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키백과:이동 요청/2014년 12월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이동 요청
이동 요청
 2014년 12월 
새로 고침 / 보존 문서

11월에 제가 요청한 건이 처리가 안되어서 편의상 다시 올립니다.[편집]

프로게이머 마재윤이 타인에 비해 저명성이 높으므로, 메인 표제어(?)에 올라가는게 맞다 봅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기여) 2014년 11월 28일 (금) 18:57 (KST)

띄어쓰기가 재대로 안되어 있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기여) 2014년 11월 25일 (화) 21:57 (KST)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1일 (월) 17:39 (KST)[답변]

@양념파닭: 미니게임천국 건은 이동을 했으나, 마재윤 건은 링크 수정을 할 필요가 있어서 일단은 마재윤 (동음이의) 문서를 마재윤으로 이동했습니다. 검토 결과 해당 이동 요청은 타당하다고 판단되어 링크를 수정한 뒤에 요청하신 대로 처리하겠습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6일 (토) 11:18 (KST)[답변]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6일 (토) 11:41 (KST)[답변]

출처입니다. -반월 (·) 2014년 12월 1일 (월) 18:34 (KST)[답변]

왜 이렇게 늦지요? -반월 (·) 2014년 12월 6일 (토) 11:10 (KST)[답변]

완료 @Banwol: 처리가 지연된 점에 대해서는 사과드립니다. 다만, 관리자도 위키백과 관리자이기 전에 일상을 살아가는 사람입니다. 이 점은 이해해 주셨으면 합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6일 (토) 11:24 (KST)[답변]
더 나중에 요청된 크림 반도 요청은 목요일에 거의 바로 처리되어 있었습니다만... 못 보셨을 수도 있으니까요 뭐. -반월 (·) 2014년 12월 6일 (토) 13:23 (KST)[답변]
@Banwol: 해당 문제는 문서 이동 처리를 할 때 가장 밑부분부터 처리를 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나중에 신청한 것이 먼저 처리가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8일 (월) 15:19 (KST)[답변]

한국광고협회 → 한국광고총연합회 변경요청[편집]

2014년 8월 5일부로 한국광고협회에서 한국광고총연합회로 명칭변경 했습니다. 해당문서를 부탁드립니다. --211.172.22.63 (토론) 2014년 12월 3일 (수) 09:40 (KST)[답변]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6일 (토) 11:25 (KST)[답변]

쥬라기 공원 4쥬라기 월드로 이동 부탁드립니다.[편집]

공식 한국어명이 확정되었습니다. 동명의 1994년 영화가 있지만, 여기를 보면 알 수 있듯, 비디오 영화로 공개되어 (북미도 마찬가지) 저명성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게다가 마이클 크라이튼의 쥬라기 공원 시리즈에도 포함되지 않는 이름만을 빌린 영화이기도 하고요. 비록 내년에 개봉할 영화이기는 하지만 시리즈가 이어지는 영화고, 저명성이 월등히 높다고 판단되어 이동 부탁드립니다. Kanghuitari (토론) 2014년 12월 4일 (목) 13:59 (KST)[답변]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6일 (토) 11:47 (KST)[답변]

크림 반도가 크림 공화국+세바스토폴을 의미하는 말로, 크림 반도 합병이라고 해야 합니다.--twotwo2019 (토론) 2014년 12월 4일 (목) 19:23 (KST)[답변]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4일 (목) 19:59 (KST)[답변]

짐 스터게스-> 짐 스터지스[편집]

문서의 제목은 '짐 스터지스'로 하고, 기존의 '짐 스터게스'와 '짐 스터제스'가 '짐 스터지스'로 넘어오도록 만들어야 맞습니다.--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Caneton (토론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위키백과:외국어 고유 명사의 한글 표기 참고 해주세요. -- J13 (토론) 2014년 12월 8일 (월) 14:35 (KST)[답변]
@Caneton: 네이버 트렌드 결과 짐 스터게스의 검색량이 압도적입니다. 백:외국어 고유 명사의 한글 표기에 따라서 표제어는 국어원 표기와 무관하게 가장 많이 쓰는 표기를 선택합니다. 짐 스터지스가 많이 쓰인다는 증거를 부탁드립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8일 (월) 15:15 (KST)[답변]
미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9일 (화) 19:33 (KST)[답변]

신민상호저축은행 → 조은저축은행 변경요청[편집]

2014년 3월 1일부로 조은저축은행으로 상호변경했습니다. 해당 문서 이동 부탁드립니다. -- 120.142.214.121 (토론) 2014년 12월 9일 (화) 11:15 (KST)[답변]

완료 관리자의 도움이 필요치는 않지만, 등록된 사용자의 도움이 필요한 사항이어서 대리하여 처리하였습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2월 9일 (화) 11:17 (KST)[답변]

2010년부로 푸르상호저축은행에서 푸른저축은행으로 행명변경 했습니다. 해당문서 이동 부탁드립니다. --120.142.214.121 (토론) 2014년 12월 9일 (화) 11:24 (KST)[답변]

완료 위키백과에 가입을 하시면 백:문서 옮기기에 따라서 직접 옮기실 수 있습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9일 (화) 19:33 (KST)[답변]

왜 화가 단원 김홍도가 일개 목사한테 저명성이 밀려서 대표 문서 자리를 내주는지 알다가도 모르겠네요. 김홍도 (화가) 문서는 김홍도로, 기존 김홍도 문서는 김홍도 (동음이의)로 옮겨주십시오. -- S.H.Yoon · 기여 · F.A. 2014년 12월 10일 (수) 14:27 (KST)[답변]

완료. — Revi 2014년 12월 10일 (수) 14:33 (KST)[답변]
김홍도 (화가)의 경우 링크 교정이 끝날때까지 삭제를 보류합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0일 (수) 14:33 (KST)[답변]

초아 (1980년) -> 전초아[편집]

초아로 활동하시다가 전초아로 활동하시게되어 문서이름변경요청합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Baby8500 (토론)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양념파닭 님이 추가하였습니다.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1일 (목) 11:17 (KST)[답변]

불가촉천민 문서에는 인도의 달리트 뿐 아니라 세계 여러 문화권의 untouchable 들에 대해 다루는 것이 적절하다 봅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11일 (목) 00:01 (KST)[답변]

완료 --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1일 (목) 11:16 (KST)[답변]

하이드_지킬_나[편집]

하이드_지킬_나 를 만들었는데 하이드_지킬_나에서 킬과 나 사이에 (,)를 넣지 못했습니다.

완료 아래 처리와 병합했습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1일 (목) 16:50 (KST)[답변]

토론:하이드 지킬, 나 -> 하이드 지킬, 나[편집]

잘못 옮겨진 문서입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11일 (목) 15:54 (KST)[답변]

완료 @양념파닭: 하이드 지킬 나, 토론:하이드 지킬, 나, 하이드 지킬, 나 문서의 역사를 하이드 지킬, 나로 병합햇습니다. 복사&붙여넣기로 이동된 경우라서 역사가 상당히 복잡합니다. 원래 있어야 할 내용인지 확인 부탁드립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1일 (목) 16:50 (KST)[답변]

CBS (방송사) -> CBS (미국의 방송사)[편집]

같은 이름의 대한민국의 방송사가 존재합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12일 (금) 01:38 (KST)[답변]

완료 가리키는문서 문제 때문에 넘겨주기는 남겨 둡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2일 (금) 11:53 (KST)[답변]

한빛 부대, 오쉬노 부대, 청해 부대 등과 같이 통일성을 유지하기 위함입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2월 13일 (토) 16:59 (KST)[답변]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3일 (토) 17:48 (KST)[답변]

학교알리미에 따르면 공식명칭 '대명초등학교'는 한 곳 뿐이고, 프:학교에 의하여 이렇게 요청합니다. --Tcfc2349 (토론) 2014년 12월 13일 (토) 17:14 (KST)[답변]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3일 (토) 17:48 (KST)[답변]

엠씨엠 (모던 크리에이션 뮌헨) → 모던 크리에이션 뮌헨[편집]

