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첩 곤

(신한첩 (숙휘)에서 넘어옴)

신한첩 곤
(宸翰帖 坤)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
종목보물 제1946호
(2017년 10월 31일 지정)
수량1 첩
시대조선시대
소유계명대학교
관리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위치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은(는) 대한민국 안에 위치해 있다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대한민국)
주소대구광역시 달서구 달구벌대로 1095,
동산도서관 (신당동,계명대학교성서캠퍼스)
좌표북위 35° 51′ 23″ 동경 128° 29′ 14″ / 북위 35.85639° 동경 128.48722°  / 35.85639; 128.48722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신한첩-신한첩 곤
(宸翰帖-宸翰帖 坤)
대한민국의 기 대한민국보물(해지)
종목보물 제1629-2호
(2010년 1월 4일 지정)
(2017년 10월 31일 해지)
정보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정보

신한첩 곤(宸翰帖 坤)은 조선시대 효종 등 왕실 사람들이 한글로 써서 양반가에 출가한 효종의 딸 숙휘공주와 공주의 남편 정제현에게 보낸 편지글들을 모은 것이다. 한글로 쓰여진 총 35편의 편지글로 구성되어 있으며 1802년 정제현의 5세손 정진석이 낱장의 편지글들을 첩으로 만들었다. 현재 대구광역시 달서구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2010년 1월에 대한민국의 보물 제1629-2호로 지정되었으며,[1] 2017년 10월 31일 제1946호로 보물 지정번호가 변경되었다.[2]

개요[편집]

『신한첩 곤(宸翰帖 坤)』은 효종(孝宗, 1619~1659), 현종(顯宗, 1641~1674), 숙종(肅宗, 1661~1720), 효종비 인선왕후(仁宣王后, 1618~1674), 현종비 명성왕후(明聖王后, 1642~1683), 숙종비 인현왕후(仁顯王后, 1667~1701)가 효종의 넷째딸 숙휘공주(淑徽公主)에게 보낸 한글어찰을 모은 것이다. 숙휘공주는 연일정씨 인평위(寅平尉) 정제현(鄭齊賢)과 혼인하였다. 수록된 어찰은 효종 2통, 현종 3통, 숙종 6통, 인선왕후 18통, 명성왕후 2통, 인현왕후 5통 등 모두 36통이다. 처음의 장황 그대로 남아 있는데, 표지에 “신한첩 곤(宸翰帖 坤)”이란 제서(題書)가 쓰여 있듯이 원래 건·곤(乾·坤) 2첩이었다.

이 첩은 앞쪽에 실린 정제현의 후손 정진석(鄭晉錫, 1779~?)의 1802년 한글 지문(識文)을 통해 제작내력을 알 수 있다. 그중 “건(乾)인 즉 사조(四祖) 어필(御筆)이시오 곤(坤)인 즉 육성(六聖) 언찰(諺札)이시라” 했는데, ‘사조 어필’은 국립청주박물관의 효종·현종·장렬왕후·인선왕후 어찰을 가리키며, ‘육성 언찰’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의 효종·현종·숙종·인선왕후·명성왕후·인현왕후 어찰을 가리킨다. 또 한글 필치가 국립청주박물관의 “○○대왕어셔”나 “○○왕후어셔”라고 쓴 것과 같아 이들 첩이 건·곤으로 함께 장황되어 짝을 이루었다고 추정된다.

이 어찰첩은 국립청주박물관 소장 숙명신한첩(淑明宸翰帖), 오죽헌시립박물관의 명안공주 관련유물(明安公主關聯遺物, 보물 제1220호)로서 현종, 명성왕후(明聖王后, 1642~1683), 숙종의 한글어찰을 수록한 어필첩(御筆帖)등과 함께 조선왕실의 한글어찰을 살필 수 있는 귀한 자료이다.

구성[편집]

보내는 사람 관계 받는 사람 편수
효종 아버지 : 딸 숙휘공주 2
인선왕후 어머니 : 딸 18
현종 오빠 : 여동생 3
명성왕후 올케 : 시누이 1
숙종 조카 : 고모 6
인현왕후 조카며느리 : 시고모 5

같이 보기[편집]

각주[편집]

  1. 문화재청장 (2010년 1월 4일). “문화재청고시제2009-129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 지정)”. 관보 제17166호. 93-110쪽. 2017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일에 확인함. 
  2. 문화재청장 (2017년 10월 31일). “문화재청고시제2017-130호(국가지정문화재<국보, 보물> 지정 및 변경)”. 관보 제19121호. 340-342쪽. 2017년 12월 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7년 12월 1일에 확인함. 

참고 문헌[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