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주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일본의 주화 문서에서는 일본에서 유통되고 있는 주화와 유통된 적이 있는 주화에 관해 서술해 놓았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주화[편집]

현재 일본에서 제조, 발행, 유통되는 주화는 유통 목적으로 만들어지는 1엔 동전, 5엔 동전, 10엔 동전, 50엔 동전, 100엔 동전, 500엔 동전과 기념주화로 나눌 수 있다. 하지만 기념주화는 거의 유통되지 않는다. 화폐의 발행에 관한 업무는 정부에서 맡고 있고, 재무 대신은 화폐의 제조에 관한 사무를 일본 조폐국에게 위임, 감독하고 있다.

주화 이름 질량 및 크기 특징 재료
1엔 동전 지름:20mm
무게:1g
두께:1.54mm
  • 앞면:새싹, 일본국, 일엔 한자 표시.
  • 뒷면:아라비아 숫자 1과 연호 표시.
5엔 동전 지름:22mm
구멍 지름:5mm
무게:3.7g
두께:1.5mm
  • 앞면:벼 이삭, 오엔 한자 표시.
  • 뒷면:일본국, 연호 표시.
  • 구멍 있음.
10엔 동전 지름:23.5mm
무게:4.5g
두께:1.3mm
  • 앞면:평등원 봉황당 그림과 일본국, 십엔 한자 표시.
  • 뒷면:월계수 잎 그림, 아라비아 숫자 10과 연호 표시.
50엔 동전
지름:21mm
구멍 지름:4mm
무게:4g
두께:1.5mm
  • 앞면:국화 그림과 일본국, 오십엔 한자 표시.
  • 뒷면:아라비아 숫자 50과 연호 표시.
  • 구멍 있음.
100엔 동전 지름:22.6mm
무게:4.8g
두께:1.7mm
  • 앞면:벚꽃, 일본국, 백엔 한자 표시.
  • 뒷면:아라비아 숫자 100과 연호 표시.
500엔 동전 지름:26.5mm
무게:7g
두께:2.0mm
  • 앞면:일본국과 오백엔 한자 표시.
  • 뒷면:아라비아 숫자 500과 연호 표시.
  • 니켈 황동

연혁[편집]

  • 1948년: 구멍이 없는 5엔 황동화 발행 (도안 소재: 일본 국회의사당)
  • 1949년: 구멍이 뚫린 5엔 황동화 발행 (도안 소재: 벼 이삭, 물, 톱니바퀴)
  • 1953년: 테두리에 톱니무늬가 새겨진 10엔 황동화 발행
  • 1955년: 1엔 알루미늄화 발행
  • 1955년: 구멍이 없는 50엔 니켈화 발행 (도안 소재: 국화)
  • 1957년: 100엔 은화 발행 (도안 소재: 봉황)
  • 1959년: 테두리가 평평한 10엔 황동화 발행
  • 1959년: 도안 소재를 벼 이삭으로 바꾼 100엔 은화 발행
  • 1959년: 구멍이 뚫린 50엔 니켈화 발행
  • 1959년: 문자를 구자체에서 신자체로, 서체를 해서체에서 고딕체로 바꾼 5엔 황동화 발행
  • 1967년: 도안 소재를 벚꽃으로 바꾼 100엔 니켈화 발행
  • 1967년: 크기를 줄인 100엔 백동화 발행
  • 1982년: 500엔 백동화 발행
  • 2000년: 위변조 방지 요소를 추가한 500엔 니켈 황동화 발행
  • 2021년: 위변조 방지 요소를 추가한 500엔 바이컬러화 발행

주화의 제도 연도[편집]

주화의 제조 개수는 같을 수도 있지만 대체로 해마다 차이가 있다. 그리고 거의 매년 프루프 처리를 한 프루프 주화나 민트 세트라 불리는 주화 세트도 일본 조폐국에서 판매되고 있다. 이들 주화는 유통용이 아닌 수집용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발행량이 대체로 적다.

최근에는 전자 화폐 보급의 영향으로 인해 1엔, 5엔, 50엔 동전이 유통용 주화로 제조되지 않는 연도도 있는 반면에 10엔, 100엔, 500엔 주화가 강한 수요가 매년 안정적으로 생산되는 경향이 있다.

현재 유통되고 있는 주화 가운데 발행 개수가 비교적 적은 것은 아래와 같다. 여기서는 현행 주화를 기준으로 한다. ※ 표시가 된 주화는 일본 조폐국에서 판매한 민트 세트에 포함된 주화이며 일반 유통용 주화는 존재하지 않는다.

