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운관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서운관(書雲觀)은 고려시대부터 존재하였던 기구로, 천문학, 지리학(地理學)·역수(曆數 : 책력)·측후(測候)·각루(刻漏) 등의 업무를 맡아보던 관청이다. 조선시대에도 고려의 제도를 계승하여 1392년(조선 태조 1) 다시 설치한 것으로 천문·재상(災祥)·역일(曆日)·추택(推擇)의 일을 맡았다.

고려시대에는 천문(天文)·역수(曆數)·측후(測候)·각루(刻漏)의 일을 맡아보았다. 국초에는 업무가 태복감(太卜監)과 태사국(太史局)으로 분리되어 태복감을 1023년(고려 현종 14) 사천대(司天臺), 1116년(고려 예종 11) 사천감(司天監), 1275년(고려 충렬왕 1) 관후서(觀候署)로 개칭하였다가 다시 사천감이라 하였는데, 1308년(고려 충렬왕 34) 태사국을 병합하여 서운관(書雲觀)이라 하였다.

1356년(고려 공민왕 5) 다시 사천감과 태사국으로 분리, 이후 병합·분리를 거듭하다 1372년(고려 공민왕 21) 다시 병합하여 조선시대로 이어졌다.

전해지는 이야기[편집]

고려(高麗)의 서운관비기(書雲觀秘記)에 "이왕도한양(李王都漢陽)"이란 설(說)이 있는 고로 고려 충숙왕이 크게 걱정하였다는 기록이 나온다.[1] 또한 서운관비기에서 《구변진단도(九變震檀圖)》가 발견되었는데 주변국에서 조선(朝鮮)을 곧 진단(震檀)으로 지칭하였다는 기록과 함께 ≪구변지국≫에 대한 얘기가 전해 오고 있다는 내용이다.[2][3][4]

변천[편집]

1466년(세조 12년) 서운관(書雲觀)을 관상감(觀象監)으로 이름을 바꾸었다.[5][6] 연산군 12년(1506) 시력서(司曆署)로 낮추었다가 중종 즉위 후 복구하였다. 1894년(고종 31년) 갑오개혁 때 관상소(觀象所)로 개칭하였다.[7]

관원[편집]

고려시대에 처음 설치할 때의 관원으로는 제점(提點:정3품 겸관)·영(令:정3품)·정(正:종3품)·부정(副正:종4품)·승(丞:종5품) 각 1명, 주부(注簿:종6품) 2명, 장루(掌漏:종7품) 2명, 시일(視日:정8품) 3명, 사력(司曆:종8품) 3명, 감후(監候:정9품) 3명, 사신(司辰:종9품) 2명을 두었다.

조선시대 초기에는 고려의 제도가 그대로 계승되어 이어오다가 1392년(조선 태조 1)에 다시 설치한 것으로 천문·재상(災祥)·역일(曆日)·추택(推擇)의 일을 주로 맡았다. 관원으로는 판관(判官:정3품)을 비롯하여 정(正)·부정(副正)·승(丞)·겸승(兼丞)·주부·겸주부(兼注簿)·장루·시일·사력·감후·사신 등을 두었다. 조선 국초의 서운관은 한양(漢陽)으로의 천도(遷都) 작업에 큰 몫을 하였는데 관직은 《경국대전》에 따른 것으로, 시대에 따라 관직명과 규모에 변동이 있었다.

  • 영사(領事) : 정 1품으로 동일 품계자가 겸임하고, 제조(提調) 2인을 두었다.
  • 정(正) : 정 3품
  • 부정(副正) : 종 3품
  • 첨정(僉正) : 종 4품
  • 판관(判官) : 종 5품
  • 주부(主簿) : 종 6품
  • 천문학교수(天文學敎授) : 종 6품
  • 지리학교수(地理學敎授) : 종 6품
  • 명과학교수(命課學敎授) : 종 6품
  • 직장(直長) : 종 7품
  • 봉사(奉事) : 종 8품
  • 부봉사(副奉事) : 정 9품
  • 천문학·지리학 훈도
  • 명과학(命課學) 훈도
  • 산원(散員)

일영대[편집]

《서운관(書雲觀)》에서 비밀리에 전해졌다는 기록을 《서운관비기(書雲觀秘記)》라고 하였는데 공식적인 기록으로는 《서운관지(書雲觀誌)》가 있다. 또한 1434년(조선 세종 16)에 경복궁 서운관에 설치된 해시계로 일영대(日影臺)가 있다. 높이 3.46m, 넓이 2.4×2.5m이며 현재 서울시 종로구 원서동(계동) 현대빌딩 앞마당에 있다.

각주[편집]

  1. 1936년 8월 7일 동아일보 7면 사회 기사(가십)에는 벌리(伐李)와 왕심리(枉尋里)라는 제목으로 '惠化門外(혜화문외) 十餘里(십여리)쯤 되는곳인데 그 本名(본명)은 伐李(벌리)였다. 高麗(고려)의 書雲觀秘記(서운관비기)에 "李王都漢陽(이왕도한양)"이란 說(설)이 있는 故(고)로 高麗忠肅王(고려충숙왕)이 크게 걱정하야 漢陽(한양)에 南京府(남경부)를 設立(설립)하고 李姓(이성)을 가진사람으로 府尹(부윤)을 삼으며 三角山下(삼각산하)에 李樹(이수)를 많이 심어서 그것이 茂盛(무성)하면 문득 斫伐(작벌)하야 地氣(지기)를 누르고 地名(지명)을 伐李(벌리)라 했드니..'라는 내용이 나온다. 현재 강북구 번동에 대한 얘기이다.
  2. “21세 ‘격구 천재’ 이성계, 고려 조정에 얼굴을 알리다”. 중앙SUNDAY. 2000년 8월 22일. 2013년 1월 15일에 확인함. 
  3. 1445년(조선 세종 27) 4월에 편찬되어 1447년(조선 세종 29) 5월에 간행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의 주(註)에는 ≪구변지국≫이 신지의 찬(撰)이라는 점을 밝히면서 권위를 부여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용비어천가≫ 제16장의 주에 따르면 고려 숙종 때 김위제(金謂磾)가 한양 천도의 상소문에 신지설과 도선(道詵)의 도참설을 인용하였다고 하므로 ≪구변지국≫의 성립은 적어도 고려 숙종 이전에도 유포되어 있었던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책은 왕조의 교체를 예언한 도참서(圖讖書)로 일명 ‘구변진단도(九變震檀圖)’·‘구변도국(九變圖局)’·‘구변도(九變圖)’라고도 한다.
  4. 구변진단도(九變震檀圖)는 진단(震檀)의 왕조 변혁이 아홉 차례에 이른다는 예언서로서, 저자는 단군조선 때의 신지(神誌)라고 전해져 오나 신빙성이 없다. 내용은 그 전문이 밝혀지지 않아 자세히는 알 수 없으나 ‘건목득자(建木得子)’가 요지로 되어 있다. 사자성어의 내용은 글자 그대로 '나무를 세워 열매(아들)을 얻는다'는 뜻이지만 이는 이(李)자의 파획(破劃)으로 ‘십팔자(十八子)’라고 하여 이씨 성을 가진 자가 아홉왕조 중의 하나를 세운다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5. 서운관,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6. 12년(1466) 1월 15일 1번째기사, 《세조실록》 38권
  7. 31년(1894) 7월 11일 1번째 기사, 《고종실록》 32권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