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릴아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알릴아민
이름
우선명 (PIN)
prop-2-en-1-amine[1]
별칭
2-propen-1-amine,
2-propenamine,
allyl amine,
3-amino-prop-1-ene,
3-aminopropene,
3-aminopropylene,
monoallylamine
식별자
3D 모델 (JSmol)
ChEMBL
ChemSpider
ECHA InfoCard 100.003.150
EC 번호
  • 203-463-9
RTECS 번호
  • BA5425000
UNII
UN 번호 2334
  • InChI=1S/C3H7N/c1-2-3-4/h2H,1,3-4H2 예
    Key: VVJKKWFAADXIJK-UHFFFAOYSA-N 예
  • InChI=1/C3H7N/c1-2-3-4/h2H,1,3-4H2
    Key: VVJKKWFAADXIJK-UHFFFAOYAW
  • C=CCN
성질
C3H7N
몰 질량 57.096 g·mol−1
겉보기 무색 액체
밀도 0.7630 g/cm3, 액체
녹는점 −88 °C (−126 °F; 185 K)
끓는점 55–58 °C (131–136 °F; 328–331 K)
산성도 (pKa) 9.49 (짝산; H2O)[2]
위험
주요 위험 최루성
GHS 그림문자 GHS02: FlammableGHS06: ToxicGHS07: HarmfulGHS08: Health hazardGHS09: Environmental hazard
신호어 위험
H225, H301, H310, H315, H319, H330, H335, H371, H373, H401, H411
P210, P233, P240, P241, P242, P243, P260, P261, P262, P264, P270, P271, P273, P280, P284, P301+310, P302+350, P302+352, P303+361+353, P304+340, P305+351+338, P309+311, P310, P312, P314
NFPA 704 (파이어 다이아몬드)
NFPA 704 four-colored diamondFlammability code 3: Liquids and solids that can be ignited under almost all ambient temperature conditions. Flash point between 23 and 38 °C (73 and 100 °F). E.g. gasolineHealth code 4: Very short exposure could cause death or major residual injury. E.g. VX gasReactivity (yellow): no hazard codeSpecial hazards (white): no code
3
4
인화점 −28 °C (−18 °F; 245 K)
374 °C (705 °F; 647 K)
폭발 한계 2-22%
반수 치사량 또는 반수 치사농도 (LD, LC):
106 mg/kg
관련 화합물
관련 아민
프로필아민
관련 화합물
알릴 알코올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면, 표준상태(25 °C [77 °F], 100 kPa)에서 물질의 정보가 제공됨.
예 확인 (관련 정보 예아니오아니오 ?)

알릴아민(영어: allylamine)은 아민유기 화합물로 화학식은 C3H5NH2이다. 이 무색의 액체는 안정된 불포화 아민이다.

생산[편집]

알릴아민은 암모니아염화 알릴증류 처리하여 생산한다.[3] 순수한 샘플은 알릴 아이소사이오사이아네이트가수분해를 통해 얻을 수 있다.[4]

반응[편집]

단일 중합체(폴리알릴아민)나 혼합 중합체를 얻기 위해서는 중합 반응을 사용한다.

성질[편집]

알릴아민은 다른 알릴 화합물과 마찬가지로 최루성과 피부 자극성이 있다. 색깔은 무색 투명하며, 암모니아증류 처리하여 생산하기 때문에 강한 암모니아 냄새가 난다. 인화성 액체로 인화점은 -28°C이다.

독성[편집]

알릴아민은 심혈관계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독성이 있다.[5] 쥐를 대상으로한 반수 치사량(LD50)은 106 mg/kg이다.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Nomenclature of Organic Chemistry : IUPAC Recommendations and Preferred Names 2013 (Blue Book)》. Cambridge: The Royal Society of Chemistry. 2014. 681쪽. doi:10.1039/9781849733069-FP001. ISBN 978-0-85404-182-4. 
  2. Hall, H. K. (1957). “Correlation of the Base Strengths of Amines”. 《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Society》 79 (20): 5441–5444. doi:10.1021/ja01577a030. 
  3. Ludger Krähling, Jürgen Krey, Gerald Jakobson, Johann Grolig, Leopold Miksche "Allyl Compounds" in Ullmann's Encyclopedia of Industrial Chemistry, 2002, Wiley-VCH, Weinheim. doi 10.1002/14356007.a01_425
  4. “M. T. Leffler (1943), "Allylamine", Org. Synth.”. 2011년 6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30일에 확인함. 
  5. D. J. Conklin, B. J. Boor: Allylamine cardiovascular toxicity: evidence for aberrant vasoreactivity in rats. In: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148/1998, S. 245–251; PMID 9473532.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