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한의 첫째 편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요한의 첫째 서간에서 넘어옴)

요한의 첫째 편지(공동번역), 요한의 첫째 서간(천주교 성경), 요한 1서(표준새번역한글개역판)는 첫 번째 요한 서신이며, 네 번째 공동 서신이다. 전통적으로 요한의 복음서와 나머지 요한 서신들과 함께 사도 요한의 저작으로 인정된다. 본 서신은 에페소에서 서기 95-110년경에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1] 예수가 "육으로" 왔다는 것을 부정하는 가현설을 반박하기 위해 쓰여졌으며, 기독교인들이 참된 교사를 분별하는 방법으로 윤리, 성육신의 인정, 사랑을 제시하고 있다.[1]

내용[편집]

사도 빌립. 책에 고대 교회 슬라브어로 쓰여진 글은 요한일서 4:15-16이다.

본 서신의 주제는 하느님을 사랑하며 동행하는 것이다.[2][3] 저자는 독자들이 하느님과의 친교가 참된것인지 아닌지 확인하기 위한 여러 가지 시험을 기술하며, 영적 거듭남의 증거가 삶속에서 의를 실천하는 것임을 가르치고 있다.[4] 또한 본 서는 악으로 가득차 사탄의 영향 아래 놓여있는 "세상"과, 이러한 세상으로부터 구분된 "하느님의 자녀"를 구분하고 있다.[5]

개괄[편집]

  • 1장 : 머리말 : 생명의 말씀, 빛 속에서 살아감 (2장으로 이어짐.)
  • 2장 : 빛 속에서 살아감, 사랑의 계명 준수, 그리스도인과 세상, 세상의 정의, 의로움의 실천 (3장으로 이어짐.)
  • 3장 : 의로움의 실천, 사랑의 실천
  • 4장 : 영의 식별, 사랑과 믿음
  • 5장 : 사랑의 뿌리인 믿음, 삼위일체의 정의, 영생의 정의와 구원의 영원한 보장 맺음말 : 영원한 생명

스타일[편집]

본 서신은 다른 서신들과는 다르게, 서신서 서두부와 종결부가 포함되어있지 않다.[6] 또한 본 서신은 문장구조의 다양성 없이 아주 간단한 스타일로 작성되었으며,[6] 접속사를 자주 생략(asyndeton)하였다.[7] 생각이 선형적으로 전개되는 바오로 서신과는 다르게, 요한의 생각은 고리모양으로 움직이며 천천히 전개된다.[5] 이는 히브리 시가와 비슷하나, 대구의 두 번째 구절이 첫번째와 같은 의미를 갖는 히브리 시가와는 달리 본 서신에서는 첫 번째 구절에 살을 붙여가며 여러번 반복하여 재현부를 구성해나간다.[8] 정리하자면, 본 서신은 종교적 권고(paraenetic)의 스타일을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권고는 "개인적인 간청, 옳고 그른것/참과 거짓의 대조, 수사적 질문의 사용" 등으로 대표된다.[6]

일부 학자들은 본 서신이 전통적인 2행 연구(parallel couplets) 선집에 대한 요한의 주석이라고 주장한다. 비록 에른스트 폰 돕쉬츠(Ernst von Dobschütz)와 루돌프 불트만이 처음으로 주장한 이 이론은 현재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지만, 아모스 윌더(Amos Wilder)는 "최소한, 본 서신에서 시적 구조나 논리 구조에서 저자의 것과 구분되는 구절들이 꽤 많이, 종종 이어져서 나온다는 것은 분명하다"고 주장했다.[9]

저작성[편집]