올바른 브랜드 명으로 이동 부탁드립니다. 예전에 이동하고 이러다보니 꼬였었나봐요.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14일 (일) 12:15 (KST)[답변]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4일 (일) 14:48 (KST)[답변]

마부 (1961년 영화) → 마부 (영화)[편집]

동명 영화가 없어 굳이 년도 처리를 해야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이동 부탁드려요.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14일 (일) 16:12 (KST)[답변]

완료 별도의 넘겨주기는 남기지 않았습니다.--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4일 (일) 16:25 (KST)[답변]

케일 동음이의어 문서 이동[편집]

케일 -> 케일 (기업) 케일 (채소) -> 케일

동음이의어 문서가 존재함에도 케일로 검색시 기업으로 먼저 들어가집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14일 (일) 21:18 (KST)[답변]

완료 --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5일 (월) 20:26 (KST)[답변]

표기법에 따르면 메틸 오렌지가 맞는 표현입니다. 현재 넘겨주기 문서로 되어있는 메틸 오렌지문서에 메틸오렌지 문서를 옮겨주시길 바랍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15일 (월) 19:47 (KST)[답변]

완료 --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5일 (월) 20:26 (KST)[답변]

M Countdown -> 엠카운트다운[편집]

엠카운트다운이 정식 명칭입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16일 (화) 01:54 (KST)[답변]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6일 (화) 17:02 (KST)[답변]

이동요청합니다. Paedrift라는 계정명의 사용자가 실수로 내용을 분류로 생성한것 같습니다. 해당 분류를 삭제해주시고, 생존분석으로 이동 부탁드립니다.--175.197.33.158 (토론) 2014년 12월 16일 (화) 16:55 (KST)[답변]

완료--콩가루 (토론) 2014년 12월 16일 (화) 17:00 (KST)[답변]

한국 천문학회나 표준국어대사전에 타이탄으로 되 있으므로 용어에 맞추어서 옮기려고 합니다. 타이탄 (위성)문서에 역사 내용이 있어 옮기기가 불가능해서 요청합니다. -- Ysjbserver (토론) 2014년 12월 17일 (수) 19:11 (KST)[답변]

다른 사용자의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요청의 처리를 유예합니다. 추가적으로 요청을 하실 때, 해당 근거를 링크하시면, 훨씬 빠른 처리를 기대하실 수 있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4년 12월 17일 (수) 19:23 (KST)[답변]
완료 검토 결과, 두 사전 외의 다른 사전 및 언론 기사 등을 고려할 때, 타이탄이 압도적으로 많이쓰이므로, 표제어를 변경하였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4년 12월 17일 (수) 19:27 (KST)[답변]

오렌지공 윌리엄 -->오라녜 공작 빌럼 1세[편집]

오라녜 공작 빌럼1세가 오렌지공 윌리엄인데 오라녜공 이란 말보다 오렌지공으로 훨씬 유명한 인물입니다. 그래서 오렌지공 윌리엄을 제가 만들었는데 오라녜 공작 빌럼 1세로 바꿔줘야합니다. 제 생각엔 오렌지공 윌리엄이 역사책서 압도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으니 오라녜 공작 빌럼 1세 문서를 아예 오렌지공 윌리엄으로 옮기는게 좋을 듯 합니다. -- 이 의견을 작성한 사용자는 신비한 (토론기여)이나, 서명을 남기지 않아 다른 사용자가 나중에 추가하였습니다.

미완료 생성하신 오렌지공 윌리엄 문서를 넘겨주기 문서로 처리합니다. 상세 사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현재 한국어 위키백과에서는 해당 인물 지칭하는 공식적 명칭이나 지칭이 있는 경우, 가급적 그것을 사용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에 따라 오라녜 공작 빌럼 1세 문서는 그대로 유지, 오렌지공 윌리엄오라녜 공작 빌럼 1세 문서로 찾아가는 걸 돕는 넘겨주기 문서로 처리하였습니다. --이강철 (토론) 2014년 12월 17일 (수) 21:27 (KST)[답변]

이동 요청합니다. 문서 병합 요청이며, Yoyoma88사용자가 다이라 씨문서에 있는 내용을 복사해 헤이시문서로 덮어씌웠는데, 잘못된 복사 & 붙여넣기라 제가 되돌렸습니다. 일단 상대방과 토론을 통해 얘기를 한 상태이며, 해당 요청의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Yoyoma88사용자의 말 : 헤이시 같은 경우에는 우리나라 밖에 구분하는 것이 없고 그것도 미국 배우 앤 헤이시 같은 경우는 헤이시가 성씨이지만 일본 같은 경우는 平氏(헤이시)가 성씨가 아닌 平(타이라)가 맞다고 합니다. 즉, 헤이시(平氏)는 음독이고 타이라(平)는 훈독이죠. 제가 타이라 씨를 헤이시로 바꾸자 한 이유는 보통 일본에선 타이라 씨 보단 헤이시로 많이 읽기 때문입니다.

일단 이분 말에 공감합니다. 굳이 헤이시문서를 동명이인 문서로 만들 필요까지 없다고 생각됩니다. 그렇기에 다이라 씨문서를 헤이시 문서와 합쳤으면 합니다.--39.115.9.225 (토론) 2014년 12월 19일 (금) 02:08 (KST)[답변]

분류와 다른 문서와의 통일을 위해서입니다. -- MiNaTak (minaTalk / 行跡) 2014년 12월 20일 (토) 03:21 (KST)[답변]

완료--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20일 (토) 13:02 (KST)[답변]

007 퀀텀 오브 솔러스 (영화) -> 007 퀀텀 오브 솔러스[편집]

이동 부탁드립니다. 동명의 게임은 해당 영화를 원작으로 한 게임이며,저명성으로 보아도 대표 표제어로 적합합니다.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21일 (일) 01:45 (KST)[답변]

영어판을 보면 video game based on the films Casino Royale and Quantum of Solace이라고 나와있습니다. 영화의 한국어판에서 영화가 게임을 기반으로 했다는 건 잘못된 정보이며, (수정완료) 명백히 영화를 기반으로 한 게임입니다. 당연히 저명성이 월등하게 뛰어난 영화가 대표 표제어가 되어야합니다.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23일 (화) 23:54 (KST)[답변]
완료 아래에서 처리했습니다. — Revi 2014년 12월 28일 (일) 17:12 (KST)[답변]

이 조직의 명칭은 "흥안군"이지, "만주국 흥안군"이 아닙니다.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1일 (일) 07:06 (KST)[답변]

완료 분당선님께서 처리하셨네요. :) --SVN (토론) 2014년 12월 22일 (월) 20:04 (KST)[답변]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편집]

유엔 안전보장 이사회 문서의 중간에 띄어쓰기를 해서,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문서로 제목을 변경해 주세요. -- 아사달(Asadal) (토론) 2014년 12월 22일 (월) 03:12 (KST)[답변]

완료 --SVN (토론) 2014년 12월 22일 (월) 20:06 (KST)[답변]

장난으로 이동된 것으로 보입니다. --Neoalpha (토론) 2014년 12월 23일 (화) 05:31 (KST)[답변]

완료 관리자의 권한이 필요 없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3일 (화) 10:10 (KST)[답변]

헤드폰이 이어폰보다 먼저 나온 것이고, 이어폰은 머리 전부를 덮는 헤드폰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 하나의 '구별'에 불과합니다. 따로 문서를 떼거나 하지 않는다면 '이어폰' 문서 안에 헤드폰을 분류하기보단 '헤드폰' 문서에 이어폰을 분류하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머리 문서에서 머리에 있는 기관들을 나열하며 귀를 설명하지만, 귀 문서에서 머리에 대해서 설명하진 않으니까요. en:headphones에서도 확실히 이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The alternate in-ear versions are known as earbuds or earphones.
따로 귀 안에 넣는 버전은 이어버드나 이어폰으로 알려져 있다.

