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6념(六念, 산스크리트어: ṣaḍ-anusmṛti, sad anusmrtayah, 팔리어: cha anussati-ṭṭhānāni, 티베트어: rjes su dran pa drug, 영어: six kinds of mindfulness, six lines of thought)은 다음의 분류, 그룹 또는 체계의 한 요소이다.[1][2][3]

6념6념법(六念法) · 6념처(六念處) 또는 6수념(六隨念)으로 불린다.

(念, 산스크리트어: smṛti, 팔리어: sati)의 마음작용(觀), 정념(正念), 4념처(四念處), 끊임없는 수동적 관찰, 명기(明記)와 불망(不忘), 주의집중, 불산란 등을 뜻하며, 영어로는 mindfulness, awareness, inspection, recollection, retention, memory 등으로 번역된다.

6념은 《장아함경》 제2권, 《잡아함경》 제33권, 《북본열반경》 제18권, 《관불삼매경》 제6권, 《대지도론》 제22권, 《해탈도론》 제3권, 《대승의장》 제20권 등에 나오는 수행법으로 초기불교, 북방남방부파불교, 대승불교 전체에 걸친 불교 일반의 보편적인 수행법이다.[4][5][6]

6념여섯 가지 생각으로 번역되며,[7][8] 다음의 6가지 (念)을 사용한 수행을 말한다. 《잡아함경》 제33권 〈931. 수습주경(修習住經)〉의 용어와 표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염불(念佛) - 여래을 생각함[念如來事] - 여래(如來) · (應) 등의 여래10호[주해 1]
  2. 염법(念法) - 에 대해 생각함[念於法事] - 세존(法)과 (律)
  3. 염승(念僧) - 비구에 대해 생각함[念於僧事] - 4쌍8배(四雙八輩)의 현성(賢聖)
  4. 염계(念戒) - 를 생각함[念戒] - 정계(淨戒) · 불괴계(不壞戒) 등의 (戒)
  5. 염시(念施) - 보시을 생각함[念施事] - 보시[施]와 사법(捨法)
  6. 염천(念天) - 모든 하늘을 생각함[念諸天事] - 4대천왕(四大天王) · 33천(三十三天) 등의 (天)

참고 문헌[편집]

주해[편집]

  1. 염불(念佛)의 다른 말로서의 염여래사(念如來事) 즉 '여래을 생각함[念如來事]'에서 ''이라고 번역되는 '(事)'는 여래가 행하는 일이 아니라 여래의 본질적 모습으로서의 '구체적 사항[事]'을 말한다. 즉, 여래10호의 낱낱[事]을 말한다. 즉, 여래(如來) · 응공(應供) · 등정각(等正覺) · 명행족(明行足) · 선서(善逝) · 세간해(世間解) · 무상사(無上士) · 조어장부(調御丈夫) · 천인사(天人師) · 불세존(佛世尊)이라는 10가지 호칭 '각각의 본질[事]' 또는 '각각의 의미[事]'를 말한다.

각주[편집]

