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유리시로/마케도니아 공화국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토론 내용 지적점

-민족 문단부터 내용이 매우 부실합니다. 
-지리 문단 이후부터는 전체적으로 부족하네요. 
-문서 보강 이후에 다시 도전해보시면 고려해보겠습니다!
-민족~행정구역 문단의 내용이 조금 더 채워지면 좋겠네요
-문단 다듬기도 중요하고, 웹문서 (불로그나 지식검색, 미니홈피, 트위터, 유튜브와 같이 믿을만한 정보가 아니면 웬만하면 다 됨)를 
출처로 기입해야 큰 무리가 없으므로 이것도 역시 절차를 몇 번 거쳐야 하게 되므로 반대에 한표
<<이 사용자는 또 무슨 짓을 하려고 합니다.>>
북마케도니아 공화국
마케도니아어: Република Северна Македонија
알바니아어: Republika e Maqedonisë së Veriut

국기

국장
표어(없음)
국가마케도니아의 오늘을 넘어
수도스코페 북위 42° 00′ 00″ 동경 21° 26′ 00″ / 북위 42.0000° 동경 21.433333°  / 42.0000; 21.433333
유리시로/마케도니아 공화국(북마케도니아)
정치
정치체제공화제, 단일제, 의원내각제
대통령
총리
스테보 펜다로프스키
디미타르 코바체프스키
역사
독립유고슬라비아로부터 독립
 • 독립1991년 9월 8일
지리
면적25,333 km2 (149 위)
내수면 비율1.9%
시간대CET (UTC+1)
DSTCEST (UTC+2)
인문
공용어마케도니아어, 알바니아어1
데모님마케도니아인
인구
2015년 어림2,065,769명 (145위)
인구 밀도80.1명/km2 (122위)
경제
GDP(PPP)2012년 어림값
 • 전체$22,147,000,000 (121위)
 • 일인당$10,728 (80위)
GDP(명목)2012년 어림값
HDI0.740 (78위, 2012년 조사)
통화데나르 (MKD)
종교
종교기독교 60.4%[1]
무종교 0.5%
이슬람교 32.2%
기타 종교 0.2%
기타
ISO 3166-1807, MK, MKD
도메인.mk
국제 전화+389
1 마케도니아어는 북마케도니아의 영토 전체와 국제 관계에서 사용되는 북마케도니아의 국어이자 공용어이다. 알바니아어는 국방, 중앙 경찰, 통화 정책을 제외한 여러 분야에서 사용되는 국가 차원의 공용어이자 알바니아어 사용자가 20% 이상인 지방 자치체에서 사용되는 북마케도니아의 공동 공용어이다.

마케도니아 공화국(Република Македонија, 문화어: 마께도니아 공화국)은 남동부 유럽 발칸 반도 한가운데에 있는 내륙국이다. 이 나라는 북서쪽으로 코소보[2], 북쪽으로 세르비아, 동쪽으로 불가리아, 남쪽으로 그리스, 서쪽으로 알바니아와 접한다.[3] 수도는 스코페이며, 그 밖에 주요 도시로는 비톨라, 쿠마노보, 프릴레프, 오흐리드, 벨레스, 슈티프, 코차니, 고스티바르, 스트루미차 등이 있다. 국토 내에는 50개가 넘는 호수가 있으며, 2,000m가 넘는 산도 16곳이 있다.

오늘날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영토는 옛 유고슬라비아의 남단이었으며,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이 들어서면서 지금의 국경이 확정되었다. 1991년유고슬라비아로부터 국경 변경 없이 평화적으로 분리 독립했다. 마케도니아는 마케도니아 공화국 뿐 아니라 그리스, 불가리아에 걸친 역사상의 지방을 이르는 이름으로, 그리스에도 마케도니아로 명명한 행정 구역이 있다. 1993년 국제 연합에 가입했으나 나라 이름을 "마케도니아"로 쓰는 데 그리스가 반대하여 마케도니아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줄여서 FYROM[4][5])이라는 잠정 명칭을 받아들였다.[6][7] 마케도니아는 국제 연합과 더불어 유럽 평의회 회원국이다. 2005년 12월부터 이 나라는 유럽 연합 가입 후보국이 되었으며 북대서양 조약기구에도 가입을 신청했다.

