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가 판권 시장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부가 판권 시장공연, 영화, 방송 프로그램 등의 문화 상품극장 상영, 본 공연, 본 방송 등을 통해서가 아닌, 그 다음 단계에서 판매하고 소비하는 시장이다. 저장 매체 기술의 발달로 일회성에 그칠 문화 상품을 기록유통하게 됨으로써 소비자들은 자신이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서 원하는 횟수만큼 그 상품 서비스를 누릴 수가 있게 되었다.

문화 상품 제공자는 부가 판권 시장을 통하여 더 큰 수익을 얻을 수 있고, 소비자는 상품을 소비하는 환경을 각자 고를 수 있게 되었다. 흔히 부가 판권 시장은 집에서 문화 상품을 감상하는 형태로 소비되기 때문에 홈 비디오 시장이라 불리기도 하며, 1차 시장 이후의 추가 시장이라 하여 2차 판권 시장, 2차 시장이라 불리기도 한다.[1][2]

부가 판권 시장은 저장 매체를 통한 소비 외에도 캐릭터, 패션 등의 파생 상품 시장도 포함한다.

저작권 기호.
DVD로 출시된 영화 작품들.

유통 구조[편집]

문화 상품이 될 수 있는 작품의 창작자는 원초적인 저작권을 갖게 되고, 저작권자는 이 권리의 일부 또는 전부를, 작품을 상품화하여 유통시키거나 재가공하려는 상대에게 판매할 수 있다. 소비자가 최초로 문화 상품을 접하게 되는 시장, 즉 1차 시장은, 연극, 뮤지컬, 오페라, 음악회 등의 공연은 극장, 또는 공연장에서, 영화영화관에서, 방송 프로그램은 예고된 시간의 본 방송을 통해서 형성된다. 1차 시장에서 미처 서비스를 누리지 못한 소비자와 1차 시장에서 이미 누렸으나 또 누리기를 원하는 소비자에게 그 욕구를 충족시킬 상품이 공급된다. 2차 상품은 최초 저작권자가 직접 생산, 판매하여 공급되기도 하며, 부가 판권을 별도로 구입한 자가 그 공급을 담당하기도 한다.[3][4]

셀스루[편집]

부가 판권 시장 중 비디오테이프, DVD 대여 등의 임대 형식이 아닌, 소장용 상품 판매에 대한 부분을 "셀-스루 시장"(Sell-Through), "소비자 직접 판매 시장"이라 부르기도 한다. 본래 이 용어는 판매량과 관련된 통계학적 개념이다.[5][6][7]

상품 유형[편집]

저장 매체[편집]

일회성으로 끝날 수 있는 시간 예술적인 문화 상품은 1차 시장 외에도 다음과 같은 저장 매체를 통해서 유통 및 판매가 된다.

그 외의 상품[편집]

한 문화 상품 속에 소비자들의 추가 소비 욕구의 잠재적 대상을 별도로 확대 생산하여 파생 문화 상품을 공급하기도 한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캐릭터 상품과 패션 상품이다.[8][9][10]

같이 보기[편집]

참조[편집]

각주[편집]

읽을거리[편집]

  • 오정석. (2007-10-29). 《수입 분배의 경제학》. 삼성 경제 연구소. 총 136쪽. ISBN 978-89-7633-360-5.
  • 박석규. (2008-01-08). 《IPTV와 디지털 콘텐츠 저작권의 이해》. 진한 M&B. 총 195쪽. ISBN 978-89-8432-334-6.
  • 유진룡. (2009-02-20).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이해》. 넥서스 BIZ. 총 528쪽. ISBN 978-89-91117-53-2.
  • 김원제. (2009-07-31). 《콘텐츠 실크 로드 미디어 오디세이》. 한국 학술 정보. 총 350쪽. ISBN 978-89-268-0220-5.

외부 링크[편집]

  • DVD Prime - DVD 관련 콘퍼런스 & 커뮤니티