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정씨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진주 정씨
晉州 鄭氏
이칭진양 정씨(晉陽 鄭氏)
나라한국
관향경상남도 진주시
시조정예(鄭藝), 정자우(鄭子友), 정장(鄭莊), 정헌(鄭櫶), 정중공(鄭仲恭), 정온(鄭溫), 정신(鄭侁), 정안교(鄭安校)
집성촌경상남도 진주시·남해군·하동군
전라남도 영광군·화순군·광양시
전북특별자치도 고창군
충청남도 서산시
평안북도 녕변군
주요 인물정온, 정이오, 정척, 정분, 정경세, 정일형, 정헌주, 정윤주, 정원식, 정일성, 정철기, 정균환, 정대철, 정홍원, 정화원, 정상용, 정병석, 정헌율, 정성호, 정미경, 정성찬
인구(2015년)324,521명

진주 정씨(晉州 鄭氏)는 경상남도 진주시를 본관으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정예(鄭藝), 정자우(鄭子友), 정장(鄭莊), 정헌(鄭櫶) 등 시조를 달리하는 여덟 계통이 있다.

역사[편집]

신라 건국 6부족의 하나인 진지촌(珍支村)의 지백호(智伯虎)를 원시조로 한다. 지백호 이후의 계대가 밝혀진 바가 없어 이를 증명할 수 없어 진주정씨에는 뿌리가 다른 여덟 계통의 정씨가 있다. 이를 진주8정(晋州八鄭)이라고 한다. 그중 4개 파가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정예(鄭藝), 정자우(鄭子友), 정장(鄭莊), 정헌(鄭櫶)을 시조로 하는 4계통으로 크게 구분하는 것이 통설이다.

  • 시조 정예(鄭藝)는 고려 통합 삼한벽상공신 광록대부(光祿大夫)·문하시중 평장사(門下侍中 平章事)를 지냈다. 그 후의 세계가 실전되어 문익공(文翼公) 정시양(鄭時陽)을 일세조(一世祖)로 하여 계대(系代)하고 있다.
  • 시조 정자우(鄭子友)는 호장(戶長)을 지냈다. 정자우의 6세손으로 고려 현종 때 진양부원군(晉陽府院君)에 봉해진 정신열(鄭臣烈)을 중조(中祖)로 하는 파(派)와 7세손 정중공(鄭仲恭)을 중조로 하는 파, 8세손인 좌우위보승중랑장(左右衛保勝中郞將) 정보경(鄭普卿)을 중조로 하는 파로 나누어진다.
  • 시조 정장(鄭莊)은 고려 말엽에 통정첨지중추원사(通政僉知中樞院事)를 지냈다. 정장의 4세손 정척(鄭陟)은 조선 태종 때 판윤(判尹)을 지냈으며, 그를 중조로 하는 파도 있다.
  • 시조 정헌(鄭櫶)은 고려 말에 문하시랑 평장사로 진산부원군에 봉해졌다. 둘째 아들 정택(鄭澤)은 감찰어사(監察御使)를 지냈으며 그를 중조로 하는 어사공파(御史公派)도 있다.

본관[편집]

진주(晉州)는 경상남도 서부에 위치한 지명이다. 본래 백제의 거렬성(居烈城)이다. 663년(문무왕 3) 신라에 편입되어 거타주(居陀州)가 설치되었으며, 685년(신문왕 5)에 청주(菁州)를 설치하였다가, 757년(경덕왕 16)에 강주도독부(康州都督府)로 개칭되었다가 혜공왕 때 청주(菁州)로 개칭되었다. 고려 건국 후 940년(태조 23)에 다시 강주로 환원되었고, 983년(성종 2)에 12목의 하나인 진주목으로 개편하였다. 995년(성종 14)에는 정해군(定海軍)이라 하고 절도사(節度使)를 두어 산남도(山南道)에 속하게 하였다. 1012년에 안무사(按撫使)로 고쳤다가, 1018년(현종 9)에 진주목으로 복구되었다. 1392년(태조 1) 조선 건국 후 진양대도호부(晉陽大都護府)로 승격하였다가 1402년(태종 2)에 진주목으로 환원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에 경상도 진주목의 토성(土姓)으로 정(鄭)·(河)·(姜)·(蘇) 4성이 기록되어 있다.[1]

1896년 경상남도 진주군으로 개편되었다. 1939년 진주읍이 시로 승격하면서 나머지 지역이 진양군으로 개칭되었으며, 1995년 진양군이 진주시에 통합되었다.

분파[편집]

진주8정(晉州八鄭)으로 불렸던 진주 정씨(晉州 鄭氏)는 동성동본이면서도 세계를 달리하는 8계통으로 계대(繼代)를 이어왔다.