--여우사 (토론) 2014년 12월 23일 (화) 16:33 (KST)[답변]

이어폰하고 헤드폰하고 두개의 내용을 다 병합하는 걸로 하죠. 또한 헤드셋 문서도 헤드폰 문서로 병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3일 (화) 17:14 (KST)[답변]
헤드셋은 엄밀히는 작동방식도 다르고 다른 언어판을 보면 충분히 별도의 문서로 쓰일 여지는 있지만, 지금 헤드셋 문서의 내용량으로는 병합이 맞아 보이네요. 다만 일단 이어폰 문서를 헤드폰으로 옮기는 것이 먼저라고 봅니다. --여우사 (토론) 2014년 12월 23일 (화) 22:08 (KST)[답변]
헤드셋 내용은 번역하여 늘리면 그만이므로, 헤드셋 문서는 별개로 보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 일단 이어폰을 헤드폰으로 옮기는 것이 급선무네요.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13:21 (KST)[답변]

학교알리미에 따르면 공식명칭 '도림초등학교'는 한 곳 뿐이고, 프:학교에 의하여 이렇게 요청합니다. --Tcfc2349 (토론) 2014년 12월 23일 (화) 23:44 (KST)[답변]

완료 가리키는 문서 때문에 넘겨주기는 남겨둡니다. 도림초등학교 (경기)의 삭제를 원하신다면 백:봇 편집 요청에서 해당 링크의 치환을 요청하신 뒤, 삭제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1:18 (KST)[답변]

사용자:S0ch1 회원이 토론 없이 넘겨주기를 처리를 했는데 뉘앙스 문제로 재이동 요청을 하고자 합니다.--110.9.253.78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1:50 (KST)[답변]

완료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5일 (목) 01:57 (KST)[답변]

마하커널 -> 마크커널[편집]

마하 (커널) 의 이름을 마크 (커널) 로 변경해야 합니다. 마크가 옳은 표기입니다. 그 외에도 마하 커널 항목을 삭제 혹은 마크 커널로 이동시켜야 합니다.--Ghbk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07:52 (KST)[답변]

네이버 검색결과 Mach는 마하로 발음합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0:16 (KST)[답변]
답변 감사합니다. 마크 커널의 발음이 옳음은 https://en.wikipedia.org/wiki/Mach_(kernel)#Namehttps://ja.wikipedia.org/wiki/Mach 그리고 https://en.wikipedia.org/wiki/Talk:Mach_(kernel)#Pronunciation 을 참고 하세요. 많은 분들이 에른스트 마하의 이름으로 착각해서 마하커널이라 부르지만, 이름의 유래대로 마크라 하는게 옳습니다.--Ghbk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1:12 (KST)[답변]
한국어로 마하가 맞다면 마하로 표기해도 됩니다만.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1:21 (KST)[답변]
또한 여기서 다른 나라 언어의 위키는 신뢰할 수 있는 출처가 될 수 없겠네요. 이건 한국어로 어떻게 표기하느냐에 대한 문제니깐요.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1:24 (KST)[답변]

정보 네이버로 Mach 검색결과 지식in을 제외하고 마크는 단 한건도 보이질 않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1:28 (KST)[답변]

네이버 트렌드 : 마하 vs 마크에서는 '마크'의 검색량이 월등하게 나옵니다.--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1:33 (KST)[답변]
단순 검색량 아닌지요? Mark를 찾기 위해 검색했다고 볼 수도 있는거 아닌가요?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1:34 (KST)[답변]
생각해보니 래프트를 검색하기 위해 '마크'를 검색한 것 같군요.--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1:40 (KST)[답변]
Mach에 대한 마하라는 표기는 독일어의 한글 외래어 표기법입니다(그나마도 마하와 마흐 사이에 논쟁이 있습니다만). Mach가 영어단어임은 명확한 사실이므로 Mach 는 영어의 한글 외래어 표기가 필요하고, 따라서 영어발음에 가장 가까운 마크가 사용됨이 옳다고 생각됩니다. 네이버 검색에서 나오는 마하커널이라 되어있는 자료는 기존 독일어 표기에 의한 오용입니다.--Ghbk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2:06 (KST)[답변]
그리고 네이버에서 마크 커널에 대한 항목이 거의 보이지 않는 사실 자체는 마크 커널은 이제는 변형되어 사용되거나 외국에서도 마이너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한국 사용자들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았다는 문제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현재 잘못 사용되고 있는 표기법을 빠른 단계에서 바로 잡아야 하는게 옳지 않겠습니까? --Ghbk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2:14 (KST)[답변]
이미 바뀐지 오래돼서 굳어졌다면 마하도 맞다볼 수 있는것 같습니다. 짜장면도 원래는 자장면이 맞는 표기지만 하도 짜장면이 많이 쓰여서 짜장면 또한 국어 표기법상 올바른 표기로 되었죠.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2:19 (KST)[답변]
실용적인 측면에서 짜장면의 경우는 짜장면이라는 단어에 또다른 객체를 가리키는 의미가 있어 오해를 불러일으킬 여지가 없었기 때문에 자장면/짜장면 사이의 전환이 관용적으로 인정될수 있는 것이었습니다. 그러나 마크커널의 경우 분명히 마하라는 저명한 물리학자와 오해될 여지가 큽니다. 실제로 그것과 착각하는 사람도 많은듯 하고요. 그리고 바뀐지 오래되어 굳어졌다, 라는건 동의하지 못합니다. 실제로 현업에서 컴퓨터과학을 전공하는 분들은 마하가 아닌 마크커널이라 부르는 경우가 더 많고, 애초에 관용이라는 말을 써야할 정도로 굳어진 언어라고 하기에는 짜장면과 같은 단어에 비해서 기간과 문맥이 다릅니다. 마크커널이 만들어진 시점에서 한국에서 그렇게 불렸다 하더라도 25년쯤입니다. 실제로는 더 짧겠지요. 짜장면은 그에비해 중국의 작장면이 한국에 들어와서 100년이상 된 음식이고, 게다가 한국식으로 바뀐 음식이기도 합니다. 그에 비해 마크커널은 딱히 한국식으로 어레인지 된것도 아니며, 단순히 단어로 지칭되고 있을 뿐입니다. 실 사용자도 사실상 없다고 봐도 무관할 정도고요(있다면 GNU/Hurd 를 사용하는 사람정도일겁니다). 따라서 마크커널을 마하커널이라 부르는것은 실제 의미를 저해할 뿐입니다. 그리고 Mach커널의 제작자의 의지(영어식 조어를 하여 만든 영어단어고, 발음역시 영어방식으로)를 존중해야 하는 점도 있습니다. TeX를 '텍스' 라고 하지 않고 '텍' 이라고 발음하는것과 비슷하게요.--Ghbk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2:41 (KST)[답변]
이런 경우에는 단순한 네이버 검색이 아니라 '구글 학술검색'의 검색결과 등 학술자료 검색 결과를 근거로 정하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4:22 (KST)[답변]
한글로 된 마크 커널에 대한 항목은 거의 나오질 않습니다. 인용이 힘들듯 합니다. --Ghbk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5:06 (KST)[답변]
표기상에 애매함이 있다면, 차라리 Mach 로 적어버리는건 어떨까요? 항목으로 연결되는 항목을 마하, 마크 둘 다를 유의링크로 하고요. --Ghbk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5:06 (KST)[답변]
구글 학술검색을 검색해 보니 Mach커널이라 쓰기도 하더군요.--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24일 (수) 15:11 (KST)[답변]
그럼 종합해서 현 마하(커널) 항목은 Mach (커널)이라 적는게 무난하다고 생각합니다만, 다른분들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아무리 찾아봐도 마크는 도저히 보이질 않네요. 반대합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6:43 (KST)[답변]
심지어 마흐도 10개 중에 1개 보일까 말까입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6:45 (KST)[답변]
대표적인 사례로는 모장모옝이냐 모장이냐 토론하다가 결국 모장이 더 많이 쓰이는 관계로 표제어가 결정된 사례가 있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6:47 (KST)[답변]

마하가 아닌 마크쪽이 더 원문에 가깝다는 것은 위에서 인용하긴 했고, 영어위키의 토론란이긴 합니다만, Mach 커널의 제작자중 한명이었던 사람이 말하는 것이니 이쪽이 더 권위가 있다고 봅니다. https://en.wikipedia.org/wiki/Talk:Mach_(kernel)#Pronunciation --Ghbk (토론) 2014년 12월 25일 (목) 07:28 (KST)[답변]

실제로 Mach 커널의 제작자중 한명인 Bill Bolosky 씨에게 메일로 문의한 결과 다음과 같은 답을 받았습니다.