  1. 고려대장경연구소, "육념 六念".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육념 六念:
    * ⓟcha anussati-ṭṭhānāni
    * ⓣrjes su dran pa drug
    * ⓢṣaḍ-anusmṛti
    * ⓔthe six lines of thought
    1]여섯 가지 사념(思念). 주로 재가자가 명심해야 할 여섯 가지 사항. 부처와 같게 되기를 생각하는 염불(念佛), 부처님이 설한 법을 증득하여 널리 퍼뜨리기를 생각하는 염법(念法), 스님처럼 수행하기를 생각하는 염승(念僧), 정진하여 계율을 지키기를 생각하는 염계(念戒), 선(善)을 베풀어 중생을 감싸 안기를 생각하는 염시(念施), 공덕을 갖추어 천계(天界)에 태어나기를 또는 열반을 얻기를 생각하는 염천(念天).
    [동]육념처(六念處), 육수념(六隨念)."
  2. DDB, "六念".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六念:
    Pronunciations: [py] liùniàn [wg] liu-nien [hg] 육념 [mc] yungnyeom [mr] yungnyŏm [kk] ロクネン [hb] rokunen [qn] lục niệm
    Basic Meaning: six kinds of mindfulness
    Senses:
    # The six thoughts to dwell upon according to the Dīrghâgama: Buddha 念佛, the dharma 念法, the saṃgha 念僧, the precepts 念戒, almsgiving 念施, and heaven with its prospective joys 念天. Also written 六念法, 六隨念, and 六念處. (Skt. ṣaḍ anusmṛtayaḥ; Pāli cha-anussati-ṭṭhānāni). 〔長阿含經 T 001.1.012a14; 梵網經古迹記 HBJ 3.429a19; T 1815.40.694a22〕 There are other lists of six in different texts. [Charles Muller; source(s): Soothill, Hirakawa]
    [Dictionary References]
    Bukkyō jiten (Ui) 1141
    Bulgyo sajeon 678a
    Zengaku daijiten (Komazawa U.) 1320a
    Zengo jiten (Iriya and Koga) 6-P97
    Bukkyōgo daijiten (Nakamura) 1459a
    Fo Guang Dictionary 1271
    Ding Fubao
    Buddhist Chinese-Sanskrit Dictionary (Hirakawa) 0166
    Bukkyō daijiten (Mochizuki) (v.1-6)5073c,4223b
    Bukkyō daijiten (Oda) 1840-1
    (Soothill's) Dictionary of Chinese Buddhist Terms 135"
  3. 星雲, "".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念: (一)梵語 smrti 或 smriti,巴利語 sati。心所(心之作用)之名,即對所緣之事明白記憶而不令忘失之精神作用。又作憶。於俱舍宗,以之為十大地法之一,唯識宗列為五別境之一。以其具有殊勝力,而為五根、五力之一,稱為念根、念力。「失念」即相反義。〔品類足論卷一、俱舍論卷四、成唯識論卷五、大毘婆沙論卷四十二、瑜伽師地論卷五十五〕
    (二)指觀念、口念、心念。觀念,即觀想佛體、佛法等;口念,即以口稱佛之名號,又作稱名念佛;心念,為口念之對稱,即以心想念佛菩薩等,或謂與觀念同義。此類觀念、口念、心念等之攝念法門,散見於諸經論中,如增一阿含經卷一之十念品、卷二廣演品、諸經要集卷三所詳說之「十念」,即為十種觀想、思念,以思想十個對象,止息妄想,令心不動亂。詳稱十隨念,即(一)念佛(梵 buddhānusmrti),專精繫想如來之相好功德。(二)念法(梵 dharmānusmrti),專精繫想修行軌則及諸佛教法。(三)念眾(梵 savghānusmrti),又作念僧。專精繫想四雙八輩之聖眾。(四)念戒(梵 śīlānusmrti),專精繫想持戒能止諸惡、成就道品。(五)念施(梵 tyāgānusmrti),又作念捨。專精繫想布施能破慳貪,生長福果,利益一切,而無後悔心及求報心。(六)念天(梵 devānusmrti),專精繫想諸天成就善業,感得勝身,眾福具足;我亦如是修善業,感得如是身。(七)念休息(梵 upasamānusmrti),專精繫想於寂靜之處閑居,屏息一切緣務,修習聖道。(八)念安般(梵 ānāpānasmrti),又作念入出息。安般,為安那般那之略稱,指入出息。念安般,即專精繫想,攝心靜慮,數出入息,覺知其長短,除諸妄想。(九)念身非常(梵 kāyagatasmrti),又作念身。專精繫想此身為因緣假和合,髮毛、爪齒等無一為真實常住者。(十)念死(梵 maranasmrti),專精繫想人生如夢幻,不久即將散壞。其中,初三者稱為三念,初六者稱為六念、六隨念、六念處,初八者稱為八念。