정예계

  • 충장공파(忠莊公派) 정분(鄭苯)
    • 효자공파(孝子公派)(장흥파): 정광로(鄭光露)
    • 익은공파(匿隱公派)(진주파): 정준(鄭遵)
    • 문영공파(文英公派): 정지산(鄭之産)
  • 지평공파(持平公派): 정순(鄭蓴)
  • 대사성공파(大司成公派): 정여(鄭茹)
  • 담계공파(淡溪公派): 정온(鄭蘊)
  • 석성공파(石城公派): 정종오(鄭從吾)
  • 목사공파((牧使公派): 정효안(鄭孝安)
  • 제학공파(提學公派): 정천귀(鄭天貴)
  • 화헌공파(和軒公派): 정결(鄭缺)
  • 충장공 황파(忠莊公 璜派): 정황(鄭璜)
  • 부원군파(府院君派): 정작(鄭作)
  • 내부사공파(內府事公派): 정안교(鄭安校)
  • 첨정공파(僉正公派): 정중공(鄭仲恭)

정자우계

  • 은열공파(殷烈公派): 정자우(鄭子友)

정헌계

  • 우곡공파(愚谷公派): 정온(鄭溫)
  • 어사공파(御史公派): 정택(鄭澤)
  • 지후공파(祗侯公派): 정신(鄭侁)

정장계

  • 공대공파(恭戴公派): 정장(鄭莊)

인물[편집]

  • 정온(鄭溫) - 고려 자헌대부(資憲大夫)
  • 정이오(鄭以吾) - 고려 말 조선 초 문신(예문관대제학)
  • 정분(鄭苯) - 조선 단종 때 우의정
  • 정척(鄭陟) - 조선시대의 문신(지중추원사)
  • 정경세(鄭經世) - 조선시대의 학자
  • 정기룡(鄭起龍) - 조선시대의 문신(울산부사)
  • 정사제(鄭思悌) - 조선시대의 의병
  • 정성근(鄭誠謹) - 조선시대의 문신(좌부승지)
  • 정필달(鄭必達) - 조선시대의 문신(첨지중추부사)

집성촌[편집]

항렬자[편집]

  • 충장공 효자공파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한(漢)
해(海)
제(濟)
口식(植)
口모(模)
口채(采)
연(然)
병(炳)
형(炯)
口기(基)
口효(孝)
口달(達)
종(鍾)
용(鎔)
진(鎭)
口태(泰)
口호(浩)
口수(洙)
상(相)
병(秉)
래(來)
口현(炫)
口희(熹)
口혁(爀)
재(在)
규(圭)
채(埰)
口석(錫)
口호(鎬)
口일(鎰)
영(永)
순(淳)
택(澤)
口빈(彬)
口표(杓)
口근(根)
경(炅)
영(煐)
찬(燦)
  • 충장공 익은공파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口현(鉉) 영(永) 口식(植) 대(大) 口효(孝) 종(鍾) 口순(淳) 동(東) 口열(烈) 중(重) 口석(錫) 태(泰) 口상(相) 용(容)
  • 충장공 문영공파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헌(憲) 口희(喜) 종(鍾) 口순(淳) 근(根) 口묵(黙) 치(致) 口선(善) 해(海) 口래(來) 대(大) 口중(中) 경(庚) 口구(求)
  • 은열공파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36세 37세 38세 39세 40세 41세 42세 43세 44세 45세
口환(煥) 재(載) 口호(鎬) 원(源) 口식(植) 연(然) 口주(周) 종(鍾) 口영(永) 병(秉) 口덕(悳) 균(均) 口흠(欽) 호(浩) 口근(根) 희(熙) 口배(培) 진(鎭) 口순(淳) 병(炳) 口휴(烋) 시(時) 口용(鎔) 제(濟)
  • 공대공파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34세 35세
口화(和)
口영(榮)
용(容)
형(炯)
口기(基)
口경(坰)
옥(鈺)
현(鉉)
口홍(洪)
口수(洙)
상(相)
동(東)
口열(烈)
口환(煥)
치(致)
재(載)
口석(錫)
口호(鎬)
연(演)
태(泰)
口주(柱)
口근(根)
병(炳)
홍(烘)
口교(敎)
口평(坪)
종(鍾)
동(銅)
  • 어사공파
20세 21세 22세 23세 24세 25세 26세 27세 28세 29세 30세 31세 32세 33세
동(東) 口묵(黙) 재(在) 口진(鎭) 영(泳)
해(海)
口식(植)
口화(禾)
환(煥)
연(然)
口기(基) 현(鉉) 口호(浩) 수(樹) 口섭(燮) 주(周) 口종(鍾)

인구[편집]

  • 2000년 74,777가구, 238,505명
  • 2015년 진주 정씨 197,242명 + 진양 정씨 127,279명 = 324,521명

조선 왕실과의 인척관계[편집]

각주[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