Yes, I was on the original Mach team and I was there when the name was invented. It’s pronounced “mock.”

We had spent a while trying to come up with a name for the system, and Rick Rashid (the project leader) needed one for a grant proposal he was writing. For some reason, the working name had become “muck,” but for obvious reasons no one really liked that. He was talking with various people trying to come up with a better name, and happened on Dario Guise, who’s Italian. Dario asked him what the current name was, Rick said “Muck” and Dario mispronounced it “mock” because of his Italian accent. Rick changed the spelling to “Mach” since it looks cooler and we went with that.

So, it’s not really referring to Ernst Mach or to anything at all, it’s just “muck” said with an Italian accent.

--Bill

PS. Personally, I’m amazed that people still care about the name of a nearly 30 year old software project, but I’m happy to help you straighten it out!

제작자가 '마크'에 가까운 발음이 옳다고 하고있고, 게다가 명시적으로 지금 착각의 대상이 되고있는 물리학자 이름인 마하/마흐 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고 하고 있는데도, 아직도 마하/마하가 단순히 한국 웹에서 관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옳다고 생각하십니까? 물론 관습명칭은 접근성의 관점에서 본다면 중요하지만, '옳은 정보' 라는 관점에서는 유의어 정도로 적당할것이라 생각합니다. 위키피디아가 옳은 정보를 제공하는것이 목적인곳인지, 아니면 관습적인 정보에 부연을 달 뿐인 곳인지는 물어볼것도 없이 전자 아닐까요?--Ghbk (토론) 2014년 12월 25일 (목) 08:50 (KST)[답변]
찬성 Mach의 발음이 원래 '마하'라고 해도, 원작자가 자신이 만든 프로그램의 이름이 '마크'라고 하면 마크입니다. 여지가 없다고 봅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5일 (목) 20:41 (KST)[답변]

유지 로 의견 바꿉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6일 (금) 05:29 (KST)[답변]

개인적으로는 en:WP:OFFICIALNAME이 한국어판에 있어야 할 것 같네요. 꼭 공식 명칭이 표제어가 되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 Revi 2014년 12월 25일 (목) 23:01 (KST)[답변]
구글링 결과(정확히 해당단어 포함, 한국어 웹에서만) 마하 커널의 사용이 더 우세하게 나타났습니다. 또한,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 http://www.korean.go.kr/09_new/dic/rule/rule_foreign.jsp 에서 Mach를 검색하면 마하, 혹은 마흐라고 나옵니다. 한국어 백과사전이니, 한국어 표기법을 따릅시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6일 (금) 05:29 (KST)[답변]
아니요, 위에서 이미 말씀드린바 있고, 그 용례 자체는 이미 위에서 인용한 이메일 메일에서 보면 알수 있듯 다른 단어의 용례입니다. Mach의 의미란에는 「명」『인』 오스트리아의 물리학자, 철학자(1838~1916). 및 「명」「의」『물』 속도의 단위. ≒마하수.라고 되어 있는데, Mach 커널의 Mach는 둘 다 해당되지 않습니다. 애초에 Mach 커널은 물리학자의 이름도 아니고, 마하수의 마하도 아닙니다. 미국에서 만들어진 신조어입니다. 위키백과의 정책이 외래어표기법을 국립국어원 외래어표기법에 따른다는것이라면, 오히려 Mach 커널의 표기에 마하를 써서는 안됩니다. 외래어표기법중 영어표기법에 근거해서 표기해야 하는 용례가 다른 단어입니다. 따라서 그 주장은 근거가 잘못되었습니다. 오히려 이 경우는 위의 Revi 님께서 제안하신대로 en:WP:OFFICIALNAME 쪽이 마하커널로 써야한다는 것이 설득력이 있습니다.--Ghbk (토론) 2014년 12월 26일 (금) 06:07 (KST)[답변]

Revi님께서 주장하신 en:WP:OFFICIALNAME 은 읽어보았습니다. 확실히, 영어위키백과의 정책은 관용명을 공식명보다 더욱 존중하는 형태인듯 합니다. 단, 한국위키에서 영어위키의 공식명칭 정책을 수용할때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영어위키의 공식명칭에 대한 정책 자체는 지금까지 이곳에서 토론에 비해서 설득력이 있다고 생각합니다.(공식명칭의 문제점 부분에서 특히) 비록 한국위키가 영어위키의 공식명칭 정책을 정책적으로 수용하고 있는 상태는 아닌듯 하지만, 영어위키의 해결법대로 현 Mach 커널의 표제어는 마하커널로 그대로 두고, 다음과 같이 문서를 수정하는 것을 제안합니다.

1. 마하 (커널) 기사의 도입부분에 그 발음이 마크에 더 가깝다는 것을 명시하고, Lead 문서에 공식명칭인 마크 커널을 그 옆에 명기한다.

2. 마크 (커널) 을 마하 (커널) 로 이동하는 링크를 만든다.

3. 마하 (커널) 기사의 비교적 윗쪽 문서에 실제 발음이 마크에 가까움을 명기한다.

정도는 어떻습니까? --Ghbk (토론) 2014년 12월 26일 (금) 06:07 (KST)[답변]

글쎄요. 개인적으로는 그닥 좋아보이지는 않네요. 2번은 동의하지만, 1번의 일부와 3번은 반대합니다. '마하'보다 '마크'가 실제 발음에 더 가깝다는것을 구태여 표기해야 할까요? 해당 문서의 설명과는 관련이 없어보이는데요. 많이 추가할 것도 없이 그냥 공식 명칭은 마크 커널이다 한 줄만 쓰면 될 것 같습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6일 (금) 06:48 (KST)[답변]
제 의견이 잘 받아들여지질 않네요...;; 위의 1, 2는 영어위키의 해결법을 그대로 적용한것입니다. 그리고 3은 원래 명칭이 마크이며, Mach이기 때문에 헷갈리기 쉬운 물리학자나 속도의 크기 단위인 마하와는 관계가 없으며, 동시에 '왜 이 이름이 되었는가' 라는 충분히 사전적 의미에서 들어가서 이상할것 없는 명백한 사실을 기술하겠다는 것입니다. 이상하게 쓰이고 있는 표기가 당연한듯 통용되는게 부조리하여 보고 있을수가 없습니다. 그리고 1번의 Lead문서에 마크커널을 명기하겠다는 것은 en:Block cipher mode of operation#Counter (CTR) 에서와 같이
Note: CTR mode (CM) is also known as integer counter mode (ICM) and segmented integer counter (SIC) mode
와 같은 형태로 명기하겠다는 의미입니다. 이 경우는 also known as 가 아니라 officially named 라고 명기되어야 겠지만요. --Ghbk (토론) 2014년 12월 26일 (금) 07:59 (KST)[답변]
토론 내용 중 "...제작자가 '마크'에 가까운 발음이 옳다고 하고있고, 게다가 명시적으로 지금 착각의 대상이 되고있는 물리학자 이름인 마하/마흐 와는 아무 관계가 없다고 하고 있는데 (하략)"라는 부분이 있네요. 본래 항목의 의미를 잘 전달할 수 있는 사람 또는 주장은 제작한 당사자일 것이므로, 한국어에서 통용적으로 쓰이는 것보다 제작 당사자의 의견에 좀 더 무게를 실어줘야 한다고 봅니다. 따라서 저는 이 표제어 변경에 찬성합니다.ㅡ커뷰 (토론) 2014년 12월 26일 (금) 09:37 (KST)[답변]
그런데 발음상의 문제라면 한국어 위키백과니까 한국어 사용자가 Mach 커널의 발음에 대해 더 많이 사용하고 있는 '마하'라는 발음을 무시할게 아니고 그냥 문서 도입부에 마하(Mach, (국제 발음기호 표시)) 라고 쓰면 되지 않을까요?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19:42 (KST)[답변]
정보 타겟 문서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문서 이동에 대한 총의는 해당 문서의 토론 문서에서 모아 주세요. 참고로 저는 이동에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찬성으로 해석하셔도 무방합니다.) — Revi 2014년 12월 27일 (토) 19:05 (KST)[답변]