    於上記所舉之十隨念,大乘義章卷十二另有開合,即於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六念,加念出入息、念死、念滅、念身,而成十念。光讚般若經卷七就菩薩之行法,列舉念佛、念法、念聖眾、念戒、念布施、念天、念恬泊、念無所起、念觀身、念當終亡等十念。菩薩受齋經亦謂菩薩受齋戒有十念,當護之、思惟之,惟經文中僅列舉九項,即:念過去佛、念未來佛、念一切十方之現在佛、念尸波羅蜜持戒、念禪波羅蜜、念漚和拘舍羅、念般若波羅蜜、念禪三昧六萬菩薩在阿彌陀佛所、念過去當來今現和上阿闍黎等。此外,彌勒所問經亦有「慈等十念」之說,謂根機較殊勝之菩薩,可藉憶念慈、悲等十法即能往生淨土。另如淨土宗之重要稱念法門中,有「稱名十念」之說,乃指念佛相好或稱名念佛時,心無他想,凝思繫念,相續十憶念;或指十聲之稱名念佛。〔俱舍論卷四、大乘廣五蘊論〕(參閱「十念」445)
    (三)行五法之一。即念世間為欺誑不實者,毋須眷戀;而知珍視禪定、智慧等之修行。(參閱「行五法」2552)
    (四)菩薩位次之名,即十信位中之第二位。(參閱「十信」454)
    (五)指極短之時間。諸經論中,以一剎那、六十剎那,或九十剎那等,稱為一念。〔大智度論卷十五、卷六十、摩訶止觀卷三之三〕(參閱「一念」48、「剎那」3731)p3206"
  4. 구글 CBETA 검색, "六念 念天".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六念 念天:
    CBETA T01 No. 13《長阿含十報法經》卷1
    www.cbeta.org/result/normal/T01/0013_001.htm
    T01n0013_p0236a27(00)║「第八六法,當令有六念,一為念佛、
    T01n0013_p0236a28(03)║二 ... 者、四為念戒,五為念與、 T01n0013_p0236a29(
    01)║六為念天。
    CBETA T01 No. 12《大集法門經》卷2
    www.cbeta.org/result/normal/T01/0012_002.htm
    T01n0012_p0231c19(00)║「復次,六念,是佛所說。謂念佛,念法、念僧、
    T01n0012_p0231c20(00)║念戒、念施、念天。 T01n0012_p0231c21(00)║「復次
    ,六行, ...
    CBETA T01 No. 1《長阿含經》卷2
    www.cbeta.org/result/normal/T01/0001_002.htm
    T01n0001_p0012a15(03)║四者念戒,五者念施,六者念天。修此六念,
    T01n0001_p0012a16(03)║則法增長,無有損耗。」 T01n0001_p0012a17(00)║爾
    時,世尊 ...
    CBETA T01 No. 1《長阿含經》卷9
    www.cbeta.org/result/normal/T01/0001_009.htm
    謂六念: T01n0001_p0054a20(01)║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T01n0001_p0054a21(07)║云何六覺法?謂六內入,眼入、耳入、鼻入、舌入、身入
    、意入。"
  5. 구글 CBETA 검색, "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CBETA T12 No. 374《大般涅槃經》卷18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12/0374_018.htm
    T12n0374_p0468a13(11)║云何復名一切世間所不知見覺。而是菩薩所知見覺。
    所謂六念處。 T12n0374_p0468a14(02)║何等為六。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CBETA T85 No. 2819《諸經要抄》卷1
    www.cbeta.org/result/normal/T85/2819_001.htm
    T85n2819_p1192c29(00)║佛告舍利弗。若有比丘教餘比丘。
    T85n2819_p1193a01(04)║汝當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T85n2819_p1193a02(07)║唯愛涅槃 ...