1엔 주화 5엔 주화 10엔 주화
헤이세이 12년 (2000년, 12,026,000개)
헤이세이 13년 (2001년, 8,024,000개)
헤이세이 14년 (2002년, 9,667,000개)
헤이세이 22년 (2010년, 7,905,000개)
※ 헤이세이 23년 (2011년, 456,000개)
※ 헤이세이 24년 (2012년, 659,000개)
※ 헤이세이 25년 (2013년, 554,000개)
※ 헤이세이 28년 (2016년, 574,000개)
※ 헤이세이 29년 (2017년, 477,000개)
※ 헤이세이 30년 (2018년, 440,000개)
※ 헤이세이 31년 (2019년, 566,000개)
※ 레이와 원년 (2019년, 502,000개)
쇼와 28년 (1953년, 45,000,000개)
쇼와 32년 (1957년, 10,000,000개)
쇼와 34년 (1959년, 33,000,000개)
쇼와 35년 (1960년, 34,800,000개)
쇼와 42년 (1967년, 26,000,000개)
헤이세이 12년 (2000년, 9,030,000개)
헤이세이 17년 (2005년, 16,029,000개)
헤이세이 18년 (2006년, 9,594,000개)
헤이세이 19년 (2007년, 9,904,000개)
헤이세이 20년 (2008년, 9,811,000개)
헤이세이 21년 (2009년, 4,003,000개)
※ 헤이세이 22년 (2010년, 510,000개)
※ 헤이세이 23년 (2011년, 456,000개)
※ 헤이세이 24년 (2012년, 659,000개)
※ 헤이세이 25년 (2013년, 554,000개)
쇼와 32년 (1957년, 50,000,000개)
쇼와 33년 (1958년, 25,000,000개)
쇼와 34년 (1959년, 62,400,000개)
쇼와 61년 (1986년, 68,960,000개)
쇼와 64년 (1989년, 74,692,000개)
50엔 주화 100엔 주화 500엔 주화
쇼와 60년 (1985년, 10,150,000개)
쇼와 61년 (1986년, 9,960,000개)
※ 쇼와 62년 (1987년, 775,000개)
헤이세이 12년 (2000년, 7,026,000개)
헤이세이 13년 (2001년, 8,024,000개)
헤이세이 14년 (2002년, 11,667,000개)
헤이세이 15년 (2003년, 10,406,000개)
헤이세이 16년 (2004년, 9,903,000개)
헤이세이 17년 (2005년, 10,029,000개)
헤이세이 18년 (2006년, 10,594,000개)
헤이세이 19년 (2007년, 9,904,000개)
헤이세이 20년 (2008년, 8,811,000개)
헤이세이 21년 (2009년, 5,003,000개)
※ 헤이세이 22년 (2010년, 510,000개)
※ 헤이세이 23년 (2011년, 456,000개)
※ 헤이세이 24년 (2012년, 659,000개)
※ 헤이세이 25년 (2013년, 525,000개)
헤이세이 26년 (2014년, 7,538,000개)
헤이세이 31년 (2019년, 1,118,000개)
헤이세이 13년 (2001년, 8,024,000개)
헤이세이 14년 (2002년, 10,667,000개)
쇼와 62년 (1987년, 2,775,000개)
쇼와 64년 (1989년, 16,042,000개)

제조되지 않은 연도[편집]

생산 과잉 등의 이유로 주화가 제조되지 않은 연도가 있다. 현행 주화의 발행 기간 동안에 생산되지 않은(존재하지 않는) 연도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는 현행 주화를 기준으로 한다.

  • 1엔: 쇼와 43년(1968년)
  • 5엔: 쇼와 29년(1954년), 쇼와 30년(1955년), 쇼와 31년(1956년)
  • 10엔: 쇼와 31년(1956년)
  • 50엔: 쇼와 64년(1989년)
  • 100엔: 쇼와 64년(1989년)
  • 500엔: 없음

기념주화[편집]

일본에서는 1964년에 발행된 1964년 도쿄 하계 올림픽 기념 1,000엔 주화를 시작으로 현재까지 50차례 이상에 걸쳐 기념주화가 발행되었다. 2008년부터 2016년까지는 일본을 구성하는 47개 도도부현을 주제로 한 지방자치법 시행 60주년 기념주화가 발행되었다.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