전체에서 찬성을 몇표 얻어야지 변경을 해도 되는건가요? 알려주시면 주시하다가 제대로 찬성을 받는다면 표제어 수정 및 문서수정을 할까 합니다. --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18:59 (KST)[답변]

총의는 그런거 없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7일 (토) 19:00 (KST)[답변]
백:총의를 참고하세요. — Revi 2014년 12월 27일 (토) 19:05 (KST)[답변]

총의가 모아지지도 않았는데 문서 표제어 옮기지 마세요.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7일 (토) 19:35 (KST)[답변]

죄송합니다. 오해했군요. 충분히 설명했고, 대안도 제시했습니다. 부족한것은 무엇입니까? --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19:37 (KST)[답변]
총의가 모아질 때 까지 기다리십시오. 만약 바꾸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지면 그 때 관리자에 의해 바꾸면 되는 것입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7일 (토) 19:38 (KST)[답변]
  1. 이 요청은 원래 관리자 권한이 필요 없는 요청이었습니다.
  2. 이동을 되돌리고 그냥 내버려 뒀으면 넘겨주기를 덮어 쓰는 형식으로 비관리자도 처리할 수 있는 요청이었습니다. — Revi 2014년 12월 27일 (토) 19:42 (KST)[답변]
몰랐습니다. 이곳이 단순히 문서옮기기에 대한 토론을 하는 곳이라고 생각했었습니다. 위키백과를 수정해보는건 처음이라 착각했습니다. 그리고 넘겨주기는 덮어쓰는 형식이라는게 잘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그것이 무엇입니까? --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0:06 (KST)[답변]
양념파닭님께 드리는 말씀입니다. 참고로, 문서 이동에 대한 토론 자체는 그 문서의 토론 문서에서 하는 게 일반적입니다. — Revi 2014년 12월 27일 (토) 20:46 (KST)[답변]

이 옮김에 대해서 반대하시는 분들은 반대의 근거와 의견을 내어주세요. 지금까지의 토론을 봐온 결과로는 커널의 마하라는 단어 자체가 혼동되어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기 시작했다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변경되어야할 필요성에 대해서도요.(위키의 총의 결정은 너무 어렵습니다!) 위키백과의 편집 지침이 과감하게, 라는 것이 도대체 어떤 점의 과감인지 아직 이해가 잘 되질 않습니다... 되돌리기와 삭제의 과감성이라면 어느정도 절감합니다. --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0:21 (KST)[답변]

문서 이동에 이의 없습니다.--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0:51 (KST)[답변]
이의 있습니다. 위에 추가했지만, 한국어 위키백과에서 한국어 사용자들이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마하'라는 발음을 무시할 순 없습니다. 춘장과 면을 볶아 만든 음식의 문서 제목이 공식 명칭이었던 자장면 (지금은 둘 다 지만..)이 아니라 짜장면인것 처럼 해당 언어 사용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마하'라는 제목을 구태여 옮길 필요는 없습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2:08 (KST)[답변]
그렇다면 선생님은 관습명이 실제 더 적절해야했던 이름을 능가하여 사용되는것이 맞다고 주장하는 것이로군요. 그리고 그 근거는 마하가 짜장면처럼 굳어진 사용이라는것이고요. 하지만 짜장면과 Mach 커널의 마하는 그 상황이 다르다는 것을 주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미 말씀드린바와 같이 짜장면과 자장면은 그 사용에 있어서 어떤 다른 대상을 지칭하거나 하는 것에 대해서 문제가 없습니다. 적어도 짜장면이라고 할때 자장면이 아닌 다른 것을 가리키진 않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마하는 그 사용에 의해서 분명한 해로움이 있습니다. 마하/마흐 라고 불리는 Mach 커널과 전혀 관계가 없는(이는 이미 제작자에게 문의를 하여 밝힌바 있습니다) 대상과 분명히 착각할 여지가 생깁니다. 이것은 명백한 해로움이고, 사전적인 차원에서 고쳐나가야 하는 부분입니다. 위키백과가 생각이상으로 많은 사람들이 정보를 처음 접하는 곳임을 명심해주세요! 명백히 오해의 여지가 있는 발음을 위키백과에서 계속해서 사용하는것은 정말로 해로운 일입니다. 선생님은 이러한 해로움을 그대로 놔두는것에 대해서 단순히 관습적 이라는 말로 덮으시겠습니까? 이에 대한 의견은 어떠십니까?--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2:19 (KST)[답변]
@Ghbk:글쎄요. Mach가 물리학자나 물리학의 용어 때문에 잘못 불리는 것은 아니라고 봅니다. Mach는 독일에서 '마하'로 발음됩니다. 에른스테른 마하도 오스트리아인이니까 독일어의 영향을 받아 마하로 읽히는 것이고요. 그리고 마하는 관습적으로 사용하는 발음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발음입니다. 어쨌든간 한국어 사용자들의 대다수는 Mach를 '마하'라고 읽고, 표기합니다. 그러므로 Mach 커널을 마하로 읽는 것은 관계가 없다고 볼 순 없습니다. 그리고 물리학과 관계가 없는 한국어에서의 음차 표기니까 마하로 표기한다고 물리학 용어와 관련, 오해하여 문제가 생기는 것도 아니고요. 덧붙혀, 인터넷에서 작성되는 글들을 통해 번역 내용을 결정하는 구글 번역기에서는 Mach(영어)를 마하(한국어)로 번역 합니다. 신뢰성이 높은건 아니지만 구글 번역기의 특성상 인터넷 상에서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Mach를 마하라고 표기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2:39 (KST)[답변]
@Kimmin0228: 적어도 선생님은 제 의견과 두가지를 공유하고 있습니다. 한가지는 마하로 발음되게 된 원인이 에른스트 마하/마흐에 있다는것, 그리고 또 한가지는 이것이 (잘못된 발음인가를 떠나서) 관습적인 발음이며, 실제 발음과는 다르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불일치하는 의견은 한가지 입니다. 저는 마하라고 발음하여 오해하는것이 문제점이라 인식하고 있고, 선생님은 그렇게 인식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선생님은 왜 이 오해가 문제가 아니라고 생각하십니까? 전혀 관계없는 두 용어가 서로 우연한 스펠의 일치때문에 오해를 일으키고 있는것은 흔히 해결할수 있다면 좋은 문제점 아닐까요? --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2:59 (KST)[답변]
덧붙이신 한국사용자가 더 많이사용하고 있는 발음이 마하라는 것은 누누히 말씀드리고 있고, 공통인식으로 이미 함께 하고 있는 오용 입니다. 위키백과가 오용을 강화할 필요는 없습니다. 그리고 관습적인 표기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면 넘겨주기 문서로 마하커널을 만들면 될 문제입니다. --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2:59 (KST)[답변]
@Ghbk:저는 Mach가 마하로 발음되게 된 원인이 에른스테른 마하에 있다고 하지 않았습니다. 오해 하신 이유가 Ghbk님이 글을 작성하시는 동안 제가 의견을 다듬어서 그런 것 같은데, 하지만 제 주장은 수정 전이나 후나 '에른스테른 마하와 한국에서의 Mach 발음의 관련성은 없다'입니다.. 의견 첫머리에서 밝히고 있고요. 또, 마하가 오용이라는 말은 이 토론이나 다른 관련 문서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만..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3:04 (KST)[답변]
@Kimmin0228: 아! 그렇습니다. Mach라는 단어만 두고 마하라 읽는것에 대해서 오용이라고 말하기엔 좀 괴리감이 있지요. 하지만 제작자가 불러주길 원하는 공식이름이 마크에 가까운 발음이라는 사실을 생각한다면 Mach커널을 마하라 읽는것은 올바르다곤 못하지 않을까요? --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3:20 (KST)[답변]
그리고 논의와는 전혀 관계없지만 Ernst Mach를 한국어로 적자면 에른스트 마하/마흐 랍니다. 에른스테른이 아니예요. 신경쓰여서 적어둡니다. 나쁜 의도는 없어요. 기분나빠하시지 마세요 :) --~
@Ghbk: 지적 감사합니다. 에른스테른으로 알고있어서요; 잘못 알고 있었네요. 마크에 발음이 가깝다면, 이 문서는 마하에 남겨두고 밑에 투투님이 써놓으신 [mʌk]을 도입부에 붙히면 됩니다. 원작자가 마크라고 발음을 표기했지마는, 한국어 백과사전에서는 한국어로 읽을때의 발음을 표제어로 삼는게 낫지 않을까요?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3:35 (KST)[답변]
그 제작자분께 대신 한번 다시 물어봐주실수 있나요? "한국에서는 Mach를 마하로 발음합니다. 그런데도 마크로 표기하는 것이 좋겠느냐"고 말이죠. 이건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다른것들은 다 마하로 표기하는데 이것만 마크로 표기하면 혼란스러울 수 있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7일 (토) 23:38 (KST)[답변]
@양념파닭:그거라면 걱정 없습니다. 영어권에서 Mach는 일반적인 문맥에서는 마하라 발음합니다(mach가 machine 등의 약자가 아닌 이상). 실제로 영어권에서의 Mach 커널에 대한 발음에 대한 논의역시 영어위키에서 진행된바 있습니다.(링크는 위에 있습니다) 결론은 제작자인 Bolosky씨가 나타나서 대답하고 누구도 의의없이 마크로 결론이 났습니다. 따라서 영어권에서도 말하자면 발음기호로 보자면 한국과 완전히 동등한 문제가 있습니다. 그래도 정 물어보고 싶으시다면 https://www.cs.cmu.edu/afs/cs/project/mach/public/www/people-former.html 에서 제가 문의한 제작자중 한분인 Bill Bolosky 씨의 메일을 찾을수 있습니다. 다만 정확한 발음 등의 사실관계를 물어보는것도 아니고, 한국의 문제를 가져가서까지 물어보는건 어떨까 싶습니다. --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3:57 (KST)[답변]
@Kimmin0228: 선생님과 제 의견차는 꽤 좁혀진것 같아 기쁩니다! 제가 제시하는 마하커널 이라는 용어에 대한 해결은 그쪽을 넘겨주기 링크로 만들고 표제어는 변경하자는 의견이고, 선생님의 의견은 마하커널은 그대로 놔두고 그 옆에 국제음성기호 IPA를 붙이자는 것이로군요. 둘 다 분명히 애매모호함을 없애는데는 일조한다 생각합니다만, 선생님의 방법은 제작자의 의도와는 다른 발음인 마하가 마치 제대로된 발음이라는 것 처럼 오해할 여지가 큽니다. 이 오해의 여지는 그럼 어떻게 처리하면 좋으리라 생각하십니까? --Ghbk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3:58 (KST)[답변]
원래 제 입장을 잘 받아들여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만 말씀하신 대로 모호함, 오해가 남아있으니 밑 레비님의 제안을 따르는게 좋아보입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00:01 (KST)[답변]
언제나 합의의 순간은 감동적이군요. 저도 그것은 찬성합니다! --Ghbk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00:05 (KST)[답변]
문서 이동에 찬성합니다. 공식 명칭이기도 하고 IPA가 [mʌk]이니 마크라고 하는게 맞다고 생각하고 마하라는 발음이 많이 쓰인다면 그냥 넘겨주기 처리로 하고 마하라는 발음을 사용한다라고 덧붙이면 될 것 같습니다.--twotwo2019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2:21 (KST)[답변]

