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태식물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선태식물
에른스트 헤켈의 Kunstformen der Natur, 1904
에른스트 헤켈Kunstformen der Natur, 1904
생물 분류ℹ️
계: 식물계
상문: 선태식물상문(Bryophytes)

선태식물(蘚苔植物)은 전 세계에 약 23,000종 가량이 자라고 있는데, 열대 다우림에서 극지 툰드라에 이르기까지 사막과 바다를 제외한 지구의 어느 곳에나 분포되어 있다.

생식[편집]

우리가 흔히 보는 선태식물의 몸은 배우체로서 유성 세대에 속하며 핵상은 n이다. 즉, 배우자(난세포와 정자)를 만드는 세대로서 양치식물의 전엽체, 종자식물의 배낭과 꽃가루관에 해당된다. 장란기는 긴 목을 가진 플라스크 모양으로, 그 안에 1개의 난세포가 생긴다. 한편, 장정기는 자루가 있는 곤봉 모양이나 공 모양의 부대 모양으로, 그 안에 많은 정자가 생긴다. 2개의 편모를 가지고 헤엄쳐 나온 정자가 장란기의 난세포에 닿으면 거기에서 수정이 이루어진다.

수정란(접합자)은 장란기 속에서 분열을 되풀이하여 포자체가 되는 배를 형성한다. 그 후 포자체는 배우체로부터 양분을 흡수하면서 성장하지만, 어린 시기에는 포자체 자체도 약간의 광합성을 한다. 따라서, 포자체는 배우체에 반기생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성장한 포자체는 성냥개비 모양을 한 하나의 축에 지나지 않으며, 밑부분에 있는 흡수 기관(다리), 자루(꼬투리자루) 및 끝의 포자낭(꼬투리)으로 이루어진다. 단, 뿔이끼에서는 포자체가 이쑤시개처럼 생긴 하나의 축으로 되어 있고, 끝이 뾰족하며 밑부분 외에는 모두가 꼬투리로 되어 있다. 포자체는 포자를 만드는 세대로 무성 세대에 속하고 핵상은 2n으로, 우리가 흔히 보는 양치식물이나 종자식물의 몸에 해당한다. 꼬투리 속에 있는 다수의 포자 모세포는 감수 분열하여 포자를 형성한다.

포자는 꼬투리에서 방출되어 바람 등에 날려 살포되는데, 적당한 곳에 떨어지면 싹이 터서 실 모양이나 덩어리진 원사체가 된다. 얼마 후에는 원사체에 싹이 나고, 이것이 발달하여 보통의 식물체(배우체)가 된다. 배우체나 포자체에는 관다발이나 다른 조직들이 분화되어 있지 않다.

하위 분류[편집]

선태식물은 이끼식물이라고도 하며 뿔이끼류·선류·태류로 나눌 수 있다.

뿔이끼류는 각태류라고도 하는데 원사체는 짧은 사상이거나 없고, 포자 발아 직후 분화한다. 세포내에는 1개에서 몇 개의 대형 엽록체가 있고 엽록체에는 피레노이드가 있다. 포자체는 선형이며 2줄로 갈라지고 중축이 있다. 불이끼가 대표적이다. 태류는 엽상체 또는 경엽체이고 세포 내의 엽록체는 많이 있으며, 소형이고 피레노이드가 없다. 포자체는 구상의 포자낭이 있으며, 포자낭은 분열하여 포자와 함께 탄사를 가진다. 태류의 대표종은 우산이끼 등이 있다. 선류는 모두 경엽체이고 잎은 나선상으로 줄기에 붙거나 좌우 2열로 붙는다. 포자체는 여러 층이 세포로 이루어지는 삭이 있으며 표면에 기실공, 내부에 중축이 있다. 포자만 만들고 탄사는 없다. 물이끼·검정이끼·솔이끼 등이 있다.

