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한 6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한 6부(辰韓六部) 또는 사로 6촌은 현재 한반도 동남쪽에 있었던 부족연맹체 진한에서 신라의 기반이 된 서라벌의 여섯 부락이며, 씨족 집단으로 육촌(六村) 또는 육부촌(六部村)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신라본기에 따르면, 고조선의 유민이 나뉘어 살며 생겨났다고 하였다.[1] 첫째는 알천(閼川)의 양산촌(楊山村), 둘째는 돌산(突山)의 고허촌(高墟村), 셋째는 자산(觜山)의 진지촌(珍支村) 혹은 간지촌(干珍村), 넷째는 무산(茂山)의 대수촌(大樹村), 다섯째는 금산(金山)의 가리촌(加利村 혹은 加里村), 여섯째는 명활산(明活山)의 고야촌(高耶村)이다.[2]

유리 이사금32년에 개편하여 양산촌을 양부(梁部)라 하며 이씨(李氏)를, 고허촌을 사량부(沙梁部)라 하며 최씨(崔氏)를, 대수촌을 점량부(漸梁部) 혹은 모량(牟梁)이라 하며 손씨(孫氏)를, 간진촌을 본피부(本彼部)라 하며 정씨(鄭氏)를, 가리촌을 한기부(漢祇部)라 하며 배씨(裵氏)를, 고야촌(명활부, 明活部)를 습비부(習比部)라 하며 설씨(薛氏) 성을 주었다.[3]

대체로 부족사회의 6촌이 점차적으로 분화되어 단계적으로 행정 구역의 명칭으로 변화된 것 같다.

개요[편집]

일찍이 진한 땅에 골짜기마다 조선의 유민들이 흩어져 살았는데, 6촌이 있었다. 6촌의 촌장들이 모여 박혁거세를 맞아 '사로(斯盧)'의 왕으로 받들어 진한 12소국의 하나인 사로 6촌이 되고, 점차 신라 6부로 발전하였다. 이들이 나중에 그 공으로 각기의 성(姓)을 받아 신라 6성을 이루었다고 전하고 있다.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한 이후에는 경주 6부로 개편되었다.

사로 6촌의 촌장들은 처음 표암봉(瓢嵒峰)에 내려온 알천 양산촌장 알평(謁平), 형산(兄山)에 내려온 고허촌장 소벌도리[4](蘇伐都利), 화산(花山)에 내려온 진지촌장 지백호(智伯虎), 이산(伊山)에 내려온 대수촌장 구례마(俱禮馬), 명활산(明活山)에 내려온 가리촌장 지타(祉陀), 금강산(金剛山)에 내려온 고야촌장 호진(虎珍, 설거백)을 말한다.

6촌의 근거지[편집]

알천 양산촌[편집]

알천[5] 양산촌의 남쪽은 고려시대의 담엄사이다. 고려시대의 파잠(波潛)·동산(東山)·피상(彼上)·동촌(東村)이 여기에 속한다.[6]

  • 경주시 동방(東方), 인왕(仁旺), 구황(九黃), 노동(路東), 노서(路西), 동부(東部), 성동(城東), 성건동(城乾洞) 일대.

돌산 고허촌[편집]

고려시대의 구량벌(仇良伐) · 마등오(麻等烏) · 도북(道北)· 회덕(廻德) 등 남촌(南村)이 여기에 속한다.[7]

  • 경주시 배동(拜洞), 내남면 덕천리, 울주군 두서(斗西), 두동면(斗東面) 일대.

취산 진지촌[편집]

진지(또는 빈지, 빈자, 영지)촌이다. 고려시대의 시파 등 동남촌이 여기에 속한다.[8]

  • 경주시 진현동(進峴洞), 외동읍(外東邑) 일대.

무산 대수촌[편집]

무산[9] 대수촌[10]은 고려시대의 박곡촌(朴谷村) 등 서촌(西村)[11]이 여기에 속한다.[12]

  • 경주시 현곡면(見谷面) 일대.

금산 가리촌[편집]

고려시대의 금강산 백률사의 북쪽 산이다. 고려시대의 상ㆍ하서지(上下西知) · 내아(乃兒) 등 동촌(東村)이 여기에 속한다.[13]

  • 경주시 감포읍(甘浦邑) 양남(陽南). 양북면(陽北面) 일대.

명활산 고야촌[편집]

고려시대의 물이촌(勿伊村) ·잉구미촌(仍仇旀村) · 궐곡(閼谷, 또는 갈곡(葛谷)) 등 동북촌(東北村)이 여기에 속한다.[14]

  • 경주시 천북면(川北面) 화산(花山), 물천(勿川) 동산리(東山里) 일대.

신라 6부[편집]

사로가 신라로 발전하면서 6촌은 6부로 자리잡았다.