ALT1[편집]

백:제목 선택하기#로마자 머리글자 표기의 "모호한 경우"를 적용, 영어 그대로 Mach (커널)로 이동할 것을 제안합니다. — Revi 2014년 12월 27일 (토) 23:56 (KST)[답변]

찬성 위에 누가 서명없이 제안하신 것 같은데 무시됬더라구요.. 가장 나아보입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00:01 (KST)[답변]
찬성 이미 제가 제안했었습니다. 그리고 서명도 했었습니다. 무시되었지만요 :) --Ghbk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00:05 (KST)[답변]
찬성 모호한 경우이므로 저렇게 하면 될 것 같습니다.--twotwo2019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13:16 (KST)[답변]
완료 이동합니다. — Revi 2014년 12월 28일 (일) 17:10 (KST)[답변]

기존 세인츠 로우 문서를 세인츠 로우 (시리즈)로 옮겼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4일 (수) 18:07 (KST)[답변]

완료--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31일 (수) 21:06 (KST)[답변]

2세 보다는 주니어가 더 맞는 표기같습니다.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5일 (목) 02:16 (KST)[답변]

블랙 패러독스가 정식 출판명입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5일 (목) 20:29 (KST)[답변]

@Kimmin0228: 참고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6일 (금) 10:29 (KST)[답변]
@양념파닭: [1] 출판사인 시공사에서 블랙 패러독스로 표기했고, 맞춤법도 블랙 패러독스가 맞는 표기입니다. Kimmin0228 (토론) 2014년 12월 26일 (금) 20:44 (KST)[답변]
완료 --양념파닭 (프로필 |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7일 (토) 19:48 (KST)[답변]

백상예술대상 수상자 관련 둘러보기 틀 중 상기 앞에것과 뒤에것이 같은날(12월 22일) 각각 독립적으로 생성되었으나, 앞에것이 시간상 더 먼저 생성되었으므로 우선권이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틀 내용은 보다시피 기존의 틀을 활용해서 거의 차이가 없습니다. 따라서 뒤에것을 삭제후 앞에것을 뒤에것으로 이동시켜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굳이 뒤에것 이름을 사용하는 이유는 기존의 백상예술대상 수상자 둘러보기 틀 이름과 일관성을 위해서입니다. --Leedkmn (토론) 2014년 12월 26일 (금) 18:30 (KST)[답변]

완료--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30일 (화) 22:10 (KST)[답변]

이동 요청합니다.--Initial Z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19:03 (KST)[답변]

이유를 제시해 주세요. 단순한 "옮겨주세요"는 관리자가 이동이 왜 필요한지 판단할 수 없습니다. — Revi 2014년 12월 27일 (토) 19:06 (KST)[답변]
기존에 김유연 문서에 서술되어 있던 레이싱 모델 김유연은 대표 문서가 되기에 부족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되어 문서 이동을 했습니다. 그래서 동음이의 문서를 대표 문서로 하고자 이동 요청합니다.--Initial Z (토론) 2014년 12월 27일 (토) 20:00 (KST)[답변]
완료 레이싱 모델 김유연을 가리키는 문서가 있다면 적절히 수정해 주세요. — Revi 2014년 12월 27일 (토) 20:54 (KST)[답변]

007 퀀텀 오브 솔러스 (영화) -> 007 퀀텀 오브 솔러스[편집]

위에서도 요청했는데, 묻혀서 다시 올립니다. 굳이 괄호를 넣을 이유가 없습니다.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13:15 (KST)[답변]

완료. — Revi 2014년 12월 28일 (일) 17:11 (KST)[답변]

디 인터뷰 (2014년 영화) -> 디 인터뷰[편집]

영어판을 보면 알 수 있듯, '디 인터뷰'나 '더 인터뷰'로 개봉한 영화는 1998년 영화와 2014년 영화 밖에 없습니다만, 1998년 영화는 한국어권에서는 '디'나 '더'를 붙이지 않은 인터뷰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대표 표제어로 적합하다고 판단되며, 저명성으로도 보아 손색이 없습니다. 이동 부탁드립니다.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13:34 (KST)[답변]

