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프로젝트:철도/철도역/내용 구성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역 문서 예시[편집]

서울역앞(동자)
(남대문)
승강장
승강장
Map
개괄
관할 기관 서울메트로
소재지 서울특별시 중구 청파로20길 지하2
좌표 북위 37° 33′ 20.79″ 동경 126° 58′ 20.90″ / 북위 37.5557750° 동경 126.9724722°  / 37.5557750; 126.9724722
개업일 1974년 8월 15일
역 번호 50/133
승강장수 1면 2선 (섬식)
거리표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앞 기점 0.0 km
시청앞
(1.1 km)

서울역(동자)역(서울驛(東子)驛)은 서울특별시 중구에 위치한 서울 지하철 1호선전철역이다. 인천, 수원 방면의 열차가 운행한다.

역 구조[편집]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으로, 남영역 방향으로 회차 선로가 마련되어 있다.

승강장
1 국철 구로·인천·수원 방면
2 서울 지하철 1호선 종로3가·청량리·성북 방면

역 주변[편집]

주요 시설[편집]

역사[편집]

일평균 승차량 변동[편집]

노선 승차 인원
1974년 1975년 1976년
1호선[1] 3000 3155 4334

인접정차역[편집]

경부본선 · 시흥연결선 · 경부고속선
시·종착역 KTX
경부고속선
광명
부산 방면
경부본선 · 서울 지하철 1호선
48 용산
인천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급행
52 종각
소요산 방면
49 남영
인천 방면
천안 방면
수도권 전철 1호선
경의선 완행
경부선 완행
51 시청
소요산 방면
광운대 방면

각주[편집]

  1. 서울특별시 지하철 통계
{{한국고속철도}}
{{수도권 1호선}}

[[분류:서울특별시의 철도역]]
[[분류:기타등등]]

가이드라인[편집]

공통 기준[편집]