양산촌, 고허촌, 진지촌은 왕경 내에 있었고, 대수촌, 가리촌, 고야촌은 외곽 지역에 있었던 것으로 비정된다. 왕경 내의 양산촌, 고허촌, 진지촌이 세력이 컸을 것이고, 그 중에서도 초기에는 양산촌이 중추로 있다가 6부로 발전하는 과정에서 양산촌인 양부와 고허촌인 사량부와 진지촌인 본피부가 핵심적 역할을 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18][19]

신라 6성[편집]

서기 32년(유리왕 9) 6부의 후손들이 알평이씨(李氏), 소벌도리최씨(崔氏), 지백호정씨(鄭氏), 구례마손씨(孫氏), 지타배씨(裵氏), 호진설씨(薛氏)를 성씨(姓氏)로 받아[20] 각 성씨의 시조가 되었고, 뒤에 후손들이 모두 계림(鷄林, 경주)을 본관으로 삼았다고 한다.[21]

왕성(王姓)인 박씨(朴氏), 석씨(昔氏), 김씨(金氏)와 함께 신라 토성(土姓)으로 인식된다.[22]

경주 6부[편집]

고려가 통일한 뒤인 940년(고려태조 23)에 '경주'(慶州)라는 이름과 함께 급량부는 중흥부(中興府), 사량부는 남산부(南山部), 본피부는 통선부(通仙部), 점량부는 장복부(長福部), 한기부는 가덕부(加德部), 습비부는 임천부(臨川部)로 개편되었다.

각주[편집]

  1. 김부식(1145), 《삼국사기》 〈권제1〉 혁거세 거서간 條 “先是 朝鮮遺民 分居山谷之間爲六村”(이에 앞서 조선의 유민들이 산골짜기 사이에 나뉘어 살며 6촌을 이루고 있었다.)
  2. 김부식(1145), 《삼국사기》 〈권제1〉 혁거세 거서간 條 “一曰閼川楊山村 二曰突山高墟村 三曰 觜山珍支村 或云干珍村四曰茂山大樹村 五曰金山加 ” “첫째는 알천양산촌이고, 둘째는 돌산고허촌, 셋째는 취산진지촌 혹은 간진촌이라고도 하였다. 넷째는 무산대수촌, 다섯째는 금산가리촌, 여섯째는 명활산고야촌인데, 이것이 진한 6부가 되었다.”
  3. 양산부를 양부라~:《삼국사기》(신라본기 제1권, 유리 이사금 條) 九年 春 改六部之名 仍賜姓 楊山部爲梁部 姓李 高墟部爲沙梁部 姓崔 大樹部爲漸梁部 一云牟梁 姓孫 干 珍部爲本彼部 姓鄭 加利部爲漢祇 部 姓裴 明活部爲習比部 姓薛
  4. 당시 6부의 촌장들 중 소벌도리가 가장 연장자였던 것으로 전해온다.
  5. 다른 촌은 모두 산 밑에 있는데, 양산촌만 알천이라는 물가에 있어 살기도 가장 좋고 인구도 많아 중추 세력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6. 일연(1281), 《삼국유사》 〈권제1〉 신라시조 혁거세왕 條 “一曰閼川楊山村南今曇嚴寺長曰謁平初降于瓢嵓峯 是為及梁部李氏祖奴礼王九年置名及梁部夲朝太祖天福五年庚子改名中興部波潛東山彼上東村屬焉 ”(첫째는 알천양산촌이니 그 남쪽은 지금의 담엄사이다. 촌장을 알평이라 일컬으며 처음에 표암봉에 내려왔으니, 이가 곧 급량부 이씨의 조상이 되었다. 노례왕 9년(서기 32년)에 급량부라는 이름의 부(部)를 두었는데 본조(本朝)의 태조 천복(天福) 5년 경자년(庚子年, 940년)에 이름을 고쳐 중흥부(中興部)라 하였다. 파잠(波潛)·동산(東山)·피상(彼上)·동촌(東村)이 여기에 속한다.)
  7. 일연(1281), 《삼국유사》 〈권제1〉 신라시조 혁거세왕 條 “二曰 突山高墟村長曰蘇伐都利初降于兄山是為沙梁部梁 讀云道或作涿亦音道鄭氏祖今曰南山部仇良伐麻等烏道北迴徳等南村属焉称今曰者 太祖 所置也下例知”(둘째는 돌산고허촌이니 촌장을 소벌도리라 일컫으며, 처음에 형산에 내려왔으니 사도부‘梁’을 ‘도’로 읽는다. 또는 ‘涿’이라 쓰지만 역시 음(音)은 ‘도’이다. 정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남산부(南山部)라 일컫는데 구량벌 · 마등오 · 도북· 회덕 등 남촌(南村)이 여기에 속한다. ‘지금은 ~라 일컫는다’고 하는 것은 태조가 설치한 것이라는 의미이다. 아래에서도 마찬가지이다.)
  8. 일연(1281), 《삼국유사》 〈권제1〉 신라시조 혁거세왕 條 “四曰觜山珎支村一作賔之又賔子又氷之長曰智伯虎初降于花山是爲夲彼部崔氏祖今曰通仙部柴巴等東南村屬焉”넷째는 취산진지촌빈지, 빈자 또는 영지라고도 한다이니, 촌장을 지백호라 일컫는다. 처음에 화산에 내려왔으니, 이는 본피부 최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통선부라 일컫는데, 시파(柴巴) 등 동남촌이 여기에 속한다.