본 서신의 저작성은 전통적으로 노년기의 사도 요한에 의해 에페소에서 쓰여진 것으로 받아들여져 왔다.[10] 본 서신의 내용, 언어, 그리고 논리 전개 방식은 요한복음, 요한 2서, 요한 3서와 상당한 유사점이 있는데, 세 서신을 동일한 저자가 작성했다는 증거가 된다.[1] 19세기 말의 성서학자 에른스트 드윗 버튼(Ernst DeWitt Burton)은 요한 1서와 요한복음이 같은 저자에 의해 쓰여졌다는 데에는 "합리적인 의심"이 있을 수 없다고 기술했고,[11] 아모스 윌더(Amos Wilder)는 이에 더해 "초기 기독교 전통과 현대 학자들의 대다수가 이 저작들의 저자가, 비록 사도 요한으로 밝혀진 것은 아니지만, 같은 사람이라는데 동의해왔다"고 말했다.[2] 이와 같은 주류 시각은 스위스의 종교 개혁자 요하네스 외콜람파디우스에 의해 대표되는데, 그는 "사랑을 받던" 사도의 생애를 정리하면서, 요한 1서를 두고 "가장 순수한 복음"이라고 칭했다.[12]

그러나 다른 현대 신학자들은 본 서신의 이와 같은 위치에 도전하고 있다. 비록 세 서신의 저자가 동일한 사람이라는 것에 거의 대부분의 학자가 동의한다 하더라도, 하인리히 율리우스 홀츠만(Heinrich Julius Holtzmann)과 C. H. 다드와 같은 학자들은 본 서신과 요한복음이 서로 다른 저자에 의해 쓰여졌을 것이라는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2] 이와 같은 시각에는 최소 두가지 요지가 있다. 첫째는 본 서신에서 문장의 서두에서 종종 지시 대명사를 사용한 뒤, 접속사나 불변화사(particle) 후에 앞에서 사용한 지시대명사의 정의나 설명문을 배치하는데, 요한복음에서는 이와 같은 스킬이 사용되지 않았다는 것이다.[6] 둘째로는, 본 서신의 저자가 "복음으로 알려지지 않은것들에 대해서 다양한 수사적 표현으로 조건문을 사용"한다는 것이다.[13]

목적[편집]

네번째 복음서는 예수가 아버지에 의해 보내진 창세 이전부터 존재했던 아들이라는 사실을 부정하는 요한 공동체 외부인들과 유대인들로부터 도전받는 상황에 놓여있다고 스스로 말한다. 요한 1,2,3서는 "요한 공동체 내부의 분열을 기술"하고 있다.[14]

저자는 본 서신을 청자들로 하여금 기쁨이 "충만"(1:4)하고, "죄를 범하지 않"고(2:1), "서로 사랑해야" 하며(3:11), "하느님의 아들의 이름"을 믿는 자는 영생이 있음(5:13)을 알게 하기 위해 본 서신을 썼다. 따라서 우리는 본 서신을 서로에게 기쁨을 주는 일반적인 목적과, 저자들에게 구원의 확신을 가질 수 있는 시험을 제공하는 특수한 목적으로 나눌 수 있다.[15] 저자는 그가 관리하는 교회에 영향을 미친 이단 교사들에 대해 걱정하는 것처럼 보인다.[10] 이들은 한때 교회의 지도자들이었으나 이단적 가르침을 전한 적그리스도(2:18-19)로 받아들여진다. 또한 이 교사들은 예수가 육신 없이 영으로만(4:2) 이 땅에 왔고, 따라서 그의 죽음은 인류의 죄에 대한 진정한 속죄가 되지 못한다(1:7)는 가현설을 가르친 것으로 보인다.[10] 요한은 그리스도의 진정한 인간성을 부정하는 케린투스라고도 불리는 원시 영지주의를 비난하는 것처럼 보인다.[출처 필요]

저자의 목적(1:1-4)은 아버지와 그의 아들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된 청자들에게 "생명의 말씀"을 선포하는 것이다. 그는 하나님과 하나됨의 의미로, (1) 그리스도에 대해선 믿음으로 구원을 얻게 하는 그의 속량하심(1:7-9; 2:2,25; 3:5; 4:9,10,14; 5:11-13,20)과 그의 변호를(2:1; 5:6,7) 받고, (2) 사람에 대해선 성스러움(1:6; 2:15,16,29; 3:10,12), 복종(2:3; 3:6,24; 5:2,3,18), 순결함(3:3,18), 믿음(3:23; 4:3; 5:5), 그리고 사랑(2:4,7,8; 3:11,14,16; 4:7,8,12,19-21; 5:1)을 제시하고 있다.