{{철도역 정보}} 내용 작성 기준
  • 제일 위에 {{철도역 정보}}가 와야 합니다.
  • {{철도역 정보}}의 역명 칸에는 주역명과 병기역명만 적습니다. 하나의 역에 역명이 여러 개일 경우 슬래시(/)를 이용하여 구분합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광운대역 문서를 참조하세요.
  • {{철도역 정보}}의 역명2 칸에는 부기역명만 적습니다. 병기역명과 부기역명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위키프로젝트:철도/병기역명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신창역 문서를 참조하세요.
  • {{철도역 정보}}의 배경색 칸에는 해당 역사를 관리하는 회사의 색상을 {{한국 철도 노선색}}을 이용하여 넣습니다. 노선색을 넣는 것이 아닙니다. 대한민국 이외 국가 철도의 경우, RGB값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합니다.
  • {{철도역 정보}}의 소재지 항목에는 대한민국의 철도역인 경우 국가명을 생략하고 도로명 주소를 적습니다. 도로명 주소가 없는 경우에 한해서만 지번 주소를 허용합니다. 도로명 주소 뒤에는 법정동을 적지 않습니다. 광역자치단체와 지방자치단체명에는 해당 시, 도, 군, 구 문서로 갈 수 있도록 링크를 만들어 주시기 바랍니다. 도로명은 “○○로”일 경우 그대로 링크를 걸어주고, “○○로0길” 또는 “○○로0번길”, “○○로0가길”, “○○로0번안길” 등의 경우 “○○로”로 가도록 링크를 걸어 주세요.“○○길”, “○○1로” 또는 ‘○○1길’의 경우에는 링크를 걸지 않습니다. 번호 앞에 지하가 올 경우 지하와 숫자는 붙여 쓰도록 합니다. 또한, 도로명과 번호 사이에 자동으로 줄넘김이 발생하는 경우 가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도로명 앞에서 강제개행을 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한민국 이외의 철도역의 경우, 국가명을 포함하여 해당 국가의 공식적인 주소 체계를 이용하여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
  • {{철도역 정보}}의 개업일 칸에는 대한민국 정부 소유의 철도일 경우 법적인 사용개시 고시일을 적어 주시기 바랍니다. 이외의 경우에는 실제 열차 개통일을 적습니다.
  • {{철도역 정보}}의 노선 칸에는 선로의 공식 명칭을 적습니다. 운행계통 또는 별칭을 적지 않습니다.
  • {{철도역 정보}}의 영업거리, 전역, 전거리, 후역, 후거리 칸에는 철도영업거리표상의 정보를 기입합니다. 전역과 후역에는 주역명만 적습니다. 병기역명과 부기역명을 적으면 안 됩니다. 영업거리에는 km를 같이 적어 주시고, 전거리와 후거리에는 km를 적지 말아 주세요.
  • {{철도역 정보}}의 바로 다음 줄, 문서 본문의 첫줄에는 해당 역의 공식 명칭을 먼저 굵은 글씨로 적고 바로 뒤에 국한문혼용 표기를 괄호 안에 적습니다.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이외의 국가의 철도역의 경우, 괄호 안에 국한문혼용 표기 대신에 해당 국가의 원어 표기를 {{llang}}을 이용하여 표기합니다. 하나의 문서에 서로 이름이 다른 역들을 합쳐서 서술할 경우 두 역명을 모두 적어줍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청량리역 문서를 참조하세요.
{{인접정차역}} 내용 작성 기준
  • {{인접정차역}}은 해당 역에 정규 여객 열차가 일주일에 1회 이상 정차할 때에만 입력합니다.
  • {{인접정차역}}에 넣는 운행계통은, 시종착역이 동일하면서 같은 선로를 따라 운행하는 것은 중간 정차역과 무관하게 하나의 운행계통으로 취급합니다. 또한, 같은 선로를 따라 운행하면서 시종착역이 다른 운행계통의 중간경유지에 해당하는 경우 그 운행계통은 더 긴 운행계통에 포함되는 계통으로 취급하여 따로 적지 않습니다. 예를 들어, 서울-부산 경부선 계통의 경우 서울, 대전, 동대구, 부산을 정차하는 열차와 서울, 수원, 김천, 밀양, 부산을 정차하는 열차는 같은 운행계통입니다. 그리고 서울 - 대전만 운행하는 열차는 서울 - 부산 열차의 하위 계통으로 취급하여 따로 적지 않습니다. 하지만, 서울 - 해운대 열차는 서울역부터 사상역까지는 서울-부산 열차와 이동 경로가 완전히 일치하지만 그 이남 부분은 다른 선로를 따라 운행하기 때문에 서로 다른 운행계통이 됩니다.
  • {{인접정차역}}의 노선 칸에는 아래 서술할 운행계통의 열차가 전역과 후역을 지나면서 밟게 되는 모든 노선의 공식 명칭을 다 적습니다. 노선 칸에 들어갈 노선이 완전히 동일한 경우에는 여러 운행계통을 연달아 적어주고, 제일 먼저 적은 운행계통의 노선 칸에만 입력한 후 나머지 운행계통의 노선 칸은 비워줍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묶이게 됩니다.