    CBETA T47 No. 1960《釋淨土群疑論》卷5
    www.cbeta.org/result/normal/T47/1960_005.htm
    若有比丘。教餘比丘。 T47n1960_p0056c17(02)║汝當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 T47n1960_p0056c18(05)║如是等唯觀涅槃安穩寂滅。唯愛畢竟清淨。如是教者 ...
    CBETA T32 No. 1648《解脫道論》卷3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32/1648_003.htm
    T32n1648_p0411a15(20)║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念死念身念數息念寂寂。又
    四無量心。慈悲喜捨。 T32n1648_p0411a16(05)║觀四大食不淨想。無所有處非 ...
    CBETA T37 No. 1763《大般涅槃經集解》卷40
    www.cbeta.org/result/normal/T37/1763_040.htm
    T37n1763_p0506a08(08)║ 廣誡弘通法者之軌則廣釋六念第一辨十號釋婆伽婆等
    ... 第三約六念法。 .... T37n1763_p0507a13(19)║復次善男子云何復名(至)念僧念戒
    念施念天。 ... T37n1763_p0507a22(00)║善男子云何念佛(至)說中道故名大法師。
    CBETA T17 No. 764《佛說法集名數經》卷1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17/0764_001.htm
    T17n0764_p0660c20(00)║云何六念。 T17n0764_p0660c21(13)║所謂念佛念法
    念僧念戒念施念天。 T17n0764_p0660c22(00)║云何四法印。所謂一切行無常。
    CBETA X74 No. 1467《禮念彌陀道場懺法》卷7
    www.cbeta.org/result/normal/X74/1467_007.htm
    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X74n1467_p0108a13 (03)║以志誠心。深心。迴向
    發願心。稱佛名號。讚佛光明。 X74n1467_p0108a14 (04)║觀佛依正十六妙境。
    CBETA T15 No. 653《佛藏經》卷1
    www.cbeta.org/result/normal/T15/0653_001.htm
    T15n0653_p0784b04(10)║汝當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比丘。汝當觀身取是
    身相。 T15n0653_p0784b05(03)║所謂不淨。當觀一切諸有為法皆悉無常。
    CBETA T11 No. 316《佛說大乘菩薩藏正法經》卷13
    www.cbeta.org/result/normal/T11/0316_013.htm
    念根定根慧根。六法是聖出離道。 T11n0316_p0811a28(02)║謂念佛念法念僧。念
    戒念施念天。 T11n0316_p0811a29(06)║七法是聖出離道。謂擇法覺支精進覺支。
    CBETA T12 No. 375《大般涅槃經》卷16 - CBETA 中華電子佛典協會
    www.cbeta.org/result/normal/T12/0375_016.htm
    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T12n0375_p0710c12(02)║善男子。
    T12n0375_p0710c13(16)║ T12n0375_p0710c14(33)║云何念佛如來應正遍知明
    行足善逝世間 ...
    CBETA X36 No. 659《涅槃經會疏》卷16
    www.cbeta.org/result/normal/X36/0659_016.htm
    X36n0659_p0573c03 (40)║復次善男子云何復名一切世間所不知見覺而是菩薩所
    知見覺所謂六念處何等為六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X36n0659_p0573c04 ...
    CBETA T19 No. 951《一字佛頂輪王經》卷2
    www.cbeta.org/result/normal/T19/0951_002.htm
    發菩提心淨治三業。 T19n0951_p0239a27(04)║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T19n0951_p0239a28(09)║若是俗人常於清旦受八戒齋。不殺盜婬妄語飲酒。
