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응선 (천도교)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오응선(吳膺善, ? ~ ?)은 조선 말기부터 활동한 일제강점기천도교 지도자로, 대한제국 시기에는 일진회 간부를 지냈다.

생애[편집]

양반 출신이라는 것 외에는 신상에 대해서 거의 알려진 바가 없다. 황해도 해주군에서 태어났고, 조선 말기에 황해도 지역의 유력한 동학 지도자로 활동했다.

김구가 오응선이 포교 활동을 펼치던 곳과 가까운 곳에 살고 있다가, 1893년에 오응선의 소문을 듣고 직접 찾아가 동학에 입교한 일이 있다. 당시 오응선은 양반과 상민의 구별이 없는 평등 사상을 설파하여 상민 출신인 김구에게 깊은 감명을 주었다.[1]

김구는 《백범일지》에서 10대 후반의 나이에 동학에 입교하던 때를 회상하며, 오응선이 "말쑥한 젊은 선비"였다고 묘사했다.[2] 이때 오응선의 나이는 약 20세 가량이었다. 이후 동학 농민 운동에 황해도 지역 동학교도를 이끌고 참여했다.[3]

동학이 천도교로 발전하면서 천도교 일부 세력이 일진회를 구성했을 때 여기에 가담했다.[4] 일진회 황해도지부 회장을 맡았고, 일진회가 의병 운동을 탄압하기 위해 설치한 자위단원호회 사무원을 지냈다. 1909년통감부의 주도로 창립된 대한노동회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황해도지부를 설치한 바 있다.[5]

일제강점기 동안도 천도교 지도자로 계속 활동했다. 최제우가 수련하여 동학의 발상지로 알려진 경주시 구미산 용담정이 최제우의 효수형 이후 오랫동안 방치되어 있자, 1914년에 용담정을 복원하였다.[6]

사후[편집]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신용하 (2003년 11월 20일). 《백범 김구의 사상과 독립운동》. 서울: 서울대학교출판부. 9~10쪽쪽. ISBN 89-521-0479-X. 
  2. 김구 (2000년 6월 25일). 〈1. 우리 집과 내 어릴적〉. 《백범일지》. 서울: 범우사. ISBN 89-08-03204-5. 
  3. “甲午東學亂의 自初至終”. 《개벽》 (제68호). 1926년 3월. 
  4.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2004년 12월 27일). 《일제협력단체사전 - 국내 중앙편》. 서울: 민족문제연구소. 7~8쪽쪽. ISBN 89-953307-2-4. 
  5.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2004년 12월 27일). 《일제협력단체사전 - 국내 중앙편》. 서울: 민족문제연구소. 151~152쪽쪽. ISBN 89-953307-2-4. 
  6. 최미화 (2007년 7월 19일). “[성지를 찾아서] 천도교 성지① 최제우 득도지 용담정 - "내 몸이 곧 한울님" 수운 선생 가르침 들리는 듯”. 대구매일신문. 2008년 8월 2일에 확인함.  |제목=에 지움 문자가 있음(위치 1)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