  • {{인접정차역}}의 종별 칸에는 서술할 운행계통의 열차등급을 {{한국 도시철도}}를 이용하여 입력하고 강제개행한 후 해당 계통이 무엇인지 적습니다. 대한민국의 도시철도를 제외한 모든 운행계통은 직접 입력합니다. 같은 운행계통이라면 다른 역 문서를 보더라도 해당 계통의 정보를 연속적으로 볼 수 있도록, 다른 역 문서의 인접정차역에도 동일하게 계통명을 적어 주어야 합니다. 대한민국의 운행계통은 {{KTX}}, {{ITX}}, {{무궁화호}} 등에 모두 기재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여 편집하시면 됩니다.
  • {{인접정차역}}의 전색과 후색 칸에는 해당 운행계통의 색상을 {{한국 철도 노선색}}을 이용하여 넣습니다. 대한민국 이외 국가의 경우, RGB값을 이용하여 직접 입력합니다.
  • {{인접정차역}}의 전역과 후역 칸에는 해당 운행계통의 모든 열차 중에서 단 한 번이라도 정차한다면 그 중 가장 가까운 역을 입력합니다. 가장 가까운 역이 현재 편집 중인 역에서 출발하는 열차 중에서는 정차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같은 운행계통이라면 적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는 서울역과 용산역을 동시에 정차하지 않지만 부산에서 출발하여 용산역에 정차하는 경부선 무궁화호 열차가 하루 한 대 존재하기 때문에 서울역 후역에는 용산역을 넣고 용산역 전역에는 서울역을 넣고 있습니다. 전역과 후역이 완전히 같지만 서로 다른 운행계통은 한 칸에 함께 적습니다. 이때 운행계통 간에 강제개행하여 계통과 시종착역을 연관하여 보는데 혼란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 {{인접정차역}}의 전방면과 후방면 칸에는 해당 운행계통의 모든 열차 중에서 가장 멀리 운행하는 열차의 시종착역을 적습니다.
  • {{인접정차역}}의 전방면, 후방면, 전역, 후역 칸은 해당 운행계통의 시종착역일 경우 빈칸으로 둡니다.
  • 대한민국의 역 문서에서 {{인접정차역}}의 운행계통을 나열하는 순서는 아래와 같이 합니다. 이 순서는 같은 노선 칸으로 묶여 있는 계통들 사이에서만 적용합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천안역 문서를 참고하세요.
  1. KTX
  2. ITX
  3. 새마을호
  4. 무궁화호
  5. 누리로
  6. 통근열차
  7. V-train
  8. S-train
  9. DMZ train
  10. A-train
  11. WEST GOLD TRAIN
  12.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13. 수도권 전철 분당선
  14. 수도권 전철 경춘선
  15. 수도권 전철 수인선
  16. 수도권 전철 경강선
  17. 수도권 전철 1호선
  18. 서울 지하철 2호선
  19. 수도권 전철 3호선
  20. 수도권 전철 4호선
  21. 서울 지하철 5호선
  22. 서울 지하철 6호선
  23. 서울 지하철 7호선
  24. 서울 지하철 8호선
  25. 서울 지하철 9호선
  26. 부산 도시철도 1호선
  27. 부산 도시철도 2호선
  28. 부산 도시철도 3호선
  29. 부산 도시철도 4호선
  30. 대구 도시철도 1호선
  31. 대구 도시철도 2호선
  32. 대구 도시철도 3호선
  33. 인천 도시철도 1호선
  34. 광주 도시철도 1호선
  35. 대전 도시철도 1호선
  36. 수도권 전철 신분당선
  37. 인천국제공항철도
  38. 의정부 경전철
  39. 용인 경전철
  40. 부산-김해 경전철
  • 문서의 제일 밑에는 분류와 해당 역에 정차하는 운행계통과 지나가는 노선의 틀을 삽입합니다. 대한민국의 역 문서에서의 틀 사이의 순서는 위에 제시된 순서에서 1번부터 12번까지의 운행계통의 틀을 먼저 순서대로 삽입하고, 그 다음으로 {{경부선}}과 같은 노선 틀을 삽입한 후에 위의 순서에서 13번부터 41번까지의 운행계통 틀을 삽입합니다. 노선 틀은 영업거리표 상의 노선번호 순으로 삽입합니다. 잘 되어 있는 것으로 수원역 문서를 참조하세요.
승강장 내용 작성 기준
  • 승강장 방면에 적는 역은 실제 역의 승강장에 적혀 있는 방면 정보를 그대로 적는 것을 원칙으로 합니다.
  • 승강장 방면 정보가 없는 경우에는 그 역을 지나는 운행계통의 가장 먼 역을 적습니다.
  • 바로 다음 정차역은 인접한 역 문단의 내용과 중복되므로 적지 않습니다.
  • 승강장 플랫폼 부분을 제외하고 색을 집어넣지 않습니다.
  • 각 역 사이에는 {{·}}를 사용하지 않고 "·"문자만 사용하는 것으로 통일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