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렴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정렴(鄭磏: 1506년 3월 28일(음력 3월 4일)~1549년 8월 8일(음력 7월 16일)[1])은 조선 전기의 학자이다. 자(字)는 사결(士潔)이며, 호(號)는 북창(北窓)이다.[2] 본관은 온양(溫陽)[1]이다. 장악원 주부와 관상감, 혜민서의 교수를 역임하였다.[3]

이력[편집]

여러 나라 언어에 능통했다.[4] 또한 의술에 정통해 궁중에 여러 차례 불려가기도 했다.[5] 1537년(중종 32년)에 사마시에 합격했다.[1]

부친 정순붕이 을사사화의 주역이 되자 이를 적극 말리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여,[6] 관직을 버리고 '거짓으로 미친 체를 하며'[7] 경기도 과천 관악사(冠岳寺), 양주 괘라리(掛羅里), 광주 청계사(淸溪寺) 등에 은거하였다가 44세로 사망했다.[1] 화담 서경덕의 수제자인 박지화와 친한 사이였다.[8] 미수 허목은 "정렴은 남과 이야기 할 때는 단 한마디라도 공자의 학문에서 벗어난 적이 없으니, 그 깨달음은 중과 같고 그 행적은 노자와 같았으나, 사람을 가르치는 데는 성인으로 종지를 삼아서였을 것이다"라고 평하였다.[2]

저서[편집]

  • 《북창고옥양선생시집》(北窓古玉兩先生詩集): 아우인 정작의 작품과 같이 실려 있다.
  • 《삼현주옥》(三賢珠玉): 송인수, 성제원의 작품과 같이 실려 있다. 위의 문집에는 30여 편이 실려 있는데, 이 책에는 80여 편이 실려 있다.
  • 용호비결》 : 단전호흡 교재

전기 자료[편집]

  • 《을사전문록》, 정렴 전
  • 성수익, 〈정렴의 행실〉(《삼현주옥》 권 하에 수록됨)
  • 허목, 《기언》 권11, 〈청사열전(淸士列傳)〉, 정북창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성수익, 〈정렴의 행실〉(《국조인물고》 권33 , 휴일(休逸) 및 《삼현주옥》 권 하에 수록됨)
  2. 허목, 《기언》 권11, 〈청사열전(淸士列傳)〉, 정북창
  3. 《삼현주옥》 하권, 행실(성수익 지음)
  4. 권극중, 《청하집》, 〈서(序)〉, 정북창시집서; 이유원, 《임하필기》 권24, 〈문헌지장편〉14, 각국(各國)의 언어로 말하다
  5. 《중종실록》 권105, 중종 39년(1544년) 11월 3일(무술) 2번째 기사; 《인종실록》 권2, 인종 1년(1545년) 7월 4일(갑자) 6번째 기사
  6. 《명종실록》 권1, 명종 즉위년(1545년) 8월 28일(무오) 2번째 기사
  7. 조경, 《용주유고》 권12, 북창 선생이 거짓으로 미친 체한 데 대한 변론
  8. 허목, 《기언 별집》 권26, 박수암 사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