역사[편집]

고대[편집]

고대에 마케도니아 공화국 영토 대부분은 트라키아인 계통의 파이오니아 왕국에 속했다.[8] 또, 일리리아인 민족이 살던 고대 일리리아[9][10][11][12]다르다니이[13]도 이 땅의 일부를 차지했으며, 몰로소이족이 사는 륀케스티스펠라고니아도 있었다.[14] 이들 사이에 정해진 경계는 없었으며, 때로는 마케도니아 왕국에 종속돼 있다가 떨어져 나갈 때도 있었다.

기원전 336년 마케도니아 왕국의 필리포스 2세는 왕국의 북부와 파이오니아 남부가 속한 상부 마케도니아를 정복했는데, 이 땅은 오늘날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일부가 된다.[15] 필리포스의 아들인 알렉산드로스 대왕은 이 곳의 나머지 지방도 정복하여 도나우 강까지 진출하여 자신의 영토로 복속했다. 로마인들은 현 마케도니아 공화국 영토의 상당수 지방을 마케도니아 속주로 편입했으며, 북단 일부 지역은 모이시아 속주로 두었다. 디오클레티아누스 시대에 두 속주는 세분되어 현 공화국의 영토는 마케도니아 살루타리스(Macedonia Salutaris)와 모이시아 프리마(Moesia Prima)로 갈라졌다.[16]

중세[편집]

서기 580년에 비잔티움 제국의 문헌에서는 아바르족불가르족의 도움을 받아 마케도니아 지방의 제국 영토를 침략한 슬라브인에 대한 기록이 나온다. 680년경 쿠베르(Kuber)라는 불가르인이 이끄는 불가르족슬라브족 비잔티움 사람들이 비톨라 시를 중심으로 한 케라미시안(Keramisian) 평원에 정착했다는 기록도 있다.[17] 불가리아의 프레시안 1세 시대에 불가리아는 슬라브족과 함께 마케도니아 지방과 그 주변 지역에 대한 영향력을 확대했다. 9세기경 불가리아의 보리스 1세 차르 치세에 마케도니아 지방에 살던 슬라브족은 기독교를 받아들인다.

1014년 비잔티움 제국의 바실레이오스 2세 황제는 불가리아의 사무일 차르 군대에 치명타를 가해 1018년에 7세기 이래 처음으로 마케도니아를 비롯한 발칸 전역의 지배권을 회복한다. 그러나, 12세기 말에 비잔티움 제국이 쇠퇴하면서 이 지역은 여러 세력들의 각축장이 되었으며, 1080년대에는 노르만족이 잠시 지배하기도 했다.

13세기 초에 불가리아 제국이 부흥하여 이 지역을 다시 장악했다. 그러나, 불가리아 제국은 정치적 혼란에 시달리다 결국 14세기 초에 이 땅을 비잔티움 제국에 내준다. 14세기에 마케도니아 땅은 슬라브 민족의 해방자를 자처한 세르비아 제국에 복속된다. 스코페스테판 두샨 차르의 수도가 되었다.

두샨이 죽자 나약한 후계자가 황위를 잇고 귀족 간에 권력 투쟁이 일어나면서 발칸은 다시 쪼개졌고, 이 시기에 오스만 제국이 유럽에 진입했다. 14세기에 세르비아 제국이 무너지면서 프릴레프 왕국이 들어섰으나 단명했다.[18] 이로써 발칸 반도는 중북부까지 500여 년 동안 오스만 제국의 지배를 받게 되었다.

민족의 각성[편집]

18세기 초 불가리아 민족 부흥이 시작될 당시 이 지역에는 밀라디노프 형제,[19] 라이코 친지포프, 요아킴 크르초프스키,[20] 키릴 페이치노비크[21] 등 여러 개혁자가 나왔다. 스코폐, 데바르, 비톨라, 오흐리드, 벨레스, 스트루미카의 주교들은 투표를 통해 1870년에 생긴 불가리아 주교구에 합류하기로 했다.[22]

19세기 말부터 마케도니아 지방 전역을 아우르는 자치을 수립을 위한 여러 운동들이 시작되었는데, 최초의 조직은 '불가리아 마케도니아-아드리아노폴리스 혁명 위원회'였다. 이 조직은 1905년에 '내부 마케도니아-아드리아노폴리스 혁명단'(Internal Macedonian-Adrianople Revolutionary Organization)으로 개칭했으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과 '내부 트라키아 혁명단'으로 분리되었다.