1998년 영화를 《인터뷰》라고 부르는 것은 공식 개봉 명칭이 아니며, 그냥 사람들이 the를 떼어 부르는 것 뿐입니다.
그리고 2014년 영화가 《디 인터뷰》라는 이름이 더욱 저명성이 있다고 하셨는데, 더 인터뷰 약 1,300,000개, 디 인터뷰 약 612,000개를 따져보면 (설사 그것이 틀렸더라도) 되려 더 인터뷰가 저명성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공식 포스터를 보면 그냥 《인터뷰》라고 되어 있습니다. 이를 보면 단순히 어느 것이 저명하다 단정지을 수 없습니다.
덧붙여서 인터뷰 (동음이의)에서 1987년 영화 《인터비스타》를 그냥 영어 개봉 명칭인 《인터뷰》로 바꾸셨는데, 해당 영화 역시 한국에서 개봉한 적이 없으며, 다수의 웹문서에서 《인터비스타》라고 언급하고 있습니다. [2] [3] [4]--Namoroka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16:55 (KST)[답변]
공식 한국어명이 없으면, 웹페이지 (네이버나 다음 등)에서 굳이 영어 발음이 아닌 표시하는 명칭을 우선시로 합니다. 해당 인터뷰 해당 포스터는 대한민국에서 만든 포스터가 아닌 미국에서 만든 영어판 포스터입니다. 한국어가 써져 있어서 혼동할 수 있지만, 미국 포스터이며, 한국 포스터가 아닙니다. '인터비스타' 표기는 동음이의 문서를 바꾸면 되죠.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20:39 (KST)[답변]
@Namoroka: 그러면, 디 인터뷰가 아닌 더 인터뷰로 이동하면 되겠네요. 1998년 영화를 굳이 더 인터뷰라고 한다고 해도, 저명성 차이로는 이견이 없다는 말씀으로 받아들여지네요. '더 인터뷰'로 대표 표제어하는 것에 대해서는 괜찮습니까?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20:40 (KST)[답변]
언제부터 제목 정하는 기준이 “웹페이지 (네이버나 다음 등)에서 굳이 영어 발음이 아닌 표시하는 명칭을 우선시”하는 것이었나요? 그리고 검색량을 언급한 것은 잿빛동공 님이 저명성의 기준을 네이버 영화와 같은 사이트로 생각하시는 것 같아서 예로 든 것 뿐입니다. 명색이 백과사전인데 《더 인터뷰》라는 틀린 표현을 표제어로 삼을 순 없지 않나요? 그리고 2014년 영화와 1998년 영화는 별도로 따져야 한다고 생각합니다.--Namoroka (토론) 2014년 12월 30일 (화) 17:00 (KST)[답변]
@Namoroka: 공식적으로 한국어권에서 개봉되지 않은 커플로 살아남기는 그러면 '라이프 애즈 위 노우 잇'으로 옮겨야 합니까? 무슨 연유인지는 모르지만 네이버나 다음에서 해당 명칭으로 표시하고 있는데요? 정식 명칭이 없는 이상 포털사이트에서 표시하는 명칭이 참고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공식 한국어 명칭이 없는 이상, 해당 명칭을 표제어로 삼을 수 있는 거고요. 영화 제목에 틀린 명칭과 바른 명칭이 어딨나요? 영화 제목에 띄어쓰기 및 맞춤법 파괴 명칭은 얼마든지 많습니다만. 귀하의 말씀대로라면 명색히 백과사전인데 공인으로 인증된 외래어 표기법을 다 무시하고 통용 표기로 지정하는 건 안된다는 말이신가요? 위키백과:외국어 고유 명사의 한글 표기를 보시면, 널리 사용되는 표기(통용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나와있는 걸 명백히 볼 수 있고요. 현재 표기법이나 옳은 표기를 무시하고 통용 표기로 표제어로 한 문서는 얼마든지 많습니다. 1998년 영화의 제목이 지정된 제목이 없고, 참고 사항이 될 수 있는건 포털 사이트의 표기가 될 수 있습니다. 밴드만 봐도 그렇습니다. (스크립트 (음악 그룹)/더 스크립트 등). 이런 경우에도 딱히 어느쪽이 월등하다고 할 수는 없지만 언론이나 포털사이트의 표기를 따르고 있는 것이죠. 굳이 틀린 표기를 지정할 수 없다고 친다면, 저명성으로 월등한 건 어떻게 반론하실련지요. 저명성으로 보아도, 1998년 영화 문서가 만들어질 기미가 없는데다가, 2014년에 공개된 영화를 대표 표제어로 하는 것이 낫습니다. 관례적으로 다른 문서가 저명성이 월등히 낮거나 만들어질 기미가 없으면 대표 표제어로 해왔고요. 1998년 영화를 굳이 만든다고 하더라도 쥬라기 월드/쥬라기 월드 (1994년 영화)처럼 처리하는 것이 낫습니다.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31일 (수) 22:14 (KST)[답변]
  1. 커플로 살아남기 영화는 수입사에서 그렇게 번역을 한거니 당연히 그 제목을 따라야 하는 거죠. 덧붙여서 대한민국에서 개봉을 했는데 왜 개봉을 안했다고 하시는지 모르겠네요. 극장 스크린에서 상연하는 것만 개봉이라고 해야할 지 모르겠지만, 인터넷 다운로드도 개봉으로 봐야하지 않나요? 2014년 영화 the interview도 유튜브 등 여러 매체를 통해 인터넷으로도 공개했죠.
  2. ‘포털 사이트의 표기가 될 수 있습니다.’라고 하셨는데 이 경우가 문제가 됩니다. 네이버 영화는 디 인터뷰, 다음 영화는 더 인터뷰라고 되어있습니다. 사실 사이트 관리하는 사람에 따라 제목이야 얼마든지 바뀔 수 있는 것인데, 이를 무작정 따를 순 없습니다. 뭐, 네이버가 쓰는 사용자도 훨씬 많으니 네이버의 표기대로 따르실 건가요?
  3. 그리고 제 말은 백:표기를 무시하자는 것이 아닙니다. 토론을 통해서 앞서 말했듯이 디 인터뷰나 (포스터에 쓰였듯이) 인터뷰 중 어느 것이 더 나은가를 정하고 싶은 겁니다. 여기서 제 의견은 (디나 더나 한 끗 차이이지만) 표기상으로도 디가 적절하며, 하물며 리그베다 위키에서도 디 인터뷰로 표기하고 있습니다. 위에서 말했듯이 포스터에서는 인터뷰이고, 대한민국의 저명한 언론사에서도 내부적으로 용어 통일이 안 되어있는 상황입니다. 해당 지침에 ‘널리 사용되는 표기(통용표기)를 사용하는 것이 원칙’이라고 되어 있지만 그 뒤에 ‘통용 표기로 선택할 수 있는 표기 방식이 여러 개일 경우 토론을 통해 해결해야 합니다.’란 말 또한 고려해봐야 하는 것 아닌가요?
  4. 예로 드신 스크립트 (음악 그룹) 문서도 표제어는 스크립트인데 문단 첫 시작은 모순되게 "더 스크립트는.. "이라고 하고 있습니다. 이 밴드의 경우 대한민국에서 소니뮤직에서 홍보를 담당하여 여러 공식적인 문건에서 스크립트라고 칭하고 있으니 현재 이 토론과는 ‘다른’ 경우인 것 같네요. [5] [6]
  5. 1998년 영화가 만들어질 기미가 없다고 하셨는데 그런 말은 이해가 안 됩니다. 위키 특성상 없던 문서가 하루만에 만들어질 수도 있는데 말입니다. 토막글이나마 새로 문서를 만드는 것 본인도 자주 하시는 것 아닌가요?
  6. ‘관례적으로’ 어쩌고 하는 말도 역시 이해가 안 됩니다. 만약 십 몇 년 뒤에 동일한 제목의, 엄청 유명한 영화가 또 나오면 이 영화는 또 제목을 옮겨야 하나요? 제가 동음이의어 문서를 다시 만들 때 영어판만을 참고해서 그렇지, the interview라는 영화는 여럿 있습니다. [7] [8] 이 영화는 2014년 영화와는 하등의 관계도 없고, 대한민국 포털 사이트에도 안 나오는데 제목을 더 인터뷰로 해야하나요?--Namoroka (토론) 2015년 1월 1일 (목) 22:14 (KST)[답변]
2. 무작정 따르는 것이 아닌, 참고 사항이 될 수 있습니다. 1998년 영화의 표기가 정해져 있지 않은 이상 참고할 수 있습니다.
3. 통일이 안되어 있다면, 그 사이에서도 좀더 많이 사용되는 표기를 표제어로 하는 것이 낫습니다. 2014년 영화의 정식 명칭이 확정되지 않은 이상, ‘디 인터뷰’나 ‘더 인터뷰’ 로 이동해야 합니다.
5/6. 몇십년 뒤에 그때가서 인지도 있는 영화가 생기면 그때서 옮기면 되는거고요. ‘대한민국 포털 사이트에도 안 나오는데 제목을 더 인터뷰로 해야하나요?’라는 말은 귀하의 말에 모순이 있습니다. 포털 사이트의 표기를 꼭 따르는 것에 대해서는 의문을 가지면서 안 나오는 표기를 왜 따르냐? 이런 말씀이신거죠. imdb에 해당 영화가 있다고 하더라도, 저명성의 차이가 있습니다. 영어판에도 생성되어 있지 않은 영화이며, 구글이나 와일드 개봉 등 여러 사항을 고려해도 저명성의 차이는 확연히 차이나죠. 그러니까 위키백과에 등재되지 않은거고요. 등재되지도 않았으므로 관련이 없습니다. 1998년 영화가 만들어질 기미가 없다는 말은 아마도, 저명성의 차이라는 말 같습니다. 제 생각에도 아직 정해진 명칭이 없고, ‘디 인터뷰’라는 표기가 ‘더 인터뷰’보다는 많이 쓰이는 것 같아 해당 2014년 영화 문서를 ‘디 인터뷰’로 옮겨서 대표 표제어로 하는 것이 옳아보입니다. 저명성의 차이는 무시할 수 없어요. 1998년 영화보다는 월등히 저명성이 높습니다. 게다가, 1998년 영화의 표기를 그나마 찾아보려고 했습니다만, ‘인터뷰’라는 표기를 사용하더라고요. [9][10][11][12][13]브리태니카 만약 1998년 영화가 만들어진다면, ‘인터뷰 (1998년 영화)’가 나아보이며, ‘디 인터뷰’나 ‘더 인터뷰’로는 현재로서는 해당 2014년 영화가 대표적으로 하는 것이 제일 낫다고 생각됩니다. 당초 만들어졌던 ‘디 인터뷰 (2014년 영화)’에서 ‘디 인터뷰’로 옮기는 것으로요. Kanghuitari (토론) 2015년 1월 2일 (금) 09:35 (KST)[답변]