    CBETA X36 No. 658《涅槃經會疏條箇》卷2
    www.cbeta.org/result/normal/X36/0658_002.htm
    X36n0658_p0292a18 (00)║ 明六念下(念佛念法念僧念戒念施念天)
    X36n0658_p0292a19 (00)║ 一念佛(付)佛十號(付)諸經論開合不同.
    X36n0658_p0292a20 ..."
  6. 星雲, "六念". 2013년 4월 24일에 확인
    "六念:  (一)梵語 sad anusmrtayah,巴利語 cha anussati-tthānāni。又作六隨念、六念處、六念法。即:(一)念佛,念佛之大慈大悲無量功德。(二)念法,念如來所說三藏十二部經能利益大地眾生。(三)念僧,念僧具足戒、定、慧,能為世間眾生作良福田。(四)念戒,念戒行有大勢力,能除眾生之諸惡煩惱。(五)念施,念布施有大功德,能除眾生之慳貪。(六)念天,念三界諸天皆因往昔修持淨戒、布施、聞慧等之善根,而得此樂報。大小乘對於念天之解釋不同。大乘依涅槃經之說,天有三種,即:(一)生天,謂三界之諸天。(二)淨天,一切三乘之賢聖。(三)第一義天,即涅槃。又於此三種天之中,大乘之人僅念第一義天。〔雜阿含經卷三十三、北本大般涅槃經卷十八、卷二十五、觀佛三昧海經卷六、大智度論卷二十二、大乘義章卷十二〕
     (二)比丘所必須熟知之六種要事。即:(一)念知日月,念知受戒之月日。(二)念知食處,如全不受請食者,謂我常乞食等;如受請食者,謂我今自食無請處等。(三)念知夏臘,記憶受戒以後之臘數。(四)念知衣鉢,念我三衣一鉢具足,若有長物,則念我有長物,已說淨。(五)念同別食,若與眾同食之時,念我今與眾僧同食;若別食時,念我今以某緣,與眾別而獨食。(六)念身康羸,若無病,則念我今無病,堪能行道;若有病,則念我今有病,應當治療。〔四分律行事鈔資持記卷上三之二〕 p1271"
  7.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 T.99, 제33권 제931경 〈수습주경(修習住經)〉. p. T02n0099_p0237c09 - T02n0099_p0237c21. 6념(六念)
    "(九三一) 如是我聞。 一時。佛住迦毘羅衛國尼拘律園中。 爾時。釋氏摩訶男來詣佛所。稽首禮足。退坐一面。白佛言。世尊。若比丘在於學地。求所未得。上昇進道。安隱涅槃。世尊。彼當云何修習。多修習住。於此法.律得諸漏盡。無漏心解脫.慧解脫。現法自知作證。我生已盡。梵行已立。所作已作。自知不受後有。 佛告摩訶男。若比丘在於學地。求所未得。上昇進道。安隱涅槃。彼於爾時。當修六念。乃至進得涅槃。譬如飢人。身體羸瘦。得美味食。身體肥澤。如是。比丘住在學地。求所未得。上昇進道。安隱涅槃。修六隨念。乃至疾得安隱涅槃。"
  8. 구나발타라(求那跋陀羅) 한역 & K.650, T.99, 제33권 제931경 〈수습주경(修習住經)〉. pp. 1324-1325 / 2145. 6념(六念)
    "931. 수습주경(修習住經)
    이와 같이 나는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 가비라위국 니구율원에 계셨다.
    그 때 석씨 마하남이 부처님께서 계신 곳으로 찾아와서 부처님 발에 머리 조아려 예배하고 한쪽에 물러나 앉아서 부처님께 아뢰었다.
    세존이시여, 만일 비구가 배우는 자리[學地]에 있으면서 아직 얻지 못한 것이 있어서 위로 향해 올라가도록 도를 향해 매진해 안온한 열반을 구하려고 한다면, 세존이시여, 어떤 것을 닦아 익히고 더욱 많이 닦아 익혀 머물러야 이 법과 율에서 모든 번뇌가 다하여 번뇌 없이 마음이 해탈[心解脫]하고 지혜로 해탈[慧解脫]하여 현재 세상에서 스스로 증득한 줄을 알아 '나의 생은 이미 다하고 범행(梵行)은 이미 섰으며, 할 일은 이미 마쳐 후세의 몸을 받지 않는다'고 스스로 알게 되겠습니까?
    부처님께서 마하남에게 말씀하셨다.
    만일 비구로서 배우는 자리에 있으면서 아직 얻지 못한 것이 있어서 위로 향해 올라가도록 도를 향해 매진해 안온한 열반을 구하려고 한다면, 그는 그 때에 마땅히 여섯 가지 생각[六念]을 닦아야……(내지)……더욱 매진하여 열반을 얻게 될 것이다. 비유하면 굶주린 사람이 몸이 여위었을 때 맛있는 음식을 먹으면 그의 몸이 살찌고 윤택해지는 것처럼, 비구가 배우는 자리에 머물러 있으면서, 아직 얻지 못한 것이 있어서 위로 향해 올라가도록 도를 향해 매진해 안온한 열반을 구하려고 한다면, 여섯 가지 생각을 닦아야 안온한 열반을 빨리 얻게 될 것이다.
    15) 소경은 『별역잡아함경』 제8권 25번째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