요한복음이 불신자들에게 쓰여진 반면에, 본 서신은 신자(5:13)들에게 쓰여졌다.[15] 본 서신에서 구약성경과 유대적 표현들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는 점에서 청자는 유대인보다는 이방인으로 보인다.[10] 본 서신은 아마도 지역의 교회들을 순회하는 선교사를 통해 전달되었을 것이며, 요한의 사도성과 장로됨을 고려했을 때 회중들에게 큰 소리로 읽혔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16]

요한의 콤마[편집]

4세기 라틴어 번역본에 첨가된 삼위일체에 대한 구절은, 중세시대를 거치며 본문에 자연스럽게 추가되었는데, 이를 요한의 콤마라고 한다.[17] 15세기 이전의 어떠한 헬라어 사본에도 등장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에라스무스는 그의 1522년 신약성서 판본에 본 구절을 첨가해 출판하였다.[18] 그의 판본을 번역한 성경들 중에는 킹 제임스 성경(1611)도 있는데, 다음과 같이 번역되었다. 첨가된 구절을 이탤릭체로 표기하였다.

7For there are three that beare record in heaven, the Father, the Word, and the Holy Ghost: and these three are one. 8And there are three that beare witnesse in earth, the Spirit, and the Water, and the Blood, and these three agree in one.

18세기부터 본문비평에 의거해 만들어진 번역본들은 위 구절을 가지고 있지 않거나, 각주로서 포함하고 있다.

관련항목[편집]

각주[편집]

  1. Harris, Stephen L., Understanding the Bible (Palo Alto: Mayfield, 1985) "1 John," p. 355–356
  2. Wilder, p. 214
  3. Barbour, p. 346
  4. Barbour, p. 348
  5. Burton, Ernest DeWitt (1896). “The Epistles of John”. 《The Biblical World》 7 (5): 366–369. JSTOR 3140373. 
  6. Wilder, Amos (1957). 〈Introduction to the First, Second, and Third Epistles of John〉. Harmon, Nolan. 《The Interpreter's Bible》 12. Abingdon Press. 211쪽. 
  7. Barbour, J. H. (1896). “The Structure of the First Epistle of Saint John”. 《The Biblical World》 9 (5): 341–348. JSTOR 3140289. 
  8. Barbour, p. 342
  9. Wilder, p. 212
  10. Burton, p. 367
  11. Burton, p. 366
  12. Johannes Oecolampadius, Sermons on the First Epistle of John (A Handbook for the Christian Life) (1523; ET 2017), p. 59.
  13. Dodd, C. H. (April 1937). “The first epistle of John and the Fourth Gospel”. 《Bulletin of the John Rylands Library》 21 (1): 129–156. doi:10.7227/bjrl.21.1.5. 
  14. The New Jerome Biblical Commentary, Edited by Raymond E. Brown, S.S., Union Theological Seminary, New York; NY, William J. Dalton, S. J.; Roland E. Murphy, O. Carm. (emeritus) The Divinity School, Duke University, Durham, NC; [The Johannine Epistles, Pheme Perkins], with a foreword by His Eminence Carlo Maria Cardinal Martini, S.J.;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1990
  15. Barbour, p. 341
  16. Wilder, p. 210
  17. Houghton, H. A. G. (2016). 《The Latin New Testament: a guide to its early history, texts, and manuscripts》.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78–179쪽. doi:10.1093/acprof:oso/9780198744733.001.0001. ISBN 978-0-19-874473-3. 
  18. McDonald, Grantley (2017). 〈The Johannine Comma from Erasmus to Westminster〉. Dirk van Miert, Henk J. M. Nellen, Piet Steenbakkers, Jetze Touber (eds.). 《Scriptural authority and biblical criticism in the Dutch Golden Age: God's word questioned》 1.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61–72쪽. doi:10.1093/oso/9780198806837.003.0003. ISBN 978-0-19-880683-7. 

[편집]

  • Robert Dabney, "The Doctrinal Various Readings of the New Testament Greek", 1894: p. 32.

외부 링크[편집]

요한의 첫째 편지
이전
베드로후서
신약성경
성경 목록
이후
요한이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