  9. 무산이라는 명칭은 지금도 건천읍 일대 곳곳에 남아 있다.
  10. 건천읍 일대로 지금도 대수촌이라 부른다.
  11. 조선시대에 경주부일 때 서면이라 했고, 건천면으로 있다가 지금은 건천읍이 되었다.
  12. 일연(1281), 《삼국유사》 〈권제1〉 신라시조 혁거세왕 條 “三曰茂山大樹村長曰俱 一作仇禮馬初降于伊山一作皆比山是為漸梁一作涿部又牟梁部孫氏之祖今云長福部朴谷村等西村屬焉”(셋째는 무산대수촌이니 촌장을 구례마(俱禮馬 또는 仇禮馬)라 일컫는다. 처음에 이산(伊山, 개비산(皆比山)이라고도 한다)에 내려왔으니 이는 점량부(漸梁部 또는 漸涿部) 또는 모량부 손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장복부라 일컫는데, 박곡촌 등 서촌(西村)이 여기에 속한다.)
  13. 일연(1281), 《삼국유사》 〈권제1〉 신라시조 혁거세왕 條 “五曰金山加里村今金剛山栢栗寺之北山也長曰祗沱一作只他初降于明活山是爲漢歧部又作韓歧部裴氏祖今云加徳部上下西知乃兒等東村屬焉”(다섯째는 금산가리촌지금 금강산 백률사의 북쪽 산이다이니, 촌장을 기타지타라고도 한다라 일컫는다. 처음에 명활산으로 내려왔으니, 한기부(漢歧部 또는 韓歧部) 배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가덕부라 일컫는데, 상하서지 · 내아 등 동촌(東村)이 여기에 속한다.)
  14. 일연(1281), 《삼국유사》 〈권제1〉 신라시조 혁거세왕 條 “六曰 明佸山 髙耶村 長曰 虎珎 初降于 金剛山 是爲習比部薛氏祖今臨川部 勿伊村 仍仇旀村 闕谷一作 葛谷 等東北村屬焉”(여섯째는 명활산고야촌인데, 촌장을 호진이라 일컫는다. 처음에 금강산으로 내려왔으니, 습비부 설씨의 조상이 되었다. 지금은 임천부인데, 물이촌 ·잉구미촌 · 궐곡갈곡이라고도 한다 등 동북촌(東北村)이 여기에 속한다.)
  15. 최치원의 출신에 대해 《삼국사기》와 《삼국유사》가 다른데, 《경상도지리지》, 《동국여지승람》 등 대부분 《삼국사기》를 따라 사량부라 한다.
  16. 지금도 모량리가 있다.
  17. 조부 때 이후 출경하여 경산현 불지촌(佛地村) 율곡(栗谷)에서 태어났다고 한다.
  18. 대한민국 성씨 구성에서도 양산촌의 이씨, 고허촌의 최씨, 진지촌의 정씨가 5대성에 들어간다.
  19. 신라가 고대국가로 자리잡아감에 따라 권력 중심에서 차츰 밀려난 대수촌, 가리촌, 고야촌 사람들이 밀양, 성산, 경산 등지로 이거한 것으로 추정된다. 뒤에 진지촌 사람들도 영일, 동래 등지로 산거하게 된다.
  20. 유리이사금(재위: 24년~57년) 때라고 하나 당시 성이 별 필요가 없던 시기이므로 실제로 사성을 받은 것은 훨씬 뒤일 것이다.
  21. 일연은 삼국유사에서 삼국사기와 달리 고허촌에서 정씨가, 진지촌에서 최씨가 나왔다고 했다. 일연은 최치원도 본피부 사람이라 했는데, 이는 착오인 듯 하다.
  22. 대한민국 인구의 54%를 차지하는 대성인 김, 이, 박, 최, 정이 모두 신라 9성(姓) 안에 들어있다.

같이 보기[편집]

사로 6촌 (斯盧六村)
알천양산촌
(閼川楊山村)
돌산고허촌
(突山高墟村)
자산진지촌
(觜山珍支村)
무산대수촌
(茂山大樹村)
금산가리촌
(金山加利村)
명활산고야촌
(明活山高耶村)
6부명
(6部名)
급량부
及梁部
사량부
沙梁部
본피부
本彼部
점량부
漸梁部
한지부
漢祗部
습비부
習比部
촌장
(村長)
알평
謁平
소벌도리
蘇伐都利
지백호
智伯虎
구례마
俱禮馬
지타
祗陀
호진
虎珍
강림지
(降臨地)
표암봉
瓢巖峰
형산
兄山
화산
花山
이산
伊山
명활산
明活山
금강산
金剛山
후손 성씨
(後孫 姓氏)
이씨
李氏
최씨 · 소씨
崔氏 · 蘇氏
정씨
鄭氏
손씨
孫氏
배씨
裵氏
설씨
薛氏


이 문서에는 다음커뮤니케이션(현 카카오)에서 GFDL 또는 CC-SA 라이선스로 배포한 글로벌 세계대백과사전의 내용을 기초로 작성된 글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