윤두수의 손자 윤경지의 사당
  52. 윤두수의 동생 월정 윤근수의 사당
  53. 2012년 6월 12일, 임진왜란 공신 아홉 분을 모시기 위해 60년마다 치르는 행사
  54. 백사 이항복의 사당
  55. 한음 이덕형의 사당(영정각)
  56. 관우를 모신 사당.
  57. 만력제숭정제를 모시기 위한 사당.

경쟁 프로그램[편집]

외부 링크[편집]

KBS 대하드라마
이전 작품 작품명 다음 작품
정도전
(2014년 1월 4일 ~ 2014년 6월 29일)
징비록
(2015년 2월 14일 ~ 2015년 8월 2일)
장영실
(2016년 1월 2일 ~ 2016년 3월 26일)
UHD 명품역사관
장영실
(2017년 8월 30일 ~ 2017년 10월 23일)
징비록
(2018년 4월 9일 ~ 2018년 7월 24일)
폐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