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마 민주 항쟁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마 민중 항쟁에서 넘어옴)

부마민주항쟁
날짜1979년 10월 16일 ~ 20일
지역부산시, 경상남도 마산시
원인박정희의 유신 정권 독재
종류항의, 시위
결과시위 진압, 10·26 사태에 영향
시위 당사자
부산-마산 시위대
참여 인원
1만명 이상
사상자
체포자수1,058명
구금자수125명

부마 민주 항쟁(釜馬民主抗爭, 영어: Bu-Ma Democratic Protests)은 1979년 10월 16일부터 10월 20일까지 현재의 부산광역시경상남도 마산시 (현 소재지 : 창원시)에서 유신 체제에 대항한 시위가 일어난 것을 말한다. 10월 16일에 부산대학교 학생들이 "유신철폐"의 구호와 함께 시위를 시작했다. 다음날인 17일부터 시민 계층으로 확산된 것을 시작으로 해서, 18일19일에는 마산 지역으로 시위가 확산됐다.[1]

당시 박정희 유신정권10월 18일 오전 12시를 기해 부산계엄령을 선포하고, 66명을 군사 재판에 회부했으며, 10월 20일 오전 12시 정오 마산 및 창원 일원에 위수령을 선포하고 군을 출동시킨 후 민간인 59명을 군사재판에 회부했다.

부마민주화운동, 부·마항쟁, 부마항쟁, 부마사태라고도 한다.

배경[편집]

마산 시내에 투입된 공수부대

1978년 12월에 실시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는 합리적인 금권, 관권선거에 영향이 크게 미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권 민주공화당은 야당인 신민당에 지지율에서 패배했다. 다만 농촌에 유리한 선거제도로 인해 의석은 더 얻었다. 그 후 민주화 시위가 널리 퍼지면서 당시 민주 인사들에 대한 연행과 투옥 등 탄압 강도가 강화됐다.[2] 같은 해 8월에 YH무역주식회사 여성 노동자들의 신민당사 점거 농성으로 집권 공화당은 야당인 신민당김영삼 총재를 국회에서 제명했다.[3] 이는 곧 야당 국회의원 전원 의원직 사퇴로 이어졌다. 같은 해 9월 전국에서 대학생들의 시위가 확대됐다. 한편 김영삼의 발언을 문제삼아 국회의원직에서 제명처분을 받고 감금한 것에 대한 반발이 부마항쟁을 작용케 했다는 견해도 있다.

제가 내려가기 전까지는 남민전이나 학생이 주축이 된 데모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현지에서 보니까 그게 아닙니다. 160명을 연행했는데 16명이 학생이고 나머지는 다 일반 시민입니다. 그리고 데모 양상을 보니까 데모하는 사람들도 하는 사람들이지만 그들에게 주먹밥을 주고 또 사이다나 콜라를 갖다 주고 경찰에 밀리면 자기 집에 숨겨 주고 하는 것이 데모하는 사람과 시민들이 완전히 의기투합한 사태입니다. 주로 그 사람들의 구호를 보니까, 체제에 대한 반대, 조세에 대한 저항, 정부에 대한 불신 이런 것이 작용해서, 경찰서 11개를 불질러 버리고, 경찰 차량을 10여 대 파괴하고 불지르고, 이런 사태가 벌어졌습니다.[4]

— 중앙정보부장 김재규, 현지를 시찰한 뒤 당시 상황에 대해 내린 결론

일지[5][편집]

  • 1979년 5월 3일 – 신민당 전당대회. 온건파 이철승 패배. 강경파 김영삼이 대표로 당선.
  • 1979년 8월 11일 – YH사건 발생.
  • 1979년 9월 16일 – 김영삼 미국 뉴욕타임즈와 인터뷰 미국의 결단을 요구[6]
  • 1979년 10월 4일 – 여당인 공화당이 날치기로 신민당 대표 김영삼을 국회의원에서 제명.
  • 1979년 10월 16일 – 부마민주항쟁 발생. 부산대학교 학생 5,000여 명이 "유신정권 물러가라", "정치탄압 중단하라"는 등의 구호를 외치며 교내에서 시위. 저녁에 시내로 진출
  • 1979년 10월 17일 – 저녁 시민들이 합세하면서 시위가 지속적으로 확산, 충무파출소 · 한국방송공사(KBS) · 서구청 · 부산세무서 등이 파괴, 경찰차량 전소 내지 파손
  • 1979년 10월 18일 – 정부, 0시를 기해 부산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계엄군을 투입해 1,058명을 연행하고 66명을 군사재판에 회부.
  • 1979년 10월 19일 – 마산 지역에서 마산대학교[7]경남대학교 학생 시위, 민주공화당사·파출소·방송국 타격
  • 1979년 10월 20일 – 근로자, 고등학생 시위 합세. 마산에 위수령 선포
  • 1979년 10월 23일 – 부산 마산 통금 환원이 서서히 평온을 되찾았다.[8]
  • 1979년 10월 26일 오전 12시 – 부산지역 계엄군 철수[9]
  • 1979년 10월 26일 – 박정희 대통령 사망(10·26 사건)

영향[편집]

이 사건은 긴급조치로 유지되던 유신체제를 위기에 몰아넣었다. 이러한 항쟁은 5·18 광주 민주화 운동, 6월 항쟁에 영향을 주었다.[10]

이후[편집]

부마민주항쟁을 기리는 부산민주공원부산광역시에 조성되었고, 창원시에도 이를 기리는 기념비가 설치되었다.

2014년 10월 13일 부마항쟁 진상규명·보상위원회가 공식으로 출범하였다.[11][12]

2015년 5월 18일에는 관련 법안이 통과되었다.[13] 그러나 위원 선정의 공정성과 활동 방안에 대해서 비판을 받고 있다.[14]

시위 진압을 위한 계엄령 선포[편집]

부마민주항쟁 현장으로 공수부대 출동은 차지철의 아이디어였다고 한다.[15] 전두환 당시 보안사령관도 10월 18일 부산에 와서 계엄사령관과 진압작전 계획을 검토하였다.

참고 문헌[편집]

각주[편집]

같이 보기[편집]

외부 링크[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