초기에 이 조직은 어떠한 민족 정체성도 주장하지 않았고, 공식적으로 "민족성에 상관 없이 마케도니아아드리아노폴리스 지역의 모든 불만 세력을 통합"하는 가능성을 열어두었다.[23] 당시 마케도니아 지방에는 마케도니아인, 불가리아인, 그리스인, 알바니아인, 터키인 등이 흩어져 살았다. 그러나, 혁명단 다수는 마케도니아 불가리아인이었다.[24] 1903년에 마케도니아 혁명단은 오스만에 대항하여 '일린덴-프레오브라제니에 반란'을 일으켜 다수 사상자를 내었으나, '크루셰프 공화국'을 세우는데 성공하였다. 이 반란과 크루셰프 공화국 성립은 '마케도니아 공화국'을 세운 주춧돌로 평가받고 있다.

세르비아 왕국과 유고슬라비아 왕국[편집]

발칸 전쟁으로 분할된 마케도니아트라키아

1912년과 1913년의 두 번의 발칸 전쟁오스만 제국의 해체 이후 오스만 제국의 발칸 영토의 대부분은 그리스, 세르비아, 불가리아가 나눠 가지고, 알바니아는 독립하였다. 오늘날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영토는 당시 '남부 세르비아'(세르비아어: Južna Srbija 유즈나 스르비야)로 명명되었다.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세르비아는 세르비아-크로아티아-슬로베니아 왕국의 일부가 된다. 1929년 이 왕국은 국호를 유고슬라비아 왕국으로 바꾸고, 현재의 마케도니아 공화국 영토가 포함된 남부 세르비아를 '바르다르 주(Vardar Banovina 바르다르 바노비나)'로 개편하였다.

1920년부터 1934년까지 토도르 알렉산드로프, 알렉산다르 프로토게로프, 이반 미하일로프 등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 지도자들은 세르비아그리스가 점령한 영토를 해방하고 지역이나 민족성과 상관 없이 모든 마케도니아인들을 위한 마케도니아의 독립과 통일을 이루자는 내용의 마케도니아 통일 사상을 내세웠다. 1918년 알렉산데르 말리노프의 불가리아 정부는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이러한 목적을 위해 피린 마케도니아(Pirin Macedonia)를 내놓겠다고 제의했으나,[25] 세르비아와 그리스는 이를 반대하였고 열강들 역시 이 방안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바르다르 주에서 반란이 일어나자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은 이에 뛰어들었고, 이와 함께 마케도니아 청년 비밀 혁명단도 바르다르 주의 세르비아 관청과 군대에 게릴라 공격을 감행했다. 1923년 슈티프에서는 세르비아 게릴라들이 조직한 준군사 조직인 '불가리아 도적 대항 연합'과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의 변절자들 및 마케도니아 연방단이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과 마케도니아 청년 비밀 혁명단에 대립했다.[26]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의 마케도니아[편집]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유고슬라비아는 추축국에 점령당했다. 이 시기에 바르다르 주는 불가리아와 이탈리아령 알바니아로 분할되었고, 불가리아 행동 위원회가 들어서 불가리아 정부와 군대를 위해 일했다.[27] 행동 위원회는 대부분 과거 내부 마케도니아 혁명단 출신 단원들이 결성하였으나, 판코 브라슈나로프, 스트라힐 고고프, 메토디 샤토로프와 같은 공산주의자도 참여했다.

마케도니아 공산주의자들의 지도자였던 샤토로프는 유고슬라비아 공산당에서 불가리아 공산당으로 적을 옮겼으며,[28][29] 불가리아군과 싸우기를 거부했다.[30] 불가리아 당국은 독일의 압력으로 스코페비톨라에서 7,000명이 넘는 유대인들을 국외로 추방했다.[31][32] 점령군의 잔혹한 통치 때문에 마케도니아인들은 1943년 이후 요시프 브로즈 티토의 공산주의 빨치산 저항 운동을 지지했고,[33] 마케도니아 민족 해방 전쟁이 뒤따라 일어나 1944년 말에 마케도니아에서 독일군은 쫓겨났다.

1944년 불가리아 군사 정변 이후 마케도니아에서 불가리아군은 독일군에 포위되어 옛 불가리아 국경까지 물러가 저항했다. 같은 해 9월에 3개 불가리아군(총 455,000여명 병력)이 유고슬라비아로 진입했으며, 그리스에서 철수하는 독일군을 차단하는 전략적 임무를 맡아 소피아에서 니슈스코페로 진군했다. 세르비아의 남부와 동부 및 마케도니아는 한 달도 안 돼 해방되었다.[34] 1945년에 불가리아 정부는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통일 마케도니아 건국을 위해 피린 마케도니아 할양을 재차 제시했다.[35]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의 마케도니아[편집]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내의 공화국이었던 마케도니아(짙은 붉은 색)

1944년 마케도니아 인민 해방을 위한 반파시즘 의회는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이 티토가 이끄는 '유고슬라비아 인민 연방 공화국'의 일부라고 선언했다. 반파시즘 의회는 전쟁이 끝날 때까지 실질적인 정부로 기능했다. 반파시즘 의회의 언어학자들은 마케도니아어 문자를 제정했다.