선태식물은 육상에서 생육하며 습한 땅, 바위 위, 썩은 나무, 나무줄기 등에 착생한다. 또 활엽수의 잎에 착생하는 특수한 것도 있다. 선태식물은 종류에 따라 생육장소가 대개 정해져 있다. 바위에서 자라는 선태식물 중에는 특히 석회분이 많은 암석에서만 생육하는 히오필라속 등이 있고, 또 화강암과 같은 산성암석에서만 생육하는 선태식물 등이 있다. 선태식물은 보통의 고등식물과 달리 직사일광을 매우 싫어하는 것이 많다. 이것은 햇빛의 복사열에 의해서 수분의 증발이 심해지면 말라죽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선태식물은 높은 산꼭대기부터 극지의 바위 등에서도 생육하며, 열대의 강우림 속에서는 특히 많은 종류를 볼 수 있고 우리나라에서도 흔히 볼 수 있다.

계통 분류[편집]

다음은 유배식물의 계통 분류이다.[4][5][6][7][8][9][10]

유배식물
선태식물

뿔이끼문

선태식물문

우산이끼문

다포자낭식물

?† Taeniocradales

호르네오피톤강

Aglaophyton

관다발식물

?† Yarraviales

† Rhyniopsida

Eutracheophytes

?† Cooksoniales

?† Renaliaceae

석송문

진엽식물

† Eophyllophyton

† Trimerophytopsida

Moniliformopses

양치류

Radiatopses

Pertica

목질식물

?† Cecropsidales

?† Noeggerathiopsida

† Aneurophytopsida

Metalignophytes

† 고양치류

† Protopityales

종자식물

각주[편집]

  1. Crandall-Stotler, Barbara. & Stotler, Raymond E., 2000. "Morphology and classification of the Marchantiophyta". page 21 in A. Jonathan Shaw & Bernard Goffinet (Eds.), Bryophyte Biology.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66097-1
  2. Schuster, Rudolf M., The Hepaticae and Anthocerotae of North America, volume VI, pages 712-713. (Chicago: Field Museum of Natural History, 1992). ISBN 0-914868-21-7.
  3. Goffinet, Bernard; William R. Buck (2004). “Systematics of the Bryophyta (Mosses): From molecules to a revised classification”. 《Monographs in Systematic Botany》 (Missouri Botanical Garden Press) 98: 205–239. 
  4. Novíkov & Barabaš-Krasni (2015). “Modern plant systematics”. Liga-Pres: 685. doi:10.13140/RG.2.1.4745.6164. ISBN 978-966-397-276-3. 
  5. Anderson, Anderson & Cleal (2007). “Brief history of the gymnosperms: classification, biodiversity, phytogeography and ecology”. 《Strelitzia》 (SANBI) 20: 280. ISBN 978-1-919976-39-6. 
  6. Pelletier (2012). “Empire biota: taxonomy and evolution 2nd ed”. Lulu.com: 354. ISBN 1329874005. 
  7. Lecointre, Guillaume; Guyader, Hervé Le (2006). 《The Tree of Life: A Phylogenetic Classification》 (영어). Harvard University Press. ISBN 9780674021839. 
  8. Puttick, Mark N.; Morris, Jennifer L.; Williams, Tom A.; Cox, Cymon J.; Edwards, Dianne; Kenrick, Paul; Pressel, Silvia; Wellman, Charles H.; Schneider, Harald (2018). “The Interrelationships of Land Plants and the Nature of the Ancestral Embryophyte”. 《Current Biology》 28 (5): 733–745.e2. doi:10.1016/j.cub.2018.01.063. 
  9. Nishiyama, Tomoaki; Wolf, Paul G.; Kugita, Masanori; Sinclair, Robert B.; Sugita, Mamoru; Sugiura, Chika; Wakasugi, Tatsuya; Yamada, Kyoji; Yoshinaga, Koichi (2004년 10월 1일). “Chloroplast Phylogeny Indicates that Bryophytes Are Monophyletic”. 《Molecular Biology and Evolution》 (영어) 21 (10): 1813–1819. doi:10.1093/molbev/msh203. ISSN 0737-4038. 
  10. Gitzendanner, Matthew A.; Soltis, Pamela S.; Wong, Gane K.-S.; Ruhfel, Brad R.; Soltis, Douglas E. (2018). “Plastid phylogenomic analysis of green plants: A billion years of evolutionary history”. 《American Journal of Botany》 (영어) 105 (3): 291–301. doi:10.1002/ajb2.1048. ISSN 0002-91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