알겠습니다. 제가 토론을 너무 소모적으로 끌고 간 것 같네요. 관리자 분은 초기 요청대로 옮겨주시길 바랍니다. (디 인터뷰 (2014년 영화)] → 디 인터뷰)--Namoroka (토론) 2015년 1월 2일 (금) 17:07 (KST)[답변]

@-revi: 이런식으로 관리자분을 부르는 건 죄송스러우나, 묻힐 것 같아서.. 부탁드립니다. Kanghuitari (토론) 2015년 1월 5일 (월) 09:36 (KST)[답변]

사용자간의 총의가 형성되었으므로 완료합니다. — Revi 2015년 1월 5일 (월) 21:54 (KST)[답변]

에일리 (가수) -> 에일리[편집]

토론:에일리 (가수)#표제어를 참조 부탁드리며, 저명성 차이로 보아 대표 표제어로 적합하다고 판단 됩니다. 현재의 에일리 문서를 '에일리 (동음이의)'로 옮기거나, 아니면 현재의 에일리 문서를 삭제후 이동한 후 가수 에일리 문서에 다른 뜻 틀 처리를 해도 괜찮다고 판단됩니다.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20:57 (KST)[답변]

완료 by 분당선M--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31일 (수) 17:51 (KST)[답변]

음반 표시네이버 표시에는 맨 뒤에 온점 (.)이 들어갑니다. 이동 부탁드려요. -- 잿빛동공(T.Hikaru) (토론) 2014년 12월 28일 (일) 21:56 (KST)[답변]

완료--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31일 (수) 17:53 (KST)[답변]

Ø샐러맨더 (토론 / 기여) 2014년 12월 29일 (월) 21:28 (KST)[답변]

완료--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31일 (수) 17:53 (KST)[답변]

2014년 12월 31일부로 상호변경--120.142.214.16 (토론) 2014년 12월 30일 (화) 10:25 (KST)[답변]

우리투자증권만 역사속으로 사라지고 NH농협증권만으로 변경하기 때문에 우리투자증권과 다릅니다.--大황제 (토론) 2014년 12월 30일 (화) 21:02 (KST)[답변]

유라 모브시시안 → 유라 모브시샨[편집]

유라 모브시샨(Yura Movsisyan)은 아르메니아의 축구선수입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아르메니아 어의 표기법을 규정하고 있지는 않으나 몇몇 아르메니아 어 표기의 용례를 확인하면,
Vazgen Z. Sarkisyan : 사르키샨, 바즈겐
Martirosyan, Tigran Varban : 마르티로샨, 티그란 바르반
Serzh (Azati) Sargsyan (Armenian: Սերժ Ազատի Սարգսյան) : 사르키샨, 세르지 (아자티) 등의 표기를 확인할 수 있고, 이에 따라 Movsisyan은 모브시시안이 아닌 모브시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25.184.53.12 (토론) 2014년 12월 30일 (화) 11:52 (KST)[답변]

김인욱 (1892년) → 김인욱[편집]

가리키는 문서가 하나 밖에 없습니다. 이동 부탁드립니다. -- 상진화 Sangjinhwa (토론) 2014년 12월 30일 (화) 15:27 (KST)[답변]

@Sangjinhwa: 사유를 제시해 주세요. 사유가 없는 요청은 수리되지 않습니다. — Revi 2015년 1월 5일 (월) 21:55 (KST)[답변]

파벨 블라디미로비치 야코블레프 → 파벨 야코블레프[편집]

'파벨 블라디미로비치 야코블레프'는 러시아의 축구 선수입니다.
러시아 인명에 대한 표제명을 보면, '블라디미르 푸틴', '드미트리 메드베데프', '로만 시로코프' 등 부명(父名)을 적지 않는 것이 보통인 것 같습니다.
따라서 '파벨 블라디미로비치 야코블레프'에서 '블라디미로비치'를 제외한 '파벨 야코블레프'로 문서의 명칭을 바꾸는 것을 제안합니다. --125.184.53.12 (토론) 2014년 12월 30일 (화) 18:14 (KST)[답변]

12월 31일에 우리투자증권과 NH농협증권이 합병되었습니다. 명칭이 NH투자증권으로 결정되어서 문서를 이동을 해야 합니다.--大황제 (토론) 2014년 12월 30일 (화) 18:22 (KST)[답변]

해당 요청을 하게된 사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Skqudtlsemf라는 분이 처음 이다영 (배구 선수)라는 제목으로 문서를 생성했는데, 다른분이 같은 인물의 다른 인물로 수정하면서부터입니다.

이다영 (배구 선수) 문서 편집 내역

해당 문서의 편집 내역을 확인해봤는데, 문서 생성하신 분(Skqudtlsemf)은 1992년생의 이다영을 참조하고 작성 및 생성했는데, 중간에 다른 사용자(121.188.208.158)가 1996년생의 동명의 인물로 바꾼게 확인되었습니다.

121.188.208.158의 편집

문서 생성하신 분이 다시 이전상태로 되돌렸지만, 제가 그만 편집 내역을 확인안하고 다른 사용자들이 편집한 상태로 되돌렸습니다.

네이버에서 확인해봤는데, 같은 이름의 배구선수가 2명이 있습니다.

1992년 생의 이다영

1996년 생의 이다영

상황이 꼬인 상태라 관리자님들께 부탁드리게 되었습니다. 해당 제목을 삭제해 주시고 문서를 2개로 나눠야 할것 같습니다.--175.197.33.125 (토론) 2014년 12월 31일 (수) 11:55 (KST)[답변]

완료 이다영 (1992년), 이다영 (1996년) 문서로 역사를 분리했습니다. 이다영 (배구 선수) 문서는 이다영 (1996년)을 가리키고 있습니다. 특:가리키는문서/이다영 (배구 선수)를 참조하셔서 링크를 수정해주세요.--콩가루 · 토론 2014년 12월 31일 (수) 12:04 (KST)[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