새 공화국은 유고슬라비아 연방의 여섯 공화국 가운데 일원이 되었다. 유고슬라비아 연방이 1963년에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으로 개칭하자, 마케도니아 인민 공화국도 마찬가지로 마케도니아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개칭했다. 그리스 내전(1946년~1949년) 당시 마케도니아 공산주의 반군이 그리스 공산주의자를 지원했다. 이후 그리스에서 난민들이 마케도니아로 많이 들어왔다. 1948년에 유고슬라비아와 소비에트 연방간의 코민포름 분쟁 이후 불가리아가 마케도니아에 대해 영토적 야심을 드러내자, 티토는 마케도니아어의 독자성과 역사 교육을 인정해주었고, 마케도니아 정교회세르비아 정교회에서 분리 독립하도록 지원해주었다.[36] 1991년에 마케도니아는 유고슬라비아에서 평화로이 분리 독립하였고, 국호에서 '사회주의'를 뺐다.

독립 선언[편집]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1991년 9월 8일을 독립기념일로 지정했는데, 이 날 마케도니아는 국민 투표를 통해 유고슬라비아에서 독립했으며, 다만 차후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의 후신에 참여하기로 법제화했다. '일린덴-프레오브라제니에 반란'이 시작된 날(성 일리야의 날)인 8월 2일도 공화국의 날로 공식적인 차원에서 기념한다.

마케도니아는 1990년대 초 유고슬라비아 전쟁 와중에도 평화를 지켰다. 유고슬라비아와 마케도니아 사이의 국경 문제를 놓고 소소한 변화를 합의한 정도 외에 마케도니아는 별다른 문제를 겪지 않았다. 그러나, 유럽 연합 회원국인 그리스는 자국이 고대 마케도니아 제국에 대한 역사적 당위성과 정통성을 가졌다는 이유로 마케도니아 독립에 강력히 반발하여 1994년에는 양국이 군사대치사태까지 갔다.[37] 이에 미국과 유럽 각국이 마케도니아 문제에 개입하여 1995년 9월에 마케도니아와 그리스는 마케도니아를 마케도니아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FYROM)으로 지칭한 1993년의 UN 중재안을 받아 들여 관계정상화에 합의하였다.[37] 또, 1999년에는 코소보 전쟁으로 코소보에서 36만여명의 알바니아계 난민들이 피난오면서 마케도니아는 심각한 불안(不安) 사태를 맞았다. 전쟁이 끝난 직후에 이들은 마케도니아를 떠났지만, 양국 국경지대의 알바니아인 급진주의자들이 마케도니아 영토에 사는 알바니아인들의 자치와 독립을 위해 반란하였다.

알바니아계의 반란[편집]

2001년 6월에 알바니아계 반군과 정부간에 내전이 마케도니아 북부와 서부 지역을 중심으로 벌어졌다. 이 전쟁은 나토 휴전 감시군이 개입하면서 끝난다. 오흐리드 협정에서 마케도니아 정부는 알바니아계 집단에게 자치 권력의 이양과 문화 인정을 확대하고, 알바니아인들은 분리 요구를 포기하고 마케도니아 체제를 완전히 인정하기로 합의하였다. 또, 오흐리드 합의에 따라 알바니아계 민족해방군은 무장을 해제하고 무기를 나토군에 넘겼다.

지리[편집]

마케도니아 지도.
야쿠피카 산맥에 있는 솔룬스카 글라바 봉의 봄 풍경.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면적은 25,713 km2이다. 이 나라는 그리스에서 발칸 반도를 통해 동서유럽과 중부 유럽을 잇고 불가리아를 통해 동방을 잇는 교역로이기도 하다.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역사상의 마케도니아 지방의 일부에 불과하며, 같은 이름을 가진 그리스 북부 지방과 불가리아 남서부의 블라고에브그라드 주 역시 옛 마케도니아 땅이었다.

지형[편집]

마케도니아는 지리상 바르다르 강 유역을 중심으로 주변 산맥을 국경선으로 삼는 내륙국이다. 샤르 산맥에서 오소고보에 이르기까지 국토는 바르다르 강 협곡을 사이로 대개 거친 지형으로 이루어져 있다. 알바니아 및 그리스와 접한 남쪽 국경에는 큰 호수 세 곳 - 오흐리드 호, 프레스파 호, 도이란 호 - 가 있다. 오흐리드 호는 세계에서 매우 오래된 호수이자 생태계로 손꼽히는 곳이다.[38] 이 지역은 지진 활동이 활발하며 과거에도 심각한 지진이 발생한 바 있는데, 1963년 스코폐에서 큰 지진이 나서 1,000이 넘는 사망자가 나기도 했다.

마케도니아는 주로 산악 경관을 보인다. 주요 산맥이 둘 있는데, 첫째로 샤르 산맥[39][40]디나르 산맥으로도 알려진 서부 바르다르/펠라고니아 산악군(바바 산, 니드제 산, 코주프 산, 야쿠피카 산)으로 이어진다. 두번째는 로도피 산맥으로도 알려진 오소고소 산-벨라시카 산맥이다. 샤르 산맥과 서부 바르다르/펠라고니아 산악군에 속하는 산들은 오소고보-벨라시카 산맥보다 더 최근에 형성된 것으로 높이도 더 높다.

국토 최고봉인 코라브 산.

수계[편집]

마케도니아에는 큰 수원지가 1,100곳 있다. 강은 에게 해와 아드리아 해, 흑해의 분지로 흘러나간다.[41]

이 가운데 에게 분지가 가장 넓은데, 공화국 국토의 87%인 22,075평방킬로미터에 이른다. 에게 분지에서 가장 긴 강인 바르다르 강을 통해 국토의 80%에 해당하는 20,459평방킬로미터의 강물이 흐른다. 바르다르 강 유역은 마케도니아 경제와 통신 체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츠른 드린 강이 흘러 형성된 아드리아 분지는 국토 면적의 13%인 3,320평방킬로미터를 차지한다. 오흐리드 호와 프레스파 호의 물이 이 강을 통해 흘러나간다.

흑해 분지는 37km로 가장 짧은 강으로, 스코프스카 츠르나 고라 산 북쪽 지역이다. 이곳은 비나츠카 모라바 강의 수원으로, 모라바 강과 다음으로 도나우 강과 합류하여 흑해로 흐른다.

마케도니아는 내륙국이긴 하지만 거대한 자연 호수인 오흐리드 호, 프레스파 호, 도이란 호를 비롯해 50여곳의 작은 호수가 있다.

마케도니아어로 온천을 반야(бања)라고 하는데, 이 나라에는 9곳의 온천 도시와 휴양지가 있다. 바니슈테, 반야 반스코, 이스티반야, 카틀라노보, 케조비카, 코소브라스티, 반야 코차니, 쿠마노프스키 반이, 네고르치가 바로 그러하다.

기후[편집]

마브로보 호.

마케도니아는 지중해성 기후에서 대륙성 기후로 가는 점이적인 기후를 보인다. 여름은 고온 건조하고, 겨울은 약간 춥다. 연평균 강수량은 서부 산지의 1,700mm에서 동부 지역의 500mm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이 나라에는 온난한 지중해성, 산악 및 온호환 대륙성 기후 이 세 기후대가 있다. 바르다르 강과 스트루미카 강이 흐르는 유역을 따라 게프겔리야, 발란도보, 도이란, 스트루미카, 라도비슈 지역은 온화한 지중해성 기후를 보인다. 데미르 카피야와 게프겔리야 지역은 가장 따뜻한 곳으로, 7,8월 기온은 40도씨가 넘는다. 산악 기후는 국토의 산지에서 나타나며, 겨울이 길고 눈이 많이 내리며 여름은 짧고 서늘하다. 봄은 가을보다 춥다. 마케도니아 국토 대부분은 온난한 대륙성 기후로, 여름에는 온난 건조하고 겨울에는 비교적 한랭 습윤하다. 국토 내에 주요 기상 관측소는 30곳이 있다.

민족[편집]

마케도니아에서 가장 비중이 큰 민족마케도니아인으로 전 인구의 64.2%를 차지한다. 두번째는 인구의 25.2%인 알바니아인인데, 국토 서부의 상당 지역을 차지한다. 그 밖에 터키인이 3.9%, 롬족이 2.7%, 세르비아인이 1.8%, 보스니아인이 0.8%이다(2003년 현재).[42]

언어[편집]

공용어는 마케도니아어로서, 이를 모어(母語)로 쓰는 인구는 66.5%이다. 그 밖에 다른 언어로는 알바니아어가 25.1%, 터키어가 3.5%, 롬어가 1.9%, 세르비아어가 1.2%, 보스니아어가 0.4%이다. 전국 수준의 공용어는 마케도니아어가 유일하며, 지자체에서 주민의 20% 이상이 사용하는 언어는 마케도니아어와 함께 그 지자체에서 공용어가 될 수 있다.(아래의 헌법참고)

마케도니아는 프랑스어사용국기구(프랑코포니)의 준회원국에서 2006년에 정회원국이 되었다.

종교[편집]

종교는 마케도니아 정교회 인구가 64.7%를 차지해 가장 많으며, 그 다음으로 이슬람교 인구가 33.3%를 차지한다.(마케도니아인 무슬림은 '토르베시인'이라고 부른다) 이 나라는 유럽에서 코소보, 알바니아,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에 이어 무슬림 인구비율이 높은 나라이다.

문화[편집]

슬라브족의 문화가 주류이나 정교회의 내부건축과 예배양식은 그리스적인 요소가 많이 남아 있다. 국민의 3분의 1이 이슬람교도로 오스만제국 지배기간 동안 받은 터키 문화의 영향도 적지 않다. 그 대표적인 예는 카펫이다.

관광[편집]

마케도니아 공화국에는 몇 개의 휴양지가 존재하고 있다(포포바샤프카, 포니크바, 네고르스키바니, 라가딘, 마브로보, 케조비차, 바냐반스코, 데바르스키바니와 기타 등.)

행정 구역[편집]

마케도니아 공화국은 2004년 8월 기준으로 84개 지방 자치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가운데 10개 지방 자치체는 마케도니아 공화국의 수도인 스코페 도시권을 형성한다.

외교 관계[편집]

마케도니아 공화국이 1991부터 1995년까지 사용한 국기
그리스와의 관계

마케도니아와 그리스는 국호인 마케도니아 문제로 심한 갈등을 빚고 있다. 그리스는 마케도니아가 그리스가 전통적으로 점유해 온 지방의 명칭이라며 마케도니아라는 국호를 사용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한다. 1993년 마케도니아가 UN 정회원국으로 가입할 당시, 1945년부터 UN 정회원국이었던 그리스가 마케도니아라는 국호를 사용하면 가입을 승인할 수 없다고 주장함에 따라 마케도니아 구 유고슬라비아 공화국(FYROM)이라는 잠정국호로 가입하였다. 특히 마케도니아는 독립 당시 국기를 빨강 바탕에 16개의 태양의 햇살을 지닌 국기를 제정, 사용했는데 이에 대해 그리스 정부는 알렉산드로스 대왕과 연관이 깊다는 이유로 이 국기를 사용하는 것에 대해 강력 반발하였으며, 마케도니아는 1993년 UN 가입 당시 이 국기를 사용하지 못하였다. 그러다가 1995년부터 국기를 일부 수정하여 빨강 바탕에 햇살을 8개로 축소한 현재의 국기로 변경하였다. 이후에도 국명(國名)을 둘러싼 그리스와의 대립은 계속되고 있으나, 2004년 그리스 아테네 올림픽에는 IOC 회원국 자격으로 참가하였다.

구 유고슬라비아 국가들과의 관계

마케도니아는 세르비아, 슬로베니아, 보스니아, 크로아티아 등 구 유고슬라비아 출신 독립국가들과도 대체로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대한민국과의 관계

마케도니아는 현재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단독 수교국이다. 마케도니아 정부는 대한민국 측에 수교를 요구하고 있으나, 대한민국 정부한국전쟁 참전국이자 전통적 우방인 그리스와의 관계 악화를 우려하여 마케도니아와의 외교관계 수립에 적극 나서지 못하고 있다.[43]

EU 가맹국과의 관계

마케도니아는 덴마크, 영국, 프랑스 등 여러 EU소속 국가와 외교관계를 맺고 있다. 마케도니아는 EU가입 후보국에 올라있으나, 정회원국인 그리스가 가입을 반대하고 있다.

주석[편집]

  1. 정교회 46.1%
    기타 기독교 14.3%
  2. 코소보세르비아 공화국에서 분리 독립을 선언하여 영토 문제를 빚고 있다. 코소보는 2008년 2월 17일에 코소보 공화국으로 독립을 선언했으나, 세르비아는 코소보가 자국의 주권이 미치는 영토라고 주장한다. 코소보는 192개 국제 연합 회원국 가운데 70개국의 승인을 받았다.
  3. The Republic of Macedonia - BASIC FACTS, Republic of Macedonia, Ministry of foreign affairs
  4. FYROM on un.org
  5. Igor Janev, Legal Aspects of the Use of a Provisional Name for Macedonia in the United Nations System, AJIL, Vol. 93. no 1. 1999.
  6.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817호 (1993년 4월 7일 채택), 국제 연합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845호 (1993년 6월 18일 채택) UN resolutions made on 1993
  7. “Note on Yugoslavia”. 2008년 5월 10일에 확인함.  "By resolution A/RES/47/225 of 8 April 1993, the General Assembly decided to admit as a Member of the United Nations the State being provisionally referred to for all purposes within the United Nations as the former Yugoslav Republic of Macedonia pending settlement of the difference that had arisen over its name."
  8. Bauer, Susan Wise: The History of the Ancient World: From the Earliest Accounts to the Fall of Rome (2007),ISBN 0-393-05974-X, page 518: "... Italy); to the north, Thracian tribes known collectively as the Paeonians."
  9. Borza, Eugene N (1992년 9월 8일). 《Borza, Eugene N., ''In the shadow of Olympus: the emergence of Maced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2,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 [[Special:BookSources/0-691-00880-9 |0-691-00880-9]], pp. 74-75》. Books.google.com. 370쪽. ISBN 9780691008806.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17) (도움말);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10. Lewis, D. M; Boardman, John (1994). 《Lewis, D.M. et al. (ed.),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The fourth century B.C.'',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00,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 [[Special:BookSources/0-521-23348-8 |0-521-23348-8]], pp. 723-724》. Books.google.com. 1104쪽. ISBN 9780521233484.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29) (도움말);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11. Wilkes, John (1995년 12월 28일). 《Wilkes, John: ''The Illyrians'', Wiley-Blackwell, 1996,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 [[Special:BookSources/0-631-19807-5 |0-631-19807-5]], p. 49》. Books.google.com. 388쪽. ISBN 9780631198079.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65) (도움말);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12. Sealey, Raphael (1976). 《Sealey, Raphael, ''A history of the Greek city states, ca. 700-338 B.C.'',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76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 [[Special:BookSources/0-520-03177-6 |0-520-03177-6]], p. 442》. Books.google.com. 542쪽. ISBN 9780520031777.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21) (도움말);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13. Evans, Thammy (2007년 6월 1일). 《Evans, Thammy, ''Macedonia,'' Bradt Travel Guides, 2007,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 [[Special:BookSources/1-84162-186-2 |1-84162-186-2]], p. 13》. Books.google.com. 332쪽. ISBN 9781841621869.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66) (도움말);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14. The Cambridge Ancient History Volume 3, Part 3: The Expansion of the Greek World, Eighth to Sixth Centuries BC by John Boardman and N. G. L. Hammond,1982,ISBN 0-521-23447-6,page 284
  15. Poulton, Hugh (2000년 2월 23일). 《Poulton, Hugh, ''Who are the Macedonians?'' C. Hurst & Co. Publishers, 2000,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 [[Special:BookSources/1-85065-534-0 |1-85065-534-0]], p. 14》. Books.google.com. 244쪽. ISBN 9781850655343.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86) (도움말);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16. Encyclopædia Britannica. “Encyclopaedia Britannica — Scopje”. Britannica.com.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17. "Acta Sancti Demetrii", V 195-207, Гръцки извори за българската история, 3, стр. 159-166
  18. Nicol, Donald Macgillivray (1993). 《The last centuries of Byzantium, (1261-1453) by Donald MacGillivray Nicol》. Books.google.com. 500쪽. ISBN 9780521439916.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19. Phillips, John (2004). 《Macedonia: Warlords and Rebels in the Balkans》. I.B.Tauris. 41쪽. ISBN 186064841X. 
  20. Becoming Bulgarian: the articulation of Bulgarian identity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its international context: an intellectual history, Ost-European studies, Janette Sampimon, Pegasus, 2006, ISBN 90-6143-311-8, p. 234.
  21. James Franklin Clarke, Dennis P. Hupchick - "The pen and the sword: studies in Bulgarian history", Columbia University Press, 1988, ISBN 0-88033-149-6, page. 221 (...Peichinovich of Tetovo, Macedonia, author of one of the first Bulgarian books...)
  22. Gawrych, George Walter (2006). The Crescent and the Eagle: Ottoman Rule, Islam and the Albanians, 1874-1913. I.B.Tauris. p. 28. ISBN 1-84511-287-3.
  23. M. Glenny, "The Balkans"
  24. 《History of the Ottoman Empire and Modern Turkey: Volume 2, Reform, Revolution, and Republic: The Rise of Modern Turkey 1808-1975, by Stanford J. Shaw, 1977, Cambridge University Press,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 [[Special:BookSources/978-0-521-29166-8 |978-0-521-29166-8]], p. 209》. Books.google.bg. 1977년 5월 27일. ISBN 9780521291668.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186) (도움말);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25. Gerginov, Kr., Bilyarski, Ts. Unpublished documents for Todor Alexandrov's activities 1910-1919, magazine VIS, book 2, 1987, p.214 - Гергинов, Кр. Билярски, Ц. Непубликувани документи за дейността на Тодор Александров 1910-1919, сп. ВИС, кн. 2 от 1987, с. 214.
  26. Vassil Karloukovski. “Гиза, Антони, „Балканските държави и Македония“, Македонски Научен Институт ­ София, 2001 г”. Promacedonia.org.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소프트 하이픈 문자가 있음(위치 77) (도움말)
  27. Bulgarian Campaign Committees in Macedonia - 1941 Dimitre Mičev
  28. Historical dictionary of the Republic of Macedonia, Valentina Georgieva, Sasha Konechni, Scarecrow Press, 1998, ISBN 0-8108-3336-0, p. 223.
  29. 《Who are the Macedonians? Hugh Poulton, C. Hurst & Co. Publishers, 1995,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 [[Special:BookSources/1-85065-238-4 |1-85065-238-4]], p.102》. Books.google.bg. 1995. ISBN 9781850652380.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73) (도움말);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30. Miller, Marshall Lee (1975). 《Bulgaria during the Second World War, Marshall Lee Miller, Stanford University Press, 1975, [[국제 표준 도서 번호|ISBN]] [[Special:BookSources/0-8047-0870-3 |0-8047-0870-3]], p. 131》. Books.google.com. 314쪽. ISBN 9780804708708.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title=에 templatestyles stripmarker가 있음(위치 93) (도움말); URL과 위키 링크가 충돌함 (도움말)
  31. Bulgaria managed to save its entire 48,000-strong Jewish population during World War II from deportation to concentration camps, but under German pressure those Jews from their newly annexed territories without Bulgarian citizenship were deported, such as those from Vardar Macedonia and Western Thrace. The Holocaust in Macedonia: Deportation of Monastir Jewry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32. Mark Cohen, The Holocaust in Macedonia: Deportation of Monastir Jewry,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33. This policy changed since 1943 with the arrival of the Tito's envoy Montenegrin Serb Svetozar Vukmanović-Tempo. He began in earnest to organise armed resistance to the Bulgarian rule and sharply criticized the Sharlo's pro-Bulgarian policy.At a meeting of the partisan brigades, as well as a group of battalions in the Resen region on 21 Dec 1943, Tempo makes the following comments about Shatorov and the leadership of the MCP: ...They thought that the Macedonian people were Bulgarians and that they were oppressed by the hegemony of Great Serbia and had to be transferred to Bulgaria. Their basic slogan is: "All non-Macedonians out of Macedonia". The capital J [Serbo-Croatian spelling of Yugoslavia, Yugoslavian, etc.] was deleted from all documents. In fact they did not want Yugoslavia, no matter where it stood politically. When the war started, the initial decision of this leadership was to be separate from Yugoslavia and from Tito. They declared that Macedonia would be free as soon as the Bulgarians came...
  34. Dr. Ivan Yanev Bulgaria's Foreign Policy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s Reflected in Bulgarian Historic Literature 1938-1944 Варна, 2006 Издателство "Литернет", Bezmonitor.com
  35. “Macedonian tribune, ed.18, 02.08.1945, page.1” (PDF).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36. 김철민, '발칸유럽 사회와 문화', 서울:한국외국어대학교 출판부, 2004년, 158쪽.
  37. 김철민, 159쪽.
  38. “Macedonian Ministry of Environment”. Web.archive.org.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39. Encyclopædia Britannica. “Britannica's article about Sar Mountains”. Britannica.com.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40. “Sar Mountains on the Euratlas map of the Europe's most significant mountain ranges”. Euratlas.com. 2010년 4월 28일에 확인함. 
  41. “Macedonia”. Mymacedonia.net. 2010년 1월 25일에 확인함. 
  42. UNDP's Regional Bureau for Europe
  43. “미수교국 쿠바 경제사절단 방한…다른 미수교국은?”. CBS